• 제목/요약/키워드: 거울신경세포시스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3차원 재구성과 추정된 옵티컬 플로우 기반 가려진 객체 움직임 추적방법 (Occluded Object Motion Tracking Method based on Combination of 3D Reconstruction and Optical Flow Estimation)

  • 박준형;박승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7-542
    • /
    • 2011
  • 거울 신경 세포는 동물이 어떤 동작을 할 때와 그 동물이 다른 동물의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을 관찰 할 때, 똑같은 세포 발화를 하는 신경세포이다. 본 논문에서는 거울 신경 세포의 발화 원리를 이용하여 비슷한 방법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법을 3차원 재구축 방법을 통해 제안한다. 거울 신경 세포 시스템과 같은 발화 원리를 통해 의도 인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두 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깊이 정보를 계산하여 3차원으로 재구축한다. 3차원 재구축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옵티컬 플로우를 사용하여 3차원 이미지에서 객체의 움직임 방향을 추정한다. Estimation 알고리즘인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객체의 움직임 추정을 잡음에 강인하게 한다. 객체의 움직임 추정을 통하여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히스토리화 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객체의 일부분 혹은 전체가 다른 물체로 인해 가려져 스테레오 카메라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과거에 저장된 히스토리로 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가려진 부분에 대한 객체의 원래의 모습을 복원한다. 이 복원을 통하여 움직임 추정을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거울신경세포시스템에 근간한 동작관찰-신체훈련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 고효은;박진주;이경주;이은희;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23-130
    • /
    • 2014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동작관찰-신체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명이며 실험군 10명, 대조군 9명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일반 작업치료와 동작관찰-신체훈련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일반 작업치료와 동작관찰만을 시행하였다. 훈련 과정은 4주였으며, 주 3회, 회당 30분씩 훈련에 참여하였다. 대상자 선별 후 WMFT와 MBI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전-후 평가를 실시하여 증진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두 그룹 모두중재 후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p<.05). 하지만 각 측정 시점간의 두 군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거울신경세포시스템에 근간한 동작관찰-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 고효은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4호
    • /
    • pp.175-18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rror-neuron-system-based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on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en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along with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the patients engaged in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through repeated imitation practices after they viewed a video.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20 minutes, three times each week for eight weeks. A Manual Function Test (MFT) was conducted to compare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was used to compare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shown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left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based on the mirror neuron system improves chronic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their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Therefor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unctional recovery of chronic stroke patients.

일반 성인의 작업과 활동의 중재 형태에 대한 행위 관찰 시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EEG 활성도 차이 (Differences of EEG Activation in Mirror Neuron System during Action Observation for Occupation-based, Purposeful Activity, Preparatory Method in adult subjects)

  • 고효은;윤태원;정현애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1호
    • /
    • pp.17-2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Methods: T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was compaired among 3 condition by oneway ANOVA. Resul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mu suppression in all conditions. Although all conditions showed mu suppres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activated during action observation to be able to occupational therapy bu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not separately activated among th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