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내 총 단백질과 혈중 요소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by Crude Protein Level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Total Protein and BUN Concentration in Broiler)

  • 김해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민병준;장정순;강경래;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7-222
    • /
    • 2007
  • 본 연구는 육계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내 total protein과 BU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일령 Arbor Acres 육계(male) 480수를 공시하여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기초 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과 효소제의 첨가 유무에 따라 high crude protein diet 처리구, high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high crude protein diet+0.1% protease), low crude protein diet 처리구 및 low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low crude protein diet+0.1% protease)로 4처리($2{\times}2$ factorial)를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증체량은 high crude protein diet 처리구들과 low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low crude protein die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 요구율에서는 high crude protein diet 처리구들과 low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low crude protein die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건물 소화율은 high crude protein diet 처리구들과 low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low crude protein die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질소 소화율에서는 high crude protein diet에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low crude protein die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 내 total protein 함량은 high crude protein diet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BUN 함량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제의 첨가는 증체량, 사료 요구율,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켰고, 혈액 내 total protein 함량에 영향을 미쳤다.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mino Acid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Fecal VFA and NH3-N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s)

  • 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김인호;장정순;이운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0.08±2.69kg이었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내 영양소 함량과 효소제의 첨가 유뮤에 따라 high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high nutrient density diet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high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low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로 4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DM과 N의 소화율은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 및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은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고 영양소 사료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BUN 함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률을 향상시켰고 아미노산 소화율 개선하였으며, BUN 함량과 육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휘발성 지방산, NH3-N)

산란계에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계란 품질, 영양소 소화율 및 혈청내 총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Nutrient Digestibility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of Serum in Laying Hens)

  • 김해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민병준;박병철;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3-308
    • /
    • 2006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계란 품질, 영양소 소화율 및 혈청 내 총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9주령 ISA brown 갈색계 252수를 공시하며 8주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기초 사료구(CON; basal diet), 기초 사료내 단백질 분해 효소제 0.05% 첨가구(PROI; basal diet+0.05% pretense), 0.1% 첨가구 (PRO2; basal diet+0.1% protease)로서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황고의 변화량은 PRO1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중의 변화량은 PRO2처리구가 CON과 PRO1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품질, 난황색, haugh unit 및 난황 계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건물 소화율에서는 CON과 PRO2처리구가 PRO1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질소 소화율에서는 PRO2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내 총 단백질 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난황고, 난중 및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켰다.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청내 총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stal Mud-Flat Bacteria Origin Pretense Supplementation on Laying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of Serum in Laying Hens)

  • 김해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민병준;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4
    • /
    • 2007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계란 품질, 영양소 소화율 및 혈청 내 총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9주령 ISA brown 갈색계 252수를 공시하였고, 사양 시험은 8주간 실시하였다.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 사료구(CON; basal diet), 단백질 분해 효소제 0.05, 0.10% 첨가구(PRO1; PRO2)로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황고의 변화량은 PRO1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중의 변화량은 PRO2 처리구가 CON과 PRO1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품질, 난황색, haugh unit 및 난황 계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건물 소화율에서는 CON과 PRO2 처리구가 PRO1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질소 소화율에서는 PRO2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내 총 단백질 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난황고, 난중 및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켰다.

펄자임 첨가사료가 육계의 생산성과 소화기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earlzyme on Growth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Digestive Organs in Broilers)

  • 김지민;강석민;윤정용;양영록;김원;장정순;최양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1-29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펄자임(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분해 효소제)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소화기관의 길이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4일령의 암컷 Ross 240수를 각 15수씩 2개의 처리구(Control vs. Pearlzyme)로 나누어, 처리구당 8개의 펜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육계는 그 후 32일령까지 4주 동안 2개의 사료(Control vs. Pearlzyme) 중에 하나를 섭취하였다. 그 결과, 펄자임 첨가사료는 급여 첫 한주 동안에 유의적인 증체효과를 보였지만(p<0.05),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효과는 감소되어 마지막 한 주 동안에는 사료섭취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대조구에서 4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총 3.3%의 폐사율이 발생하였지만, 펄자임 첨가구에서는 폐사계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펄자임 첨가사료에서는 육계의 소화기관 특히 직장과 맹장의 무게, 그리고 맹장의 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근위의 무게는 증가하고(p=0.071), 소장의 무게는 감소하는(p=0.068)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육계 사료에 첨가된 펄자임은 급여 첫 한 주 동안에는 증체효과를 보였지만, 급여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과는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소화기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