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 정보역량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 환경하에서 개인정보역량 측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Model of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in Information Environment)

  • 윤취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1호
    • /
    • pp.131-138
    • /
    • 2007
  • 본 연구는 정보환경에 있는 기업에서 근무하는 개인의 정보역량 측정을 위한 효율적인 측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4 개의 측정영역과 12개의 측정요인 그리고 구체적인 측정항목을 포함한다.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SPSS software 를 적용한 Pilot Test 를 통한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에 의해 검증되었고, 개인 정보역량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측정항목들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측정모형의 실용성과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기업에서 근무하는 264 명의 인력에 대해 개인 정보역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측정모형은 산업현장에 있는 인력의 정보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teacher of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 고영민;김대영;김한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3-43
    • /
    • 2016
  • 최근 학교교육에 있어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역량을 주제로 타 교과에서는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반면, 정보교과 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사로서 갖춰야할 역량을 도출하여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역량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역량모델 개발방법 및 절차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FGI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 정보교과교육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통해 역량모델 1차 초안으로 6개의 범주, 17개의 역량, 66개의 행동지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역량모델 1차 초안에 대해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정보교과 교육관련 현직교사 및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차례의 FGI 녹취자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능력, 11개의 능력단위, 159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역량모델 초안을 완성하였다. 이후 최종 완성된 역량모델 초안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정보교과 교육관련 현직교사, 대학교수 및 관련 전문기관 연구원 1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11개의 능력단위별 모두 .9 이상의 높은 신뢰도와 159개 문항의 적절성에 대해 모두 3.5 이상의 평균값을 나타내어 5개의 능력, 11개의 능력단위, 159개 문항 모두를 역량모델에 포함시켜 최종 정보교사의 역량모델을 완성하였다.

의료기관에서 조직역량과 개인역량이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ap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in Healthcare Institutions)

  • 정현석;홍관수;이돈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5-81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산업에서 역량을 의료기관 조직과 개인의 차원으로 분류하여 조직역량과 개인역량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의 구성요인과 함께 직무만족, 업무수행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의료기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분석결과, 첫째, 조직역량은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역량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업무수행에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셋째, 직무만족은 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기관 경영진 및 정책입안자에게 조직역량과 개인역량 개발의 중요성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R&D집중기업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요인 분석: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Capabilities of R&D Intensive Firms on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SMEs and Mid-sized Firms)

  • 우기훈;박배진;박선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67-178
    • /
    • 2016
  • 본 연구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 지출이 5%이상인 R&D집중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역량과 수출성과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더불어 기업의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역량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업역량으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제품 개발역량,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 마케팅 역량 등 5개 역량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간에는 5개 역량 중 해외시장정보역량과 브랜드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개 역량 공히 중견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높았다. 또한 역량과 수출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5개의 역량중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이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이 세가지 역량이 클수록 수출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R&D집중 중소. 중견기업이 수출성과를 확대하기 위해선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을 우선적 강화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특히, 일반적인 마케팅 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반면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R&D 집중기업이 수출성과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케팅 방법과 함께 혁신적인 마케팅 방법도 활용하여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성장관점에서 R&D 집중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정보역량과 자가 브랜드 역량을 보완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9-102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 후 조직 내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5개 기관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모형 사례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9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9개 영역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정보 기술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력관계 형성능력,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능력, 가치관 및 태도, 리더십 영역이다. 그리고 9개 핵심역량을 습득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을 대학 교양과목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내용과 학습효과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학습자 변인에 따른 영향력 분석 (Development of a Digital Liter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Learner Variables)

  • 정대근;조영아;임철홍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41-262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객관적 지표로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및 개인 인식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진단 도구로 6개 요인, 38문항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인적 특성 및 개인 인식과의 영향력 분석 결과, 성별, 연령, 학력, 단과대학 등 개인적 특성 및 학점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전공만족도, 전반적 학업만족도, 학습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학업 도움, 학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사용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자기조절 역량, 참여 역량, 활용 역량, 평가 역량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경찰·경비분야 전공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Police and Security Major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윤현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17-11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창의융합적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꾸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경찰·경비분야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시 소재 대학의 경찰·경비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6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찰·경비분야의 직무, 과업,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법집행, 상황대응, 정보수집, 지휘통솔 등 직무영역에서 9개의 전공능력이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전공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개선과 교육성과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인의 전공능력 수준을 진단하여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으며,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성과확산과 각종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지원과 선정을 위한 교육성과 지표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Analyzing the Instruments on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18
  • 역량은 지식이나 기능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15 정보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에 주목하여,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국내외 검사도구의 구성 방법 및 내용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국가 및 기관에서 개발한 12개 검사 도구를 분석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정보문화소양,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준으로 9개 검사 도구는 두 가지 이상의 역량을 측정하고 있었으며, 3개의 검사 도구는 한 가지 역량만을 측정하고 있었다. 10개의 검사 도구는 컴퓨터 기반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객관식, 주관식, 서술식 중 2가지 이상의 형태로 문항을 개발한 검사도구가 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과 교육으로 길러지게 될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 방향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예비교사의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협업전략 탐구 (Exploring of Collaborative Strategy for Pre-service Teacher's Block-based Programming Education)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01-412
    • /
    • 2020
  • 예비교사들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팀 기반의 프로그래밍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협업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역량에 미치는 다양한 협업요인들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협업 요인들을 크게 개인 역량과 팀 역량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프로그램 설계역량에는 학습자 개인역량 모든 요소와 자료공유 기술과 같은 협업에 필요한 기술인 팀 테크닉 및 팀 협력도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구현역량에는 개인의 학습이해도, 팀 협력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팀 테크닉이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이 프로그래밍 역량과 흥미도 및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비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협업 전략을 프로그래밍 과정에 따라 개인역량 및 팀 역량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소들을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mpetence Measurement Tool for University Student

  • Kim, Dong-Ma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91-199
    • /
    • 2019
  •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6개 영역, 40개 문항의 1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2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요소와 문항을 정제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통계적으로 만족시킨 6개 요인,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디지털 역량 검사 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용 디지털 역량 검사 도구는 디지털 기기 운용, 소통 및 협업, 정보 검색·처리·관리, 문제 해결 및 학습, 보안, 디지털 윤리 등과 같은 6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검사 도구는 집중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가 높아 대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검사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역량 검사 도구는 대학생의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적 지원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