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 및 사회적 참여행동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Basic Study for Developing Media Competency Model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Lee, Chan;Park, Yo-Song;Yi, Byung-Jun;Choi, Young-Ju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
    • v.6 no.3
    • /
    • pp.21-3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초등학생 아침 안 거르기를 위한 보건소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Hae-Yeon;Moon, Hyun-Gyung;Cho, Sung-Eok;Lee, In-Young;Choi, Hye-Ryun;Jang, Young-Ju;Park, Young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8-1059
    • /
    • 2003
  • 학동기(만 6-12세)에 좋은 영양 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조성하여 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초등학생의 영양문제와 식습관을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아침결식률을 낮추기 위한 ‘아침 안 거르기’ 사업을 학교와 연계 개발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관내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6명(실험군 451명, 대조군 675명)을 대상으로 4∼9월까지 6개월간 5단계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해 사전(실험군-학생 428명, 부모 416명, 대조군-학생 656명, 부모 589명), 사후(실험군-학생 427명, 부모 368명, 대조군-학생 608명, 부모 558명)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여 행동과 인식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월 1회 담임교사가 진행하였고, 교육자료 및 홍보물은 아침먹기 캐릭터 가방걸이와 학부모의 참여를 높이고자 가정통신문과 교육내용을 함께 삽입하여 제작한 알림장, 아침먹기와 일찍자기를 실천할 실천스티커를 배포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아침 먹기 실천달력을 제공하였다. 또 아동들 자신의 식생활을 바르게 꾸려 나갈 수 있도록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을 함께 교육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양표시제에 관한 인식변화와 행동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아침식사 실천율은 매일 먹는 그룹이 실험군은 62.9%에서 69.6%로 7% 상승하였고,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11.2%에서 6.4%로 4.8% 감소하였다(p<0.001) 대조군의 경우 매일 먹는 그룹은 70.4%에서 70.2%로,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6.9%에서 6.5%로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 변화는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60.1%에서 64.8% (p<0.001)로, 대조군은 64.8%에서 57.2% (p<0.001)로 각각 변화하였다. 일찍 자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은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52.5%에서 70.7%(p<0.001), 대조군은 55.3%에서 60.2%로(p<0.001), 일찍 자기 실천에 대한 의지 변화는 11시 이전에 잘 계획이라는 그룹이 실험군은 31.9%에서 43.9%(p<0.001), 대조군은 35.5%에서 36.8%로 나타났다(p<0.001). 영양 표시에 관한 문항에서는 식품구매시 영양표시를 보고 구매한 경험이 없다는 군이 실험군에서는 58.2%에서 40.4%로 감소하였고(p<0.001), 대조군은 64%에서 53.6% (P<0.001)로 감소하였다. 영양소에 관한 지식 평가에서 짜지 않은 간식을 선택할 때 유의할 성분을 나트륨이라고 답한 그룹은 실험군은 31.7%에서 56.3%로, 대조군은 15.9%에서 23.0%로 나타나 그룹간 큰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로 좋아하는 음식은 김치, 김치찌개, 밥, 피자, 고기, 빵, 된장찌개, 김, 햄, 계란후라이 순이었으며 싫어하는 아침음식은 피망, 고추, 양파, 김치, 시금치, 마늘, 콩, 파, 피자, 나물순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로 혼자서도 준비할 수 있는 음식은 밥, 라면, 계란후라이, 김치, 반찬, 볶음밥, 계란, 국, 햄, 씨리얼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인식률 변화는 가정내에 컴퓨터 설치장소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장소로 실험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0%에서 21.6%로 6.4%감소하였고, 마루나 거실은 61.3%에서 66.0%로 5%증가하였다(p<0.001). 반면 대조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8%에서 24.9%로 3.9% 감소, 마루나 거실은 63.4%에서 65.9%로 2.5%증가하여 실험군과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자녀의 늦은 취침시간과 아침식사에 관한 인식률 변화는 아침식사에 영향이 있다는 군은 실험군의 경우 78.1%에서 82.7%로 4.2% 증가하였고(p<0.05), 대조군의 경우 82.2%에서 80.5%로 감소하여 나타났다.(P<0.001)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 일주일 동안 아침을 전혀 먹지 않는 학생이 감소하고 매일 아침을 먹는 학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아동의 아침식사 행동변화와 인식률 변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n Children's Happines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 과정)

  • Choi, Eun A;Chung, Kai Sook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5
    • /
    • pp.261-29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n children's happines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6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during 10 months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3.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n children's happiness by mothers included 4 stages, which are as follows. 'Following inseparated social desire and demands', 'Looking around my desire and children's happiness', 'Rearranging interlacing desire' and 'Going to find my children's happiness and my happiness'. And the stages were interacting mothers'time perspectives and diverse ecosystem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s of interaction on time perspectives and parenting, and discussed influences of meaning construction on happiness.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Person Centere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Living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사람중심 치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근거 이론적 연구)

  • Kim, Dong Seon;Shin, Soo 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746-764
    • /
    • 2022
  • Communication breakdown has been mentioned causing a heavy burden for dementia caregivers. This study aims to inspect and structu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The impeding/facilitating elements of communication are also extracted. Interviews with 21 of dementia care experts about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dementia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Results show that combination of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on decline of the people with dementia, confusing environment and caregivers' inappropriate attitude and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leads to communication breakdown and relations severance. Minimal contacts and task-oriented conversation results in conflicts and people with dementia's increasing agitation, anxiety and violent behaviors while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and listening with heart lead to recovered lucidity in the state of serious dementia, recovered pleasur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daily activ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Core paradigm was defined as 'Person Centered Care through relation formation'. There are 4 types of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dementia : partnering, patronizing, conflicting, avoiding types. Researchers suggest that Person Centered based communication skills be educated and trained for dementia caregivers.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ustainable Dietary Free-year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Youth Empowerment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가정교과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Choi, Seong-Yeon;Han, Ju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4 no.2
    • /
    • pp.129-15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using a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the empowerment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ADDIE teaching design model.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etary area were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nd SDGs, and their relevance was analyzed to select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The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s 'dietary life together' and consists of five learning topics: 'living together in the global village', 'maintaining healthy diet', 'creating a dietary culture together', 'living with nature and people', and 'maintaining a safe diet'. As a strategy for improving empowerment, we presented four situations, each of which represents value judgment, prediction of results, responsible behavior choice, and decision making. The developed program was reviewed by experts and applied to 17 unit classes for 17 weeks (1 unit hour per week) to the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lass measurements of the personal empowerment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empowerment, which shows the class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empowerment. However,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empower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uggestions were made to utilize strategies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when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evaluated the program positively as a whole. The program was evaluated to have helped the students believe they could change society through solving dietary problems.

Exploratory Research abou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Grounded Theory Based Analysis about Seoul Community Media Practice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마을미디어 활동에 대한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

  • Lee, Hee Rang;Kim, Hee You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81
    • /
    • pp.75-121
    • /
    • 2017
  • Maeul Community Media is community media practice that media education combine with community activism based on the region. Maeul Community Media appeared with Seoul city's supporting policy in 2012 and is now enlarging on a national scale beyond Seoul.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ng Maeul Community Media activists' practice process by using a grouned theory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f study participants who worked on as activists based on visual and radio field since 2012. By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16 categories and 59 subcategories were discovered. The outcome of axial coding showed the centeral phenomena that can be called 'sustainable desire for Maeul Community Media act'. On the condition of the instability of public support and the absence of a village channel, the strategic practices were discovered, which are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recruitment and modes of participation, invention of space-media, seeking multilateral distribution methodologies and the collective action plans of networks to stabilize the management and to empower Maeul Community Media networks. As a result, Maeul Community Media and civil society were networked by discovering and agenda-setting pending issues. And we could find that the desire and expectation for the role as a village's public sphere were enlarging.

  • PDF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심혈관대사질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환자의 질환경험 및 완화의료 요구)

  • Cha, EunSeok;Lee, JaeHwan;Lee, KangWook;Hwang, Yuji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2 no.1
    • /
    • pp.8-1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Methods: Thi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1 patients (and three family members) among 28 patients contacted. Interviews were led by the principal investigator in her office or at participants' home depending on their preference. All interviews were digit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by a research assistant.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wo independent researchers using a conventional method. Results: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2 to 82 years (nine men and two women).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1) same disease, but different illness experiences; (2) I am in charge of my disease(s); (3) preparation for disease progression.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name of their disease when they were diagnosed, but not provided with explanation of the diagnosis or meant or how to do self-care to delay the disease progression, which increased the feelings of uncertainty, hopelessness and anxiety. Taking medic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and self-care a supplemental one. Advanced care plans were considered when they felt the progression of their disease(s) while refraining from sharing it with their family 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save their concerns. All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withhold life-sustaining treatment without making any preparation in writing. Conclusion: Education on self-care and advanced care planning should be provided to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A patient-centered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this population.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to develop and apply to enhance safety awar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Song, Eunmi;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1
    • /
    • pp.15-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afe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to rai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lan consisting of 4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26 student's activity sheets and 8 reading texts, and 8 teacher's reading texts) and visual materials (4 sets of pictures & photos and 8 moving picture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4-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4 classes 121 freshmen of M boy's middle school in Kyeongbuk during December 21st to 29th, 2015. Students were highly enjoyed and satisfied with the whole 4-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lesso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and usefulness in own's daily lif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were highly aware to practice the contents learned from the lessons in daily family life at home with one's family and recommended to teach the lessons to other schools, to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afe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would rai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ged Over 75 Years (75세 이상 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의 혜택과 삶의 질)

  • Han, Su Ji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4 no.1
    • /
    • pp.63-8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ged 75 years and older. A total of 231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41 of them living alone and 90 of them living with others.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complete the investigator-constructed questionnaire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9 items on demographic information,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and singing-related experiences, and 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measur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differ between the two subgroups of older adults living with and without others. The number of older adults who had singing-related experiences was also differed between the group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amount of self-perceived benefit from singing and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This study supports the potential benefits of incorporating singing as an active leisure activity into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expanding the research that has been extensively based on listening-based interventions. Also, it presents clinical implications for how sing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could be designed and suggested to support this population to better cope with their life issu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