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화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WebDAV-based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Individualized Services (개인화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데브 기반의 협업시스템)

  • Lee, Hong-Chang;Lee, M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5
    • /
    • pp.143-154
    • /
    • 2008
  • As internet users swiftly increased in number, both collaborations and communications on the Internet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service has been raised as user-centered service has been activated. As of now, there are many systems supporting collaboration based on the Web. Unfortunately, since the existing Web-based collaborative systems do not support individualized service, they do not provide effective collaboration for various kinds of user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 collaboration portlet for the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The collaboration portlet provides various methods which control the resources of each workspace on the CoSlide server. As a component of a portal, the developed portlet provides effective collaborative environment satisfying various user requirements. Users can collaborate through the individualized interfaces which are composed by portlets on a portal for their own working environment.

  • PDF

Game Platform and System that Synchronize Actual Humanoid Robot with Virtual 3D Character Robot (가상의 3D와 실제 로봇이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플랫폼)

  • Park, Chang-Hyun;Lee, Chang-J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8 no.2
    • /
    • pp.283-297
    • /
    • 2014
  • The future of human life is expected to be innovative by increasing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personal, including all areas of life across the multi-disciplinary skill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obotics and next-generation games with robots, by multidisciplinary contributions and interaction,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y is expected to accelerate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by new interface model beyond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human-robot interface technology," until now and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and through fusion of various modalities which existing human-robot interface technologies can't have, the research of more reliable and easy free "human-robot interface technology". This is the research of robot game system which develop and utilizing real time synchronization engine linking between biped humanoid robot and the behavior of the position value of mobile device screen's 3D content (contents), robot (virtual robots), the wireless protocol for sending and receiving (Protocol) mutual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 program of "Direct Teaching & Play" by the study for effective teaching.

An Emotion Recognition Technique Using Speech Signals (음성신호를 이용한 감정인식)

  • Jeong, Byeong-Uk;Cheon, Seong-Pyo;Kim, Yeon-Tae;Kim, S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123-126
    • /
    • 2007
  • 본 논문은 음성신호를 이용한 감정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감정인식에 관한 연구는 휴먼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 기술의 발전에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감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음성신호의 감정인식을 위해서 음성신호의 특정을 추출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에 따른 음성신호의 감정인식을 하고자하였다. 그래서 화자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음성신호 분석기법인 Perceptual Linear Prediction(PLP) 분석을 이용하여 음성신호의 특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LP 분석을 통하여 개인화된 감정 패턴을 생성하여 간단하면서도 실시간으로 음성신호로부터 감정을 평가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 PDF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and Technology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의 개인 환경 서비스 및 기술)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5
    • /
    • pp.454-463
    • /
    • 2013
  • The smart phone has already proliferated, and the smart devices of the living appliances and vehicles embedded with communication device, sensors and connected with the smart phone have been developed. Currently it can provide simple remote controller and user interfaces, it could be envisaged that intelligent technology is converged with the smart phone, and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in which the smart devices are configured automatically as reflecting personal preference, device attribute, and living environment condition would be activated in the future. In this paper PES services, system architecture, and core technology are described.

Mobile Semantic Search using Personal Preference Filtering (개인 기호정보 필터링을 사용한 모바일 시맨틱 검색)

  • Jeon, Ho-Chul;Kim, Tae-Hwan;Choi, Joong-M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7.11a
    • /
    • pp.30-3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폰을 통한 시맨틱 검색 및 개인 기호정보를 사용한 검색 결과의 필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 하고자 한다.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컨텐츠와 웹 컨텐츠의 검색 연동, 사용자 기호정보의 유 무선 장치의 공유 및 유 무선 장치간 검색 결과의 공유를 지원한다. 모바일폰의 컴퓨팅 능력을 고려해 모바일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유지 하도록 한다. 모바일폰을 통한 시맨틱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은 실험적으로 뉴스 도메인에 국한된 카테고리에 대한 분류 체계 온톨로지를 구축하며, 각 카테고리간 관계를 설정 한다. 또한, 개인 기호정보를 통한 검색 결과의 필터링을 위해 사용자 기호정보를 XML 형태의 벡터 모델로 유지하며, 이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각 사용자 계정으로 저장하고 공유한다. 모바일폰의 여러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 검색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유 무선 장치간 상호 공유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아키텍처와 구성 및 주요 기능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A study on effect on icon usability through exchanged interface design (인터페이스 전환에 따른 도상(Icon)의 형태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ung, Hye-Kyung;Lee, Hae-Jin;Kim, Jung-Y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66-67
    • /
    • 2005
  • 기존의 데스크톱 컴퓨터가 고정된 공간에서만 사용되는데 반해 개인용 정보단말기(PDA)는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 때문에 소형화면과 작은 부피, 가벼운 용량의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화면에서는 한 번에 볼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 사용자 중심의 PDA용 GUI 아이콘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 PC와 PDA간의 호환을 자유롭게 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소형화면에서는 한 번에 볼 수 있는 정보량이 적기 때문에 전체에 대한 개관이 불가능했고, 많은 정보를 담으면, 내용이해가 어려웠는데,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GUI 아이콘 설계를 통해 정보의 ‘집중’과 ‘선택’ 이 가능한 PDA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량 정보를 작은 화면에 종합적으로 담아내어 개관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의 내용과 가치를 아이콘의 크기와 색, 수직 혹은 수평적인 움직임 등의 시각화를 통해 차별화시킴으로써 개별 정보내용의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앞으로 PDA와 PC의 표준화된 호환 가능한 브라우저가 모든 PDA에 기본 인터페이스로 장착된다면, 다른 매체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호환을 순조롭게 하여 경제적인 파급 효과 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동통신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산업적인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method of music exploration using dynamic menu trees based on contexts (동적 트리 생성/탐색을 통한 Context 기반 연관 음악 탐색 방법)

  • Lee, Gwang-Hyeon;Choe, Chang-Gyu;Jo, Seong-Jeong;Seong, Yeong-Hun;Kim, Yeo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82-188
    • /
    • 2007
  • 모바일 음악 재생 장치의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모바일 환경에서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확대되었다. 모바일 음악 재생 장치의 저장 공간이 확대되어 한번에 많은 곡을 보유하게 되었지만, 실제적으로 많은 곡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곡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음악 고유의 Metadata를 활용하여 쉽게 찾고자 하는 경향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음악은 음악 고유의 Context도 가지게 되며, 사용자의 음악 감상 로그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화 Context 및 같은 음악을 즐기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되는 Social Context등으로 하나의 음악과 관련된 Context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추가되는 Context들은 음악을 탐색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수단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모바일 음악 재생장치에 있는 음악 탐색 프로그램은 새롭게 추가되는 Context 에 의한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장치에 Embedded Database Engine을 장착하여 동적 트리 생성/탐색을 통한 Context 기반 연관 음악 탐색 방법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고안된 음악 탐색 방법에 대하여 3가지 사항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첫째, 새로운 Context추가에 대한 동적 메뉴 추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제로 새롭게 추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제시된 방법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계산하여 일반화 하였다.

  • PDF

Design of an Entire R&D Cycle Service, WithON for Open Collaboration (개방형 협업을 위한 R&D 전주기 서비스, WithON 설계)

  • Jung, Hanmin;Park, J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33
    • /
    • 2022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ScienceON, RISS, and DBpia used by researchers during the R&D process mainly consist of a user interface in the form of a portal and search functions that respond to demands. However, the importance of open collaboration that freely shares and utilizes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and provides various tools and services necessary for collaborative research is gradually increasing, so there are also limitations to these service roles. Thus, we design WithON, which provides collaborative research environments of a preemptive response method, focusing on a personalized user interface to support the entire R&D cycle. We expect WithON would fundamentally change the existing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into collaborative research-centric ones.

  • PDF

A Study of Sensibility Communication through Ambient Art in Ambient Intelligence (생활환경 지능화에서 앰비언트 아트를 통한 감성커뮤니케이션 연구)

  • Lee, Ji-Youn;Lee, Kyu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0-47
    • /
    • 2007
  • 본 연구는 생활환경 지능화(Ambient Intelligence 이하 AmI)의 기술적 변화와 Ambient Display와 Ambient Media 등을 바탕으로 Ambient Art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한 감성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앞으로의 사회는 AmI의 환경으로 변화해 갈 것이다. AmI란 인간 중심의 지능형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을 기반으로 우리의 주변환경이 지능을 갖게 된 상황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AmI의 기술들은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고 이러한 미디어는 우리의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기술의 발달은 빠른 반면, 그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의 적응속도는 느리기 때문에 사람이 어떻게 새로운 기술에 적응할 것인가는 핵심적 문제다. 감성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감성 욕구까지 채워줄 수 있다. 그러나 감성은 순간적이며 복합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발생하고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연구하기가 쉽지 않다[1]. 본 연구에서 정의한 Ambient Art는 일상의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인지가 없이도 감상할 수 있는 예술로, 기술이 환경에 스며들게 되는 것처럼 예술이 환경에 스며들어 궁극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감상이 가능한 전시공간의 유비쿼터스화를 지향한다. 이러한 Ambient Art는 감성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새로운 대안책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mbient Art의 5가지 특성을 상황인지, 분위기, 개인화, 상호작용, 자가성장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또한 Ambient Art의 개념과 특성을 반영한 작품 City Forest를 제안하였다. 이 작품은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달라지는 시각적 감성 전달을 통해 이성보다 앞서 있는 감성을 자극하여 개인과 환경, 환경과 환경끼리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켜 Ambient Art를 통한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Proposal for a Responsive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MPEG-UD (MPEG-UD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시스템 제안)

  • Moon, Jaewon;Lim, Tae-Beom;Kum, Seungwoo;Kim, Taeyang;Shin, Dong-Hee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5
    • /
    • pp.83-93
    • /
    • 2014
  •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customized to users' needs and preferences becomes highlighted as a key area of user-context computing. It is essential for context-aware technology to be developed more intelligent and meaningful services by being widely applied to a variety of sectors and domains. SDO (Standard Development Organization) such as MPEG and W3C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o be standardized services and to improve context-awareness services. Yet current standards related to context-aware technology, such as MPEG-7, MPEG-21, MPEG-V, and emotionML, are not capable enough to support various systems and diverse services. Against this backdrop, the MPEG User Description, referred to also as MPEG-UD Standard, is to ensure interoperability among recommendation services, which take into account user's context when generating recommendations to users. In this light, we introduce standards related to the user context and propose the structure for RD-Engine and the Remote Responsive User Interface(RRUI) system in reference to MPEG-UD. This system collects unit resources matching specif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texts described by MPEG-UD. In so doing, it improves adaptive user interface considering device features in real-time.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daptive user interfaces tailored to an individual's contexts, the proposed system aims to achieve high-quality user experience for a complex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