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선 모델

Search Result 6,51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Robustness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AI Model for Malware Variation Analysis (악성코드 변종 분석을 위한 AI 모델의 Robust 수준 측정 및 개선 연구)

  • Lee, Eun-gyu;Jeong, Si-on;Lee, Hyun-woo;Lee, Tea-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2 no.5
    • /
    • pp.997-1008
    • /
    • 2022
  • Today, AI(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being extensively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field of malware detection. To introduce AI systems into roles that protect important decisions and resources, it must be a reliable AI model. AI model that dependent on training dataset should be verified to be robust against new attacks. Rather than generating new malware detection, attackers find malware detection that succeed in attacking by mass-producing strains of previously detected malware detection. Most of the attacks, such as adversarial attacks, that lead to misclassification of AI models, are made by slightly modifying past attacks. Robust models that can be defended against these variants is needed, and the Robustness level of the model cannot be evaluated with accuracy and recall, which are widely used as AI evaluation indicators. In this paper, we experiment a framework to evaluate robustness level by generating an adversarial sample based on one of the adversarial attacks, C&W attack, and to improve robustness level through adversarial training. Through experiments based on malware dataset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field of malware detection were confirmed.

Environmental variable selection and synthetic sampl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lgal alert level prediction model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적용한 조류 경보 단계 예측 모델의 정확도 개선)

  • Jin Hwi Kim;Hankyu Lee;Seohyun Byeon;Jae-Ki Shin;Yon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7-517
    • /
    • 2023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및 주요 호소 29지점을 대상으로 조류경보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조류 경보 단계는 실시간 모니터링지점에서 측정되는 유해 조류의 셀농도를 기반으로 발령 단계가 결정된다. 상수원 구간은 관심, 경계, 조류 대발생, 해제 또는 미발생 총 4구간으로 구성되며, 친수 활동 구간의 경우 조류 대발생을 제외한 3구간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행되는 조류 경보제의 목적은 유해 조류 발생 시 사후 대응 방안 마련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특히, 모니터링 주기 확대 여부, 오염원 관리 방안 마련, 조류 제거 여부 등의 의사 결정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조류 경보 단계에 대한 사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유해 조류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 경보 단계의 사전적 예측을 위해 국가 실시간 측정망에서 제공하는 전국 보 모니터링 종합 정보 자료, 기상측정망 자료, 실시간 보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단계 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변수 선택 기법을 활용하여 조류 경보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의 불균형으로 인해 모델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측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고려하지 않은 원자료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한 결과 관심 단계(Level-1) 및 경보 단계(Level-2)에 대해 각각 50%, 62.5%의 예측 정확도를 보인 반면 비선형 변수 선택 기법 및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Edited Nearrest Neighbor(SMOTE-ENN)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한 모델에서는 Level-1은 85.7%, Level-2는 75.0%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 PDF

Scour Simulation by Coarse-Grained DEM Coupled with Incompressible SPH (비압축성 SPH와 Coarse-Grained DEM을 활용한 세굴 모사)

  • Kim, Jihwan;Lee, Ji-Hyeong;Jang, Hoyoung;Joo, Yo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27
    • /
    • 2021
  • 세굴은 유체와 유사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중요한 자연 현상 중 하나로, 구조 및 지반 붕괴, 홍수,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세굴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많은 수치적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기존 격자기반방법인 유한체적법 (FVM)과 개별요소법 (DEM)이 연성된 모델을 이용하였고, 이는 격자 의존도로 인한 정확도와 효율성의 문제점을 보였다. 해결책으로 입자기반 유체해석 방법인 약압축성 SPH (WCSPH)와 개별요소법의 결합모델을 이용한 모의가 연구되어 왔지만, 단순 밀도차를 활용한 유체해석방법이 압력의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유사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개별요소법의 특성상 모의 입자의 크기를 실제 실험 입자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하면서 입자수가 지나치게 증가해 계산의 효율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실제 자연 지형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세굴 수치모의해석을 위해 반복법을 통해 안정적인 유체 압력을 계산하는 비압축성 SPH (ISPH)와 개별요소법을 연성한 ISPH-DEM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계산속도 향상을 위해 하나의 입자가 다수의 작은 입자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Coarse-grained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모델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모델을 NFLOW ISPH PURPL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굴 현상을 수치 모의하였고 실험 결과와 검증을 진행한 결과, 세굴의 깊이, 너비, 형상 등을 비교하였을 때 약 10% 이내의 오차를 보였고, Coarse-grained 방법을 통한 입자 수 감소로 최소 13배 증가된 해석 속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이 실제 자연 지형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age estimation of facial images using various CNN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다양한 CNN 모델을 이용한 얼굴 영상의 나이 인식 연구)

  • Sung Eun Choi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1 no.5
    • /
    • pp.16-22
    • /
    • 2023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acial age estimation because many applications require age estimation techniques from facial images. In order to estimate the exact age of a face, a technique for extracting aging features from a face image and classifying the age according to the extracted features is required. Recently, the performance of various CNN-based deep learning models has been greatly improved in the image recognition field, and various CNN-based deep learning models are being used to improve performance in the field of facial age estimation. In this paper, age estima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by learning facial features based on various CNN-based models such as AlexNet, VGG-16, VGG-19, ResNet-18, ResNet-34, ResNet-50, ResNet-101, ResNet-152.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acial age estimation models using ResNet-34 was the best.

  • PDF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Improvement of Safety Facilities in Frequent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잦은 곳 안전시설 개선 방안 예측 모델 개발)

  • Jaekyung Kwon;Siwon Kim;Jae seong Hwang;Jaehyung Lee;Choul ki L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16-24
    • /
    • 2023
  • Accidents are greatly reduced through projects to improve frequent traffic acci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safety facilities play a big role. Traffic accidents are caused by various cause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improvement effects by installing one safety facility or facilities without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rovement effect of each accident type by combining the two safety facilities, and suggested a method of predicting the combination of safety facilities suitable for a specific point, includ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oad type, road type, and traffic. The prediction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an XGBoost technique that creates one strong prediction model by combining prediction models that can be simple classification. Through this, safety facilities that have had positive effects through improvement projects and safety facilities to be installed at points in need of improvement were derived, and safety facilities effect analysis and prediction methods for future installation points were presented.

Ameliorating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Memory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동물모델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

  • Kim, Ji Hye;Bae, Dong hyuck;Lee, Uk;Heo, Ho Ji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3
    • /
    • pp.275-283
    • /
    • 2016
  • An anti-amnes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leaves (DMW) on memory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as investigated to assess its potential industrial value. Daily administration of DMW (11 weeks) significantly reduced serum glucose, insulin,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increased by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55 mg/kg).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DMW decreased escape latency and increased the time spent in the platform quadrant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Step-through latency in a passive avoidance test was also improved. Finally, DMW produced ameliorating effects on STZ-induced cholinergic deficit through an inhibitory effect on acetylcholinesterase and the increment of acetylcholine level in the hippocamp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W might be used as a natural substance for improving diabetic induced cognitive impairment.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f Diabetic Rats with Ischemic Brain Injury Model (허혈성 뇌손상 모델 당뇨쥐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 Kim, Dong-Hyun;Bang, Hyun-Soo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6 no.1
    • /
    • pp.41-48
    • /
    • 2016
  • Objective : We tried to know the improvement and neurological effect of diabetes when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was applied on diabetes that delayed the recovery of the ischemic brain injury. Methods : We performed this study in a animal lab which located in Gyengsangbukdo. We used 10 diabetes rats with ischemic brain injury, which is induced by STZ. We applied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on the rats for 4 weeks. We executed the maze test to confirm the recovery of the brain function and checked the blood sugar to know the improvement. Results :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omplex exercise on diabetes rats with ischemic brain injury,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e of error and escape time in 3 weeks and 1 week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blood sugar in contro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xperiment group after applying the exercise training in 4 weeks. Conclusion : The senile disease like stroke and diabetes was increased currently. It is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fe. In the study, we've known the improvement of diabetes and the recovery of the brain function when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was applied the rats with both diabetes and the ischemic brain injury.

Improvement of Quantity Take-Off and BoQ through the LOD Criteria Analysis of BIM Models (BIM 모델 표현 수준(LOD) 분석을 통한 내역체계 개선방안 연구)

  • Choi, Hyunjun;Yun, Seokhe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6
    • /
    • pp.89-97
    • /
    • 2019
  • Recently, BIM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 construction projects.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BIM in cost estimating process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cost estimate. However, the quantity calculation and BoQ documents preparation process still require manual work. Although the BIM model may support quantification process, it is still problematic that the level of detail of the model must be very detailed to meet the items in BoQ. To address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LOD criteria and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quantity can be compu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tail in the BIM model. For the analysis of LOD-based work items, the work item grades were divided into A,B, and C. In this study, the ratio and cost of each item that can be calculated at the LOD level in the detailed design phase are reviewed for each type of work, and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quantity calculation using BIM is proposed. In the LOD 300 stage(Detailed design stage), the largest number of items in the class B, the major improvement class, are window and glass work. In addition, the most expensive type of work was analyzed by reinforced concrete work.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ppropriate improvement way for items with high item ratios and items with high cost rat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IM-based cost estimation or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ent BoQ system.

Evaluating the Effect of Upper Dams Release on Downstream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수질과의 관계 분석)

  • Choi, Jung-Kyu;Kim, Yu-Kyung;Jung, Yong-Rak;Shin, Sang-Il;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07-1311
    • /
    • 2007
  • 유역의 자연 유출량이 줄어드는 갈수기 동안 낙동강 본류의 수질은 상류지역의 댐 방류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질이 취약한 중 하류부지역의 수량과 수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낙동강 수계의 물 관리를 위해서는 댐 방류량과 하류 수질의 정량적인 관계에 근거한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상태 하천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하천의 수질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갈수기 동안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해 필요한 적정 댐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제시하는데 있다. 낙동강수계 댐 군의 하류 하천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운영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1차원 정상상태 수질예측모델인 QUAL2E를 구축하고 실측 유량과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은 낙동강수계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 임하댐, 그리고 중 하류 지류에 위치한 합천댐과 남강댐의 용수공급 시나리오별 하천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 동안 중 하류부에 위치한 상수원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합천댐과 남강댐에서보다는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용수를 추가 공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댐 방류량 증감에 따라 수질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하천구간은 수질오염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금호강합류점${\sim}$고령교구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낙동강과 같이 수량이 부족한 하천은 오염부하량 삭감 대책과 함께 갈수기 유량조절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며, 주기적인 수질악화를 겪는 낙동강 중 하류 지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상류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치모의 결과와 현장에서 관측한 유속장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제 탁수배제능력을 검증하였다.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 PDF

Identification of Dynamic Characteristics Using Vibration Measurement Data of Saemangeum Mangyeong Offshore Observation Tower and Numerical Model Updating by Pattern Search Method (새만금 만경해상관측타워의 진동계측자료를 이용한 동특성 분석과 패턴서치 방법에 의한 수치해석모델 개선)

  • Park, Sangmin;Yi, Jin-Hak;Cho, Cheol-Ho;Park, Jin-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5
    • /
    • pp.285-295
    • /
    • 2020
  • In the case of small observation towers located at sea,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hange in dynamic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loads. In this stud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was designed through field dynamic response measurement on the Mangyeong Offshore Observation Tower (Mangyeong Tower) located near the Saemangeum Embankmen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natural frequency was found to increase slowly as the tide level is lower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mode has two frequencies, which was judged to be a phenomenon in which the natural frequency was partially increased when the pile and the ground contacted by scouring. For numerical analysis, the upper mass, artificial fixity point, scour depth and fluid influences are reflected 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angyeong Tower. In addition, the model updating from the estimated natural frequency and pattern search algorithm was performed. From the model updating,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future studies on stability of Mangyeong T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