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 단계

Search Result 9,9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 개발)

  • Wee, Young-eun;Jung, Hyojung;Lim, Jung-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37-4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learning based education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ave developed a training model that includes definitions of flipped-learning, major learning activities, and operational strategies in each occupation. In addition, delphi survey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model for HRD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pecialists. Finally, the flipped-learning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nsists of three stages: Pre-learning, Main-learning, and Post-learning. Pre-learning stage include Online lectures, Simple tasks, Main-learning stage include Active learning and Coaching-Debriefing lecture, Post-learning stage includes Individual reflection-Additional task performance activities. The educational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the focus on improving the linkage and the performance of the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ome Care Beauty Device (맞춤형 홈 케어 뷰티 디바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Tae-Won;Kim, Hyun-Woong;Lee, Chun-Hee;Min, Hye-Jin;Kim, Da-Du;Kim, Dong-Hun;Park, Sa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23-34
    • /
    • 2022
  • Due to the regular usage of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people developed skin issues. As a result, interest in skin care which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at home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ustomized home beauty care device to respond to these market trends. In order to do so,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applied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proceeded in the order of discovery, defini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user-centered design development approach by fusing design thinking processes rather than styling-oriented design processes, and suggested new possibilities for design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measur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st-Evaluation Techniques for Stream Project (하천사업 사후 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8-408
    • /
    • 2020
  • 「하천법」제3조는 국가는 하천에 대한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하천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합리적인 시책을 마련할 책무를 지게 하고 있다. 현재 전국에는 총 5,937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국가와 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기여를 한다. 국가하천의 경우 하천의 크기 및 지리적 위치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지방하천, 소하천보다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국토교통부의 예산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020년 예산서를 살펴보았을 때 '국토 및 지역개발' 예산 1조 1666억9600만원 중 76.53%를 차지하는 8928억7300만원이 '국가하천정비지원', '국가하천정비'에 활용된다. 이처럼 국가하천의 정비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여러 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나 사업종료 후 사업에 관한 적절한 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토부에서는 「하천에 관한 사무처리규정」에 따라 매년 6월 국가하천 제방정비에 관한 평가를 수행 중에 있으나, 이는 제방에 관한 평가만을 수행하며 사업 자체에 관한 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예산과 관심이 집중되는 국가하천사업이 완료되고 난 후 사업에 관한 평가를 통해 각 사업별 비교·분석이 가능한 표준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의 경우 사업이 진행되는 단계인 '기본계획수립 단계', '실시설계 단계', '시공 단계' 세 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총점이 100점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평가기법의 경우 우선 국가하천사업을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나 추후 지방하천, 소하천사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평가기법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est-bed 사업들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적용하였으며, 필요한 수정·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하천사업 사후 평가기술의 개발로 사업 간의 비교·분석이 가능해질것이며, 각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하천사업의 계획, 설계 시 벤치마킹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triggering criteria for termination of drought response stages linking with real-time drought index and reservoir water level (실시간 가뭄지수 및 저수지 수위변동성을 통합한 다목적댐 단계별 가뭄해제기준 개발)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Hur, Young 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43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의 시 공간적 변동성 및 패턴변화는 다목적댐 등 수자원시설물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미래 용수공급의 안정성에 많은 어려움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름철 홍수기 유입량에 의존하고 있는 기존 다목적댐 저수지 운영기준으로는 더 이상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만족하기 어렵다. 주요 취수원인 다목적댐에서의 가뭄단계는 기준저수량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며 가뭄단계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총 4단계로 구분되며, 해당 기준저수량 이하로 저수량이 저하될 경우 가뭄단계가 발령 및 용수제한공급이 시행된다. 그러나 가뭄단계별 해제의 경우, 정상 용수공급 환원기준에 도달하여야만 용수공급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정상환원공급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가장 심각한 단계의 용수공급 제한을 감수하여야 한다. 반면,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가뭄대응 단계 발령 및 해제기준을 기상 및 수문조건 그리고 저수지 수위의 유지 상태 등 다양한 조건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단위 실시간 가뭄(유입량) 지수(SFI, Standard Flow Index)와 단계별 저수지 수위의 유지 기간을 통합한 가뭄대응 단계별 해제기법을 개발하였다. 최적 해제기준 도출을 위해 낙동강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다양한 가뭄해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가뭄대응 단계별 해제기준에 대한 정량적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PDF

Use case - Driven Project Management Technique (유스케이스 기반의 진척 관리 기법)

  • 이광찬;백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45-447
    • /
    • 2004
  • 최근의 정보시스템 개발은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로서 반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을 따른다 반복(Iteration)이란 정보시스템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과정을 기존의 Waterfall방식으로 개발하지 않고, 각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의 단계, 액티비티 그리고 하위의 타스크에 해당하는 산출물 완성유무를 가지고 프로세스 측면의 공정 진척을 적용하게 되면 프로젝트 현 시정의 공정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요구되어지는 유스케이스 기반의 프로덕트 중심의 공정 진척 관리에 필요한 기법들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스케이스가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배포되는 과정에 있어서 산출물 기반 진척관리에 대한 기법을 제안함으로서 반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진척 관리 체계화를 증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MIDP에뮬레이터를 이용한 미들랫슈트의 구현사례에 관한 연구

  • Woo, Wo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67
    • /
    • 2009
  • 본 논문은 MIDP에뮬레이터를 이용한 미들랫슈트의 전 개발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개발 툴 독립적인 모바일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미들랫, Manifest, JAR, JAB, 미들랫 슈트의 각 단계별 개발 스트림의 사례를 예시함으로써 DOS환경에서의 미드랫 슈트의 개발과정을 완전히 숙지하여 NetBeans 모빌리티팩이나 Eclipse와 같은 통합개발환경이나 자바 Wireless Toolkit과 같은 프로젝트형 개발환경에서 자바모바일프로그램의 개발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자바 모바일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와 문헌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미들랫슈트의 개발스트립을 각 단계별로 구현하였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위한 단계적 B-ISDN 구축

  • 남택용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12
    • /
    • pp.152-165
    • /
    • 1995
  • 본 논문은 단계적으로 B-ISDN을 구축할 때 단계구분의 기준으로 널리 이용되는 ITU-T의 3단계 B-ISDN 신호(망제어) 능력의 주요 특성과 능력차이를 살펴보고, 이 능력기준에 의거해 구현된 B-ISDN간에 호환성을 고려한 네가지 망진화 방안들을 제안한다. 또한 B-ISDN 구축을 위해 현재 진행 중인 HAN/B-ISDN 연구개발 사업의 체계종합 연구 결과로 제시하는 단계별 B-ISDN 구축방안과 각 단계별 망의 형상과 주요 특징을 소개한다. 그리고, 신호 능력 단계에 따른 망 진화 방안으로서, 1 단계 망으로부터 2 단계 망으로 진화해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기능을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HAN/B-ISDN 사업에서 추구하는 단계별 망의 진화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해 수반될 B-ISDN과 이종망간 연동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B-ISDN과 프레임릴레이망, N-ISDN등의 기존 유선 통신망과의 연동과 위성통신 및 이동 통신망, 그리고 ATM-Forum 규격을 토대로 한 사설 ATM망의 수용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n Approach to Self-Adapt ive Software using Goals and Scenarios (목표와 시나리오를 이용한 적응형 S/W 개발 방안)

  • 김동선;박수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373-375
    • /
    • 2004
  • 소프트웨어가 수행되는 환경은 점점 복잡해지고,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자율성과 견고성을 달성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 중에 하나이다. 적응형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자율성과 견고성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적응형 소프트웨어는 환경과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고 현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방법을 스스로 판단하여 소프트에어의 구조 및 행위를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개발 초기단계에서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추출된 목표와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어떻게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각 기능을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조립식 화장실벽체 P/C에 대하여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
    • /
    • pp.99-102
    • /
    • 1990
  • 최근들어 심화되고있는 자재난과 인력수급난등은 작업을 원활치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공기를 지연 시키고 있어 건설업계가 호황속에 불황을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 스스로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어 신자재 개발 및 신공법 개발을 더욱더 서두르고 있다. 몇몇 건설업체들은 이미 자동화 공정 미 건식공법 등을 도입 실용 단계에 들어갔으며 시험단계 중인 업체들도 상당수를 차지해 조만간 걸설업계에도 신공화법의 바람이 불 것으로 관련인들은 내다보고 있다. (주)한양 기계부는 그동안 화장실 벽체 배관의 공장 조립 시공화 방안을 연구 검토한 결과 그 타당성이 인정되어 올해 초부터 이 방안을 본격적으로 시공에 착수했다. 이에 본지는 신공법 개발의 한 분야로 이 방안을 소개 한다.

  • PDF

다목적실용위성의 발사의의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70
    • /
    • pp.21-23
    • /
    • 1999
  • 우리나라 우주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초보단계의 수준이나 위성체 구조물 기술, 로켓 구조체 기술 및 위성수신기기 분야 등에서는 상당수준의 기술을 확보하였다. 92년 발사된 실험용 소형과학위성인 "우리별 1호"로 우주개발에 착수한 우리나라는 무궁화위성 1,2호 사업을 통해서 위성통신 시스템 및 관련부품에 대한 요소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며, 다목적 실용위성 개발사업을 통해서 우주산업 기반기술을 확보한 단계이다. 이번호에서는 오는 12월에 발사예정인 다목적실용위성의 개발과정과 의의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