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 단계

Search Result 9,91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oncurrent Engineering A, pp.oach to Expert System Development (동시공학적 전문가시스템 개발방법론)

  • 박광호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 no.1
    • /
    • pp.73-89
    • /
    • 1995
  • 전문가시스템이 등장한지도 근 20년이 흘렀고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의 중추적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렇게 전문가시스템이 연구단계에서 벗어나 실용화됨에 따라 전문가시스템의 개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학계가 산업계가 새로운 연구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지식획득 기술의 개발에 치중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방법이 제시된다. 이 접근벙법은 시간과 인력 등 자원의 제약을 받는 전문가시스템 개발프로젝트에 적합한 것으로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개념을 채택하고 있으며 개발 라이프사이클 모델, 프로젝트팀 구성방법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동시공학적 접근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분석과 설계방법으로는 객체지향기술을 사용하며 개발단계별로 해당 모델이 산출물로 구축된다.

  • PDF

An Early Software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Analysis and Design Phase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의 초기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

  • 류연호;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76-378
    • /
    • 2003
  • 소프트웨어 개발 중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산출물을 이용하여 개발될 소프트웨어의 신뢰도를 예측하는 초기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보증하는 유용한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은 개발될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한정하여 신뢰도를 예측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 연계된 신뢰도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과 개발자의 개발 능력이 개발될 소프트웨어 신뢰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존 시스템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초기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을 기준으로 개발자의 개발 능력을 고려한 종합적인 초기 신뢰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Learning Platform based on Linux -e-Learning Contents Design Module with ISD Model- (리눅스 기반 인터넷 원격 교육 시스템 개발 - ISD Model 지원 교육용 컨텐츠 설계 모듈 -)

  • 성평식;박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5-183
    • /
    • 2001
  • 지난해부터 인터넷 분야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을 갖춘 사업 분야로 e-Learning 분야가 손꼽히면서 많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우후죽순처럼 등장해 이미 1,000여 개의 서비스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은 무엇보다도 학습용 컨텐츠의 품질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 할 때 한국의 온라인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부실하기 이를 데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는 S/W 공학에서 S/W 품질 보장을 위해 개발 방법론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Method II등 여러 도구들이 보급되고 있는데 비해 학습 컨텐츠는 그 중요도와 개발이 복잡하고 정교함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개발방법론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없음에 기인하는바 크다 할 수 있겠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MacroMedia Director나 ToolBook, Authorware등 일반적인 저작 도구나 웹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Dreamweaver등의 HTML Editor만 있으면 컨텐츠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육 학습용 컨텐츠의 개발 주기를 살펴보면 요구 분석->교수 설계->저작->평가->배포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사실 요구 분석과 교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게 되며 이 학습 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IT 분야 지식보다는 오히려 교육 공학적 지식이 더욱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 단계의 절차적 복잡성과 전문성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들이 제대로 개발 주기를 거치지 못하고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Optimal Effort Alloca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hase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별 최적의 노력 할당)

  • 박재흥;노명옥;하석운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3
    • /
    • pp.295-306
    • /
    • 2002
  • Successful project planning relies on a good estimation of the effort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together with the schedule options that may be available.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done developing new and better models, existing software effort estimation models are present only the total effort and instantaneous effort function for the software life-cycle. Also, Putnam presents constant effort rate in each phase. However, the size of total effort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software pro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ts size, complexity and oper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allocated effort in each phase also differ from project to project. This paper suggests the criteria for effort allocation in planning, specifying, building, testing and implementing phase followed by the project total effort. These criteria are derived from 183 different projects.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as a practical guideline in management of project schedule and effort allocation.

  • PDF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s Risk Factors for High-Rise Development Project (초고층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단계별 리스크 요인의 특성 분석)

  • Chun, Young-Jun;Cho, Joo-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4
    • /
    • pp.103-115
    • /
    • 2016
  • The 106 buildings of 200 meters' height or greater were completed around the world in 2015 (CTBUH, The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They beat every previous year on record, including the previous record high of 99 completions in 2014. This brings the total number of 200-meter-plus buildings in the world to 1,040, exceeding 1,000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marking a 392% increase from the year 2000, when only 265 existed. South Korea recorded three completions during 2015 - improving slightly over 2014, in which it had on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 project risks have not reduced in Korea in spite of numerous studies and measures. And it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existing studies and measures have been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accurat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measures and class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s risk factors in the hope that its results would be one reference point as to the measure to prevent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 project risks in the future. A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 project is the high risk project as compared with the low-rise project. Because a high-rise development project takes long and is very sensitiv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succeed the project it becomes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the risk involved in the process of the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guideline to make the risk management system for the high-rise development project.

Development of Site Characterization Technologies for Crystalline Rocks at Mizunami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MIU) - Surface-based Investigation Phase - (미즈나미 지하처분연구시설 결정질암에 대한 부지 특성규명 기술 개발 -지표기반 조사단계-)

  • Hama, Katsuhir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2
    • /
    • pp.115-131
    • /
    • 2013
  • The Mizunami Underground Laboratory (MIU) Project is a comprehensive research project investigating the deep underground environment within crystalline rock being conducted by Japan Atomic Energy Agency. The MIU Project has three overlapping phases: Surface-based Investigation phase (Phase I), Construction phase (Phase II), and Operation phase (Phase III), with a total duration of 20 years. The overall project goals of the MIU Project from Phase I through to Phase III are: 1) to establish techniques for investigation,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deep geological environment, and 2) to develop a range of engineering for deep underground application. For the overall project goals 1), the Phase I goals were set to construct models of the geological environment from all surface-based investigation results that describe the geological environment prior to excavation and predict excavation response. For the overall project goals 2), the Phase I goals were set to formulate detailed design concepts and a construction plan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This paper introduces geosynthesis procedures for the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the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in crystalline rock.

Measuring complexity of a component interface in the component analysis phase (분석단계에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복잡성 측정)

  • Ko, Byung-Sun;Park, Jai-N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103-2106
    • /
    • 2002
  • 독립적인 재사용 단위인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시스템을 개발하는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품질은 각 개별 컴포넌트의 품질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품질 향상과 컴포넌트의 폭넓은 사용을 위해 개별 컴포넌트에 대한 품질 측정이 필요하다. 각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분석단계의 정보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인터페이스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얼마나 복잡한지를 측정한다. 이러한 독립적인 개별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 복잡성 측정은 크기에 기반을 두며,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주기의 초기 단계인 컴포넌트 분석단계 산출물에 대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정을 통해, 컴포넌트 개발에 대한 노력, 비용 및 시간, 결함 발생률, 사용 용이성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개발될 컴포넌트의 생산성 및 품질을 예측 및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Systematic Rule Derivation Process for the Expert system Development (전문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규칙추출 프로세스 방안)

  • 김화수;김세겸;조동래;김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79-88
    • /
    • 1999
  •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규칙추출에 관련되는 지식공학자의 인력 부족자 전문분야에 적합한 지식공학자 확보에 따른 비용 증가, 지식공학자 수행 프로세스의 비 정형화로 인하여 특정한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때마다 관련된 지식획득 과정의 어려움 발생,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개발 과정 수행에 따른 비현실적인 지식베이스 구축 등의 현존 문제점은 효율적인 전문가 시스템 개발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체계적인 규칙추출을 위하여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한 분석단계까지를 5개 단계로 세분화하여 지식획득과정을 강화하였고, 각 단계별로 지식공학자가 수행해야 하는 프로세스와 각 프로세스별로 지식공학자가 실질적인 작업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는 태스크를 정형화하였다. 규칙추출 프로세스/태스크를 체계적으로 정형화하는 것은 성공적인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며, 개발자가 지식공학자의 역할을 대행할 수 있으므로 지식공학자의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시스템의 적용 분야에 대한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 PDF

A Design of Process for Requirements Prioritization (요구사항 우선순위 프로세스 설계)

  • Seong, Jae-Seok;Kang, Dong-Su;Song, Chee-Yang;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13-18
    • /
    • 2008
  •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에 있어 요구사항 분석 단계는 개발 프로세스의 최 상위 단계로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특히, 반복 점증적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 고객 요구사항을 우선순위화하여 제한된 일정과 자원을 활용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기존 방법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SW QFD를 활용하여 고객관점 우선순위에 개발 관점을 추가하고 하위 수준 (Low Level) 요구사항까지 우선순위화 하는 Enhanced SW QFD 방법론을 제안한다. 고 품질의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을 위해 고객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고객과 개발자 양방향 관점 우선순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Production Readiness Review System for Defense Acquisition Area (국방분야 생산준비검토 체계 개발)

  • Kim, In-Sik;Kim, Deok-Hwan;Choe, Jae-Seung;Kim, Y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방 분야의 생산준비검토(PRR) 체계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생산준비검토는 생산 단계 시작 전에 개발 결과물이 생산 가능한 수준이 되었는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생산준비검토를 통해 개발문제로 인한 생산단계의 품질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품질개선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준비검토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생산준비검토를 위한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생산준비검토를 위한 점검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생산준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