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 변화

Search Result 4,29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Green IT Evaluation Indicators (그린 IT 평가 지표 연구)

  • Kang, Young-mo;Kang, Chan-woo;Han, Kyeong-seok;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801-810
    • /
    • 2015
  •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progressing in the world, Green IT technologies have also developing rapidly. As green IT technologies against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the agenda of social sciences, the concept of green IT has evolved into two types: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ed in depth green IT research trends as well as concepts of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Furthermore, it proposed a life cycle assessment (LCA) as an indicator for assessing green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political problems with green IT and continuing research in the climate change era. They are also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in Korea by presenting the concepts of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 PDF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s of Inequality (소득불평등 개념과 실태)

  • Yoo, Gyeongjo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0 no.3
    • /
    • pp.103-13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compare the awareness of inequality concept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the survey, (2) to identify whether several inequality measures, which have diverse concepts, are different in empirical aspect, and (3)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income distribution policy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has shown a surprising fact in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o not agree with the basic assumptions outlined by Gini coefficient, which is the relative inequality measures that had been generally accepted in the past. These result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other countries. However, the major difference with other countries is that the Koreans feel that absolute income inequality-the income gap between the poor and rich, has increased more than relative income inequality, when all incomes of social members are doubled. From the resul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bi-polarization index is different from Gini coefficient in statistical aspect although it has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should seek to promote "the pro-poor growth" since the change of inequality affect differently on the change of growth and inequality depending on whether the inequality change is relative or absolute.

  • PDF

Mechanical evolution of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d rock mass - A review on ANDRA's case - (방사성 폐기물 지층 처분장과 암반의 역학적 특성 변화 - ANDRA의 예 -)

  • Chung, So-Keul;Synn, Joong-H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8 no.3
    • /
    • pp.165-174
    • /
    • 2008
  • Thermo-hydro-chemico-mechanical evolution of th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d surrounding geological media is one of the key issues for the radioactive waste disposal. This article describes not only the basic context for the site selection but also a reasonable strategy for the repository related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rench repository project carried out by ANDRA (Nationa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gency). To have some alternatives for the determination of a preferable depth and geological media, it would be recommendable to establish a database system. The curing process of the fractures or microfissures in the EDZ (Excavation Disturbed Zone) during operation time has to be examined considering the evolution of the EDZ and the reversibility of the repository. It is prerequisite to carry out a feasibility study and to validate the design concept and design parameters in a properly constructed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URL) in Korea.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and prevention system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난관리 협력방안 및 방재시스템 구축 연구)

  • Cho, Sung Yoon;Park, Hyo Seon;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1-581
    • /
    • 2015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연재해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기상청에 의하면 서울특별시의 2005~2014년의 강수량은 1970년대에 비해 여름철에 38.7% 증가한 반면, 나머지 계절은 8.7%감소하여 홍수와 가뭄의 빈도가 상승하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도권 지역의 경우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 면적 증가로 하천변의 홍수 피해지역이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해 발생 규모는 점차 대형화되고 유형 또한 다양화되어 재해 발생 시 단순히 단일 지역이 아닌 여러지역에 걸쳐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때문에 협력과 연계를 통한 치수대책이 효과적이지만, 현재 재해관련 업무는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으며 지자체간 협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해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자체들의 개별화 되어있는 대책을 서로 연계하는 방재협력시스템과 방재 대책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외 방재정책의 패러다임을 진단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과 자료 및 도시의 협력대응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새로운 방재시스템을 제시하고 재난관리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재시스템은 복구와 구조물적 대응 위주인 기존의 방재 패러다임에서 예방에 의한 방재와 탄력적 대응을 도입하도록 하여 예방적 차원의 이슈를 논의하고 비구조물/구조물 융합형 방재 개념을 실제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내 도시방재형 패러다임을 분석한 결과, 인접지역의 계획간 연계가 부족하여 정책적 사각이 발생하고, 재해취약지역이 적절히 관리되지 못할 위험성이 존재하며 환경이나 지속 가능성에 취약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권 내 지방자치 단체 간 협력을 통하여 사용할탄력적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 개념의 적용을 통하여 효율적 재해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 제안을 기반으로 수도권 내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지역이 상호 협력하여 탄력적인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14년 인쇄산업 경기 전망 - 변화에 적응할 것인가, 도태될 것인가

  • Kim, Jong-Dae
    • 프린팅코리아
    • /
    • v.13 no.1
    • /
    • pp.54-55
    • /
    • 2014
  • 한국후지제록스가 국내에 디지털 인쇄를 처음으로 소개하기 시작한 1990년대만 해도 '디지털 인쇄'라는 개념 자체가 시장에 성립돼 있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그 누구도 디지털 인쇄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는다. 지난 수년간 웹, 모바일, SNS 등 미디어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소비자들의 행동 양식과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인쇄 시장에 대한 요구 또한 달라졌다. 이러한 변화의 급물살과 함께 2014년에도 큰 성장이 예상되는 디지털 인쇄 시장에는 어떠한 변화들이 있을까?

  • PDF

Change Types of the Library Re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New Environment - Focused on the Team Organization - (환경변화에 따른 도서관조직의 변화유형 - 팀 조직을 중심으로 -)

  • 나세나;홍현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51-154
    • /
    • 1998
  • 21C를 맞이하여 도서관의 환경은 점점 더 변화되어가고 있고, 기존의 자료의 보존이나 처리기능에서 이용자중심으로의 역할변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용자중심의 도서관이 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조직구조보다는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조직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조직유형의 한 방법으로 팀조직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조직의 개념과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최근에 외국도서관에서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팀조직의 유형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이와 함께 도서관조직에 팀조직의 효율적인 활용가능성과 응용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CC 3.0의 변화 내용 분석

  • 강연희;김정대;최상수;이강수
    • Review of KIISC
    • /
    • v.15 no.4
    • /
    • pp.80-96
    • /
    • 2005
  • ISO/IEC ISO/IEC 15408인 CC(Common Criteria)는 전세계 정보보호 학계와 산업 분야에서 정보보호 기능과 보증에 대한 표준적 개념, 평가 및 분류체계로 자리매김했다. 현재의 공식적인 버전은 CC 2.2이지만, 2004년 3월에 CC 2.4(초안)가 발표된 후, 공식버전이 되기도 전인 2005년 7월에 CC 3.0 (초안, 수정 2판)이 발표되었다. CC 3.0은$50\%$이상 대폭 변화되었으며 지난 10년간 경험했던 CC의 문제점을 해결하려한 흔적이 역역하다. 본 논문에서는 CC 3.0의 변화를 CC 2.4와 함께 조사 및 분석하였고 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을 제시한다.

Conceptual process establishment of robust water resources planning strategy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a pilot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robust한 수자원 시설 계획에 대한 개념적인 기본 구상과 제언)

  • Ryu, Tae Sang;Cheong, Tae Sung;Kim, Sung Hoon;Lee, Woo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9
    • /
    • 2017
  • 한반도 기후변화 경향은 이미 기상 생태 환경 수자원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감지되고 있다(기상청, 2011a, 2011b).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강우패턴은 첨두강우가 7월에서 점차 8월로 이동 변화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양적으로 연강수량은 점차 감소가 전망되면서도 극한 값은 발생빈도와 크기가 점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래서 그간 기존댐에 대한 재평가(1998, 2010, 2012)와 발생 가능한 최대강우량 설계기준으로 기존 댐의 여수로 배제 능력을 증대시키는 비상여수로 설치 등 기존 댐 시설위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또는 적응 방안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상황은 전에 발생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기상이변과 재난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기상 변화에 하나의 시설로서 대응 하던 방식에서 한 번의 기상이변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재난을 발생하는 최근의 상황에 맞추어 수자원 시설을 계획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장래 전망되는 기후변화를 감안하여 이수와 치수 시설의 가뭄과 홍수에 대한 대처 능력을 유역 차원에서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Robust 하다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작동이 되는 것을 말하는 강건한 계획으로, 이와 같은 시설 계획을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시설물에 대한 회복력을 판단하는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용수공급이든 홍수 재난이든 회복력(복원력)에 대한 평가를 하고, 대안에 대한 로버스트 의사 결정 방법(RDM: Robust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여 우수한 대안을 찾으면 강건한 시설계획 수립이라는 절차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력(복원력)을 갖는 로버스트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과거 연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연구 수행 절차를 마련한 후에 장래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시범 유역에 적용하여 수자원 시설의 복원 또는 회복력을 분석하고, robust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로버스트 수자원 시설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와 함께 이수와 치수 시설의 종합적인 계획 등에 대한 개념적인 절차와 방법의 제시를 도모하였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Uncertainty of the operational models in the Nakdong River mouth (낙동강 하구 환경변화 예측모형의 불확실성)

  • Cho, Hong Yeon;Lee, Gi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
    • /
    • 2022
  • 낙동강 하구 환경/생태 복원을 위하여 "해수유입"으로 하구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해수 유입 규모와 빈도에 따른 생태환경변화를 예측하는 연구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기간의 해수유입에 의한 흐름 및 염분 확산범위 예측과 더불어 보다 장기간의 지형변화, 수질환경 변화, 생태환경 변화 등에 대한 예측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그 예측의 대부분을 수치모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수치모형을 이용한 단기 예측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입력조건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력조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포함되고, 환경생태모형의 불확실성에 따른 예측 한계 등으로 인하여 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활용에 크게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운영과정에서 어떤 분산, 편향 오차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신뢰수준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모델의 적절한 운영기법이 요구된다. 모델은 관심을 가지는 자연현상에 대한 근사(approximation)이고, 예상하지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data assimilation) 과정이 운영모델에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론적인 기반이 탄탄한 유체역학 기반 기상예측의 경우에도, 가용한 모든 지점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 동화과정을 통하여 모델 예측 결과를 개선하여 나가는 과정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이 포함하는 중요한 개념은 수치모델이 가지고 있는 (예측 수준의) 한계를 인정하고, 수치모델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그 한계를 저감하여 나가는 과정이다. 모니터링은 모델의 한계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모델링과 모니터링의 불가피한 상호의존 관계를 의미하는 이 개념은 단기간의 흐름, 염분 확산 예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생태환경변화 모델에도 적용이 된다. 즉각적인 변화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야 하는 생태학적인 변화는 보다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어떤 측면에서는 모델보다는 적절한 빈도와 항목에 대한 관측계획 수립(monitoring design)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인 질량보존(mass conservation)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은 다양한 현실적인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델의 한계를 인정하고, 모니터링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불확실성을 저감하는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