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활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 개발 및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유은영;김상건;정기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7-32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의 연구 및 안전성 평가연구로서 H$_2$-rcccptor길항제와 한방에서 건위역으로 이용되는 생약추출물 (생강, 정향 및 후박나무의 수피추출물,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이 화합물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향신료 등의 첨가제로 이용되는 monotcrpcnoids중 $\alpha$-pinene, limonenc, gcraniol 및 cincol 이 phase II 효소계중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class alpha 및 mu family계 효소와 microsomal cpoxidc hydrolase(mEH)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PDF

한국강활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ang Whal from Korea)

  • 박종희;배지영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07
    • /
    • 2007
  • Chinese crude drug 'Kang Whal' has been used mainly as a headache in common cold, rheumatic arthralgia and aching of the back and shoulder.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Kang Whal from Korea,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Ostericum koreanum Maxim. and Notopterygium incisium Ting ex H.T.Chang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Kang Whal from Korea was the underground part of Ostericum koreanum.

강활 Angelica koreana $M_{AXIMOWICZ}$ 과실의 Coumarin 성분 (Coumarin Components in the Fruits of Angelica koreana $M_{AXIMOWICZ}$)

  • 육창수;류경수
    • 생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32
    • /
    • 1970
  •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n the ether extract from the fruits of Angelica koreana $M_{AXIMOWICZ}$ gave two kinds of crystalline products of coumarin. The following furocoumarins-imperatorin and bergapten has been identified by elemental analysis, IR, NMR spectra and physico-chemical tests.

  • PDF

강활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aximowicz)

  • 류경수;육창수
    • 약학회지
    • /
    • 제12권3_4호
    • /
    • pp.50-58
    • /
    • 1968
  •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_{AXIMOWICZ}$ (Umbelliferae) known as "Kang-whal" in Korea use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cold, headache and gout etc. The comparative anatomy of Angelica Koreana $M_{AXIMOWICZ}$ and A. purpuraefolia $C_{HUNG}$ was presented. A great part of the report was dealed with the differences in the comparative histology of root, stem, main vein in leaf and fruits.

  • PDF

강활(Angelica koreana MAX.) 조직배양을 통한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생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Angelica koreana MAX.)

  • 장기원;민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37-541
    • /
    • 1994
  • 식용 또는 약용으로 그 이용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강활의 미숙화서, 줄기, 그리고 엽병으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발생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캘러스 유도와 증식정도는 미숙화서를 2,4-D 2mg/l 첨가배지에 치상했을 때 가장 양호하였 다. 2. 2,4-D 1mg/l와 2mg/l 첨가배지에서 미숙화서로부터 유도된 담황색의 유연한 캘러스 표면에 희고 단단한 embryogenic 캘러스가 발생하였고, 그외 배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3. 줄기 발생은 2,4-D 0.1mg/l와 Kinetin 1mg/l 그리고 2,4-D 0.5mg/l와 Kinetin 2mg/l를 각각 조합한 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이었다. 4.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생에 가장 적합한 재료는 미숙화서라 생각된다.

  • PDF

강활 노두의 정식적기 (Optimum Transplanting Time of Ostericum koreanum Kitakawa)

  • 허봉구;심용구;김영효;김수용;최경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44
    • /
    • 2006
  • 강활의 재배면적 136 ha 중에서 재배면적이 70%에 달하는 북강활의 노두번식 재배시 묘종의 정식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정식기를 3월 2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5월 1일까지 정식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토양의 화학성은 비옥도가 중간정도인 보통밭이었다. 2. 재배 기간중의 3년간 평균기온은 3월 하순을 제외하고 평년에 비해 낮은 편이었으나 4월 중순 이후의 강우량은 많았다. 3. 정식시기가 빠를수록 출현율, 추대율이 높았으며 초장과 경장이 길고, 분지수가 많았으며 생육도 양호하였으나 경직경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수량구성 요소들은 4월 1일 정식한 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수량도 251 kg/10g으로 3월 20일 정식한 구보다 13% 증수되어 정식적기는 4월 1일 전후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IV) -강활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V) -Essential Oils of Angelicae koreanae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5
    • /
    • 1993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ax.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nine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7.0%), camphene, ${\beta}-pinene$, myrcene, ${\alpha}-phellandrene$, ${\Delta}-3-carene$, p-cymene, limonene(2.8%),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m-cresol(11.6%), citronellol, citral b, methylcinnamate, eudesmol and osthol. 2-Hydroxy-5-methylacetophenone and twelve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