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크기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f Tire Curing Bladder shaping by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타이머 Curing Bladder Shaping엔 관한 연구)

  • 김천식;김항우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2.10a
    • /
    • pp.3-3
    • /
    • 1992
  • 타이어 Curing공정은 공기압 타이어의 제조시 상당히 정교한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는 타이어 설계에 큰 영향을 줄 뿐만아니라, 타이어의 성능에도 관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molding 공정을 분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MARC가 Cured 타이어 내부의 Curing Bladder 팽창과정해석에 이용되었다. 비압축성 요소로 Curing Bladder를 모형화하였으며, MARC의 접촉문제해석기법(contact option)을 이용하여 Cured 타이어 내부와 Curing Bladder 외부의 접촉부위를 Simulation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내용으로서는 Curing Bladder의 형상변화에 따른 Curing Bladder의 팽창거동해석과, Cured타이어와 Curing Bladder의 접촉부위에서 얻을 수 있는 접촉압력의 비교.검토이다. 타이어 Curing시 타이어와 Bladder의 Contact과정을 해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Bladder의 형상은 Cylinderical 형상 보다는 Toroidal 형태가 접촉압 분포의 균일성 및 크기 측면에 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Curing Bladder의 증심선 부위 보다 이에서 약간 떨어진 부위에서 최대 접촉압력이 발생되며, 이는 타이어 내면의 굴곡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윰 것으로 사료된다. 타이어 Bead부의 Carcass 자연평형현상이 유지된 제품을 얻기위해서는, Side-Bead구간의 접촉압력 증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는 Bladder 형상이 Cylinderical 보다는 Toroidal 형태가 유리하고, Bead부의 Gage Down, 전체직경의 증가 및 높이의 증가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타이어 Curing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제품의 원인파악 및 타이어 설계자가 원하는 제품생산의 불가능한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를 C의 structure와 pointer를 기반으로 하게끔 변경시키고 이에 따르는 제반 변경 사항을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며 기능의 변경 및 추가가 수월하게 하였고 메모리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smpl에 디버깅용 함수 및 설비(facility) 제어용 함수를 추가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who_server(), who_queue(), pop_Q(), push_Q(), pop_server(), push_server(), we(), wf(), printfct() 같은 함수들이다. 또한 동시에 발생되는 사건들의 순서를 조종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각의 사건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 우선 순위에 의하여 사건 리스트(even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

  • PDF

Parameter-Efficient Neural Networks Using Template Reuse (템플릿 재사용을 통한 패러미터 효율적 신경망 네트워크)

  • Kim, Daeyeon;Kang, Woochu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5
    • /
    • pp.169-176
    • /
    • 2020
  • Recently, deep neural networks (DNNs) have brought revolutions to many mobile and embedded devices by providing human-level machine intelligence for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high inference accuracy of such DNNs comes at high computational costs, and, henc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efforts to reduce computational overheads of DNNs either by compressing off-the-shelf models or by designing a new small footprint DNN architecture tailored to resource constrained devices. One notable recent paradigm in designing small footprint DNN models is sharing parameters in several layers. However, in previous approaches, the parameter-sharing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large deep networks, such as ResNet, that are known to have high redundan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meter-sharing method for already parameter-efficient small networks such as ShuffleNetV2. In our approach, small templates are combined with small layer-specific parameters to generate weights. Our experiment results on ImageNet and CIFAR100 datasets show that our approach can reduce the size of parameters by 15%-35% of ShuffleNetV2 while achieving smaller drops in accuracies compared to previous parameter-sharing and pruning approaches. We further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efficient in terms of latency and energy consumption on modern embedded devices.

Analysis of Hydrological Impact for Long-Term Land Cover Change Using the WMS HEC-1 Model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WMS HEC-1을 이용한 안성천 평택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의 수문 경년변화 분석)

  • Kim, Seong-Joon;Park, Geun-Ae;Jung, In-Kyun;Kwon, Hyung-J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4
    • /
    • pp.609-6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al impact due to temporal land cover change by gradual urbanization of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 -cheon. WMS HEC-1 was adopted, and DEM with 200$\times$200m resolution and hydrologic soil group from 1:50,000 soil map were prepared. Land covers of 1986, 1990, 1994 and 1999 Landsat TM images were classified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watershed showed a trend that forest & paddy areas decreased and urban/residential area gradually increased for the period of 14 years. The model was calibrated at 2 locations (Pyeongtaek and Gongdo) by comparing observed with simulated discharge results for 5 summer storm events from 1998 to 2001. The watershed average CN values varied from 61.7 to 62.3 for the 4 selected years.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eamflow by temporal area change of a target land use, a simple evaluation method that the CN values of areas except the target land use are unified as one representative CN valu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method, watershed average CN value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paddy, forest and urban/residential, respectively.

Optimization of Stream Gauge Network Using the Entropy Theory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한 수위관측망의 최적화)

  • Yoo, Chul-Sang;Kim, In-B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61-172
    • /
    • 2003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stream gauge network with the main emphasis on if the current stream gauge network can catch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As the evaluation of the stream gauge network in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a special purpose of a stream gauge, nor the effect from a hydraulic structure, it becomes an optimization of current stream gauge network under the condition that each stream gauge measures the natural runoff volume. This study has been applied to the Nam-Han River Basin for the optimization of total 31 stream gauge stations using the entropy concept.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unit hydrograph representing the basin response from rainfall can be transferred into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entropy concept to optimize the stream gauge network. (2) Accurate derivation of unit hydrographs representing stream gauge sites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evaluation of stream gauge network, which was assured in this research by comparing the measured and derived unit hydrographs. (3) The Nam-Han River Basin was found to need at least 28 stream gauge stations, which was derived by considering both the shape of the unit hydrograph and the runoff volume. If considering only the shape of the unit hydrograph, the number of stream gauges required decreases to 23.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with Spatio-Temporal Pattern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 Lee, Jeong-Ju;Kwon, Hyun-Han;Kim, Byung-Sik;Yoon,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29-1433
    • /
    • 2010
  • 수공구조물의 설계,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 재해영향 검토 등을 수행할 때,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개념의 강우량, 홍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보통 대상지역의 장기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사상의 확률분포를 산정한 후 재현기간을 연장하여 원하는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양을 추정하게 된다. 미계측지역 또는 관측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은 지역의 경우는 지역빈도 분석 결과를 이용하게 된다. 지역빈도해석을 위해서는 강우자료들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 되며 이를 위해 통계학적인 범주화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점 빈도분석의 수문학적 동질성 판별을 위해 L-moment 방법, K-means 방법에 의한 군집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며 관측소 위치좌표를 이용한 공간보간법을 적용하여 시각화하고 있다. 강수량은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변량으로서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또한 강수량의 특성을 정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강수지점의 공간적인 좌표 및 강수량의 양적인 범주화에 초점을 맞춘 기존 지역빈도분석의 범주화 과정에 덧붙여 시간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요소들을 결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주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극치강수량의 발생 시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순환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관측 지점별 시간 통계량을 산정하고, 이를 극치강수량과 결합하여 시 공간적인 특성자료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한 군집화 해석 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과정에 있어서 시간속성의 정량화 및 일반화는 순환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극치강수량과 발생시점의 속성자료는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해 결합자료를 군집화 하고, L-moment 방법으로 지역화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속성 결합 자료의 군집화 효과는 모의데이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우리 나라의 58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예비해석 단계에서 100회의 군집분석을 통해 평균적인 centroid를 산정하고, 해당 값을 본 해석의 초기 centroid로 지정하여, 변동적인 클러스터링 경향을 안정화시켜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군집화 결과가 달라지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또한 K-means 방법으로 계산된 군집별 공간거리 합의 크기에 따라 군집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군집의 번호순서대로 물리적인 연관성이 인접하도록 설정하였으며, 군집간의 경계선을 추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지역빈도분석 결과는 3차원 Spline 기법으로 도시하였다.

  • PDF

On Estimating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Litter Layer at Gwangneung Deciduous Forest (광릉 활엽수림의 낙엽층 차단저류능 추정에 관하여)

  • Kang, Min-Seok;Hong, Je-Woo;Bong, Ha-Young;Jang, Hye-Mi;Choi, Myung-Je;Jang, Yoo-Hee;Cheon, Jeong-Hwa;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2
    • /
    • pp.87-92
    • /
    • 2011
  •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litter layer on hydrological cycle in forest, we estimated the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the litter layer at Gwangneung deciduous forest. We first made a thickness map of the litter layer at the study site based on field survey and then collected representative litter samples for the laboratory experiment. We constructed a measurement device consisting of sample tray, drain collector, tipping bucket, and a data logger. Using this devic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C_i$) and the thickness (d) of the litter layer. For the range of d from 25 to 100 mm, there was a simpl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_i$ and d, which changed with the intensity of the simulated rain. The results were extrapolated to d smaller than 25 mm by considering that no interception occurs without litter layer. Overall, $C_i$ increased rapidly when d was low (< 25 mm) but the rate of increase decreased as d increased due to clumping. With an average thickness of 59 mm, the estimated $C_i$ at the site was 0.94 (${\pm}0.39$) mm. Such an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the litter layer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forest canopy, suggesting that the litter laye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est water cycle.

Comparison of Runoff Models for Small River Basins (소하천 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 비교)

  • 강인식
    • Water for future
    • /
    • v.29 no.4
    • /
    • pp.209-221
    • /
    • 1996
  • It may be difficult to make exact estimates of peak discharge or runoff depth of a flood and to establish the proper measurement for the flood protection since water stages or discharges have been rarely measured at small river basins in Korea. Three small catchments in the Su-Young river basin in Pusa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reas. Various runoff parameters for the study areas were determined, and runoff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ree different runoff models available in literature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and the linear reservoir model. The hydrographs calculat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flood hydrographs, indicating that the models selected are all capable of sucessfully modeling the flood events for small watershed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gave the best results in spite of its weakness that it could not be applicable to small floods, while the linear reservoir model was found to provide relatively good results with less parameters. The capabilities of simulating flood hydrographs were also evaluated based on the effective rainfall from the storage function parameters, the $\Phi$-index method, and the constant percentage method. For the On-Cheon stream watershed, the storage function parameters provided better estimates of effective rainfall for regenerating flood hydrographs than any others considered in the study. The $\Phi$-index method, however, resulted in better estimates of effective rainfall for the other two study areas.

  • PDF

Comparison of Drought Index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Period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BARK, Min Woo;KANG, Seung mook;KWON, Hyung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1-391
    • /
    • 2018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Drought Index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ervoir Storage Data o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Kwon, Hyung Joong;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7-337
    • /
    • 2017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수량자료의 기간이 크면 빈도값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저수지 가뭄지수의 경우 저수량 자료가 누적될수록 좀 더 정확한 가뭄상황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for Enhancing Resilience to Debris Flow at the Vulnerable Areas (토석류 재해발생 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연구)

  • Kim, Sungduk;Lee, Hojin;Chang, Hyungjoon;Dho, Hyonse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8
    • /
    • pp.5-12
    • /
    • 2021
  •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increas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per typhoons and causes various types of sediment disasters such as debris flows in the mountainous area.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ehavior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multiplier value of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quantity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typhoon category. For the analysis of the debris flow,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for time elapse was applied. The larger the typhoon category, the higher the peak value of the flow discharge of debris flow and the faster the arrival time. When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multiplier is large, the fluctuation amplitude is high and the bandwidth is wide. When the slope angle was steeper, water discharge increased by 2~2.5 times or more, and the fluctuation of the flow discharge of debris flow increased. All of the velocities of debris flow were included to the class of "Very rapi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rosion or sedimentation velocity of debris flow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erosion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large-scale erosion occurred, and flowed downstre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predicting debris flow disasters, structural countermeasures and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for reinforcing resilience in vulnerabl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