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오차

Search Result 43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ase study on flood water level prediction accuracy of LSTM model according to condition of reference hydrological station combination (참조 수문관측소 구성 조건에 따른 LSTM 모형 홍수위예측 정확도 검토 사례 연구)

  • Lee, Seungho;Kim, Sooyoung;Jung, Jaewon;Yoon, Kwang 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2
    • /
    • pp.981-992
    • /
    • 2023
  • Due to recent global climate change, the scale of flood damage is increasing as rainfall is concentrated and its intensity increases. Rain on a scale that has not been observed in the past may fall, and long-term rainy seasons that have not been recorded may occur. These damages are also concentrated in ASEAN countries, and many people in ASEAN countries are affected, along with frequent occurrences of flooding due to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In particular, the Bandung region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Chitarum River basin in Indonesia ha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a basin, making it very vulnerable to flooding. Accordingly, through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Upper Citarium River basin in 2017 and is currently in operation. Nevertheless, the Upper Citarium River basin is still exposed to the risk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in the event of a flood, so efforts to reduce damage through fast and accurate flood forecasting are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iver flood water level forecasting model for Dayeu Kolot as a target station was developed by using 10-minute hydrological data from 4 rainfall stations and 1 water level station. Using 10-minute hydrological observation data from 6 stations from January 2017 to January 2021, learning, verification, and testing were performed for lead time such as 0.5, 1, 2, 3, 4, 5 and 6 hour and LSTM was appli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study, good results were shown in model fit and error for all lead times,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ediction accuracy according to the learning dataset condit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build an efficien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del as it secures prediction accuracy similar to that of using all observation stations even when there are few reference stations.

Reservoir Disaster Monitoring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무인항공사진을 이용한 저수지 방재 모니터링)

  • Park, Hong G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143-149
    • /
    • 2014
  • The Disaster planning for the reservoir should be more quickly and intuitively establish measures by means of the sequential monitoring of change status of the reservoir water level and water surface area.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using the orthophoto image produced by the periodic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and analyzed the feasibility. Total three time of unmanned aerial survey were conducted to make orthophoto images for the Seongnae reservoir and we analyzed the amount of changes for water level and surface area compare with each images. As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observe the increase in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surface area due to the rainfall. The maximum deviations of orthophoto images was 7.5cm in X-direction, 10.8cm in Y-direction and 14.1cm in elevation compare with ground surveying resul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could be applied with comprehensive reservoir monitoring works for disaster management for reservoir in the future. And, the orthophoto production takes about two hours to shoot the images, and approximately four hours is considered for the image processing. So, th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disaster work that requires urgent because analysis is possible in the shooting day.

The PC concrete Rainwater Storage Facility development for a prevention of disaster and a water resources re-application (방재 및 수자원 재활용을 위한 PC콘크리트 빗물저류조의 개발)

  • Chang, Young-Cheol;Cho, Cheong-Hwi;Kim, Ok-Soo;Oh, Se-Eu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79-883
    • /
    • 2005
  • 우리나라는 하천유역의 도시화 추세 속에 불투수층의 증가로 빗물의 일시 유출로 인한 홍수발생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방재적 차원에서의 수자원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 빗물과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에 의한 하천, 호소, 및 습지의 수질오염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제작된 PC 지하식 빗물저류시설로서 상부의 공간은 공원, 운동장, 주차장 등 다양하게 이용하면서 방재와 치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PC 콘크리트 빗물저류조는 현장 타설이 아닌 PC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작업환경 및 주변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지하수의 보전, 회복을 위한 빗물저류 침투 시설 역할도 수행하여 비상용수를 확보하고 여름철 홍수 시 빗물을 가두어 재해를 방지하는 등의 다목적 시설로 활용된다. 지하 매립형 빗물저류조는 기존의 암거설계기준을 참조하여 일본의 내진설계 기준을 반영하였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 또한 뛰어나다. 그리고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의 단축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빗물저류조 설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지하저류형 빗물저류조 시설로 설계되어 토지의 효과적인 이용이 기대된다. 2. 공사기간이 짧아 경제적이다. 3. 안정된 구조체이다. 4. 부지의 형태에 맞춘 시공이 가능하다. 5. 소규모에서 대규모의 유수지까지 광범위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6. 방재역할 수행 및 빗물이용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7. 불투수층이 증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적극 활용가능하다.로 판단된다.한 예비방류의 시행과 강우종료 후에도 이수용량에는 손실이 없는 저수지의 관리방안의 지침이 되는데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PDF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Using the Velocity Index Method (유속지수법을 이용한 자동유량측정)

  • Kim, Chi-Young;Kim, Won;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2-246
    • /
    • 2006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량측정 분야의 큰 변화의 방향은 자동화이다. 전자,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유량측정 분야에 적용하여 자동적으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유량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 초음파 유량계와 더불어 자동 유량측정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 유속지수법(index velocity method)이다. 유속지수법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수위 기록을 통하여 수위-면적 관계로부터 흐름 단면적을 구하고,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된 유속이 단면 평균 유속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흐름 단면적과 평균 유속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유속지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평균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유속지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유속지수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 목적으로 최근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DVM은 수중에 초음파를 발사해서 산란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편이, 즉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ADVM을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시험하천에 설치하여, 유속지수법에 의한 유량측정기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속지수법으로 측정된 유량을 괴산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4.0%의 상대오차를 지니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연속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지수법을 하천 유량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Prediction of Shore Tide lev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해안 조위예측)

  • Rhee Kyoung Hoon;Moon Byoung Seok;Kim Tae Kyoung;Oh jong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68-1072
    • /
    • 2005
  • 조석이란, 해면의 완만한 주기적 승강을 말하며, 보통 그 승강은 1일 약 2회이나, 곳에 따라서는 1일 1회의 곳도 있다. 조석에 있어서는 이 밖에 수일의 주기를 갖는 약간 불규칙한 승강, 반년, 또는 1년을 주기로 하는 다소 규칙적인 승강까지 포함하여 취급한다. 그러나, 각 항만마다 갖는 특정적인 주기인 수분내지 수십분의 주기의 승강은 조석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조석은 해양의 제현상 중에서 예측가능성이 가장 큰 현장으로 이는 조석이 천체의 운행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조석이란 지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각 고유의 속도를 가지는 적도상을 운행하는 무수의 가상천체에 기인하는 규칙적인 개개의 조석을 합성한 것이며 이 개개의 조석을 분조(Constituent)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신경망 모형은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는 블랙박스 모형으로서 하나의 시스템을 병렬적으로 비선형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과거 하천유역의 강우-유출과정에서의 경우 유출현상을 해석하고 유출과정을 모형화 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조위 예측방법인 조화분석법이 아닌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조위예측을 실시하였다. 학습이라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구조와 기능이 복잡한 자연현상을 그대로 받아들여 축적시킴으로써 이를 지식으로 현상에 대한 재현능력이 뛰어나고, 또한 신경회로망의 연상기억능력에 적용하여 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불확실한 조위곡선에 적용하기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조위이론을 통해 이루었던 조위예측을 우리가 알기 쉬운 여러 기후인자(해면기압, 풍향, 풍속, 음력 등)에 따른 조위곡선을 예측하기 위해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조위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May가 제안한 공식을 더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험 공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

  • PDF

Trend Analysis of Extreme Precipitat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Quantile 회귀분석을 이용한 극대강수량 자료의 경향성 분석)

  • So, Byung-Jin;Kwon, Hyun-Han;An, Jung-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8
    • /
    • pp.815-826
    • /
    • 2012
  • The underestimating trend using existing ordinary regression (OR) based trend analysis has been a well-known problem. The existing OR method based on least squares approximate the conditional mean of the response variable given certain values of the time t, and the usual assumption of the OR method is normality, that is the distribution of data are not dissimilar form a normal distrib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a quantile regression that aims at estimating either the conditional median or other quantiles of the response variable. This study assess trend in annual daily maximum rainfall series over 64 weather stations through both in OR and QR approach. The QR method indicates that 47 stations out of 67 weather stations are a strong upward trend at 5% significance level while OR method identifies a significant trend only at 13 stations. This is mainly because the OR method is estimating the condition mean of the response variable. Unlike the OR method, the QR method allows us flexibly to detect the trends since the OR is designed to estimate conditional quantiles of the response variable. The proposed QR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estimate hydrologic trend for either non-normal data or skewed data.

Estimation of the Natural Damage Disaster Consider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d Urban Characteristics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도시특성 요소를 고려한 자연재해 피해 분석)

  • Seo, Man Whoon;Lee, Jae Song;Choi,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4
    • /
    • pp.723-73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t is focused on the areas of a municipal level in Korea. Also, it takes into accoun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Moran's I statistics was estimated to examine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damage from the study area. Subsequent to evaluating the suitability for spatial regression models and the OLS regression model, the spatial lag model was employed as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study. It showed that the increase in residential area leads to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green area and river basin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the damag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appropriate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bout the damage-adding factors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damage in the future.

Determination of Representative Long-term Water Quality Parameters of the Streams in Estuarine Lake (하구호 유입하천의 유역특성에 따른 장기 대표 수질절정)

  • Kim, Young-Chul;Lee, Dong-Ryul;Hwang, Gil-S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3
    • /
    • pp.262-272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tain design concentrations for the natural system treating stream water flowing into estuarine lake(Sapgyo). This lake has three major, so called, national-class streams: one is Gokgyo flowing through two medium-size municipal areas and the others are Muhan and Sapgyo placed in mostly rural area nested with some small towns. The results of three year's investigation showed big changes in water quality during the period between dry and wet seasons. Nitrogen concentration usually decreases as the flow rate increases. The change of phosphorus concentration in Gokgyo was the same pattern as nitrogen, but in other two streams it was inversely related with flow rates. This is probably due to the chemical property of the particles washed out from the different stream basins during wet season. It was found that about 40 to 60% of the total nitrogen are in soluble form and on average, 35% of the total phosphorus consists of dissolved-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of these streams has to be separately determined based on dry and wet season. TDS and SS could be indicating parameters useful to depict and characterize a change of water quality with respect to flow rate because their measurement is easy and also includes a small analytical error. TDS values measured during dry season are related with high nitrogen concentration while during wet season, SS values effectively reflect a high concentration of phosphorus. For design purpose, cumulative concentration distribution graph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applied to other streams through a brief comparative and verificative study.

Development of TANK_GS Model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지표수-지하수 상호흐름을 고려한 TANK_GS 모형의 개발)

  • Lee, Woo-Seok;Chung, Eun-Sung;Kim, Sang-Ug;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0
    • /
    • pp.893-9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basin scale by developing TANK_GS model. The soil moisture structure of tank model with 3 tanks is improved to simulate the appropriate stream-aquifer interactions. Maximum likelihood method is applied to calibrate parameters with variance functions to deal with heteroscedasticity of residuals. The parameters of improved TANK_GS model and variance function are simultaneously estimated by Simulated Annealing method, a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 The results of TANK-GE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SWMM-GE model which had been developed to consider the stream-aquifer interactions. The new TANK_GS model and SWMM-GE model are applied to Gapcheon basin, which belongs to Geum River basin. TANK_GS model showed better model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riginal TANK model and characterized the relationship of stream-aquifer interactions as satisfactorily as the SWMM-GE model. The sustainable groundwater yield can be estimated for the regional water resources planning using the TANK_GS model

Assessment of Hydrological Impact by Long-Term Land Cover Change using WMS HEC-1 Model in Gyeongan-cheon Watershed (WMS HEC-1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 Lee, Jun-Woo;Kwon, Hyung-Joong;Shin, Sha-Chul;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107-1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hydrological impact on a watershed from long-term land cover changes. Gyeongan-cheon watershed($558.2km^2$) was selected and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HEC-1 model was adopted as an evaluation tool. To identify land cover changes, five Landsat images(1980/2/15, 1986/4/15, 1990/4/26, 1996/4/26, 2000/5/17)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As a result, urban areas have increased by 5.6% and forest areas have decreased by 6.1% between 1980 and 2000. SCS curve number increased by 9.8. To determine model parameters and evaluate HEC-1 model, five storm events(1998/5/2, 1998/8/23, 1998/9/30, 1999/5/3, 2000/7/29) were used. The simulated stream flow agreed well with the observed one with relative errors ranging from 9% to 36%. For 254 mm daily rainfall of 30 years frequency, due to the increase of urban areas peak flow increased by $455m^3/sec$ and the time of peak flow reduced about four hours for 20 years land cover chan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