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변동양상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ssessment of the Effect of Geographic Factors and Rainfall on Erosion and Deposition (지형학적 인자 및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영향 평가)

  • Yu, Wan-Sik;Lee, Gi-Ha;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03-112
    • /
    • 2011
  •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imulated from distributed rainfall-sediment-runoff model applications. We selected area, overland flow length, local slope as catchmen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mong many important geographic factors and also used the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s a representative hydro-climatic factor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actors on erosion and deposition. The study catchment was divided based on the Strahler's stream order method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erosion or deposition. Both erosion and deposition increased linearly as the catchment area became larger. Erosion occurred widely throughout the catchment, whereas deposition was observed at the grid-cells near the channel network with short overland flow lengths and mild slop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results between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howed that erosion increased gradually as rainfall amount increased, whereas deposition responded irregularly to variations in rainfall. Within the context of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pos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eographic factors used in this study while eros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ainfall.

Effects of Flood Peak Location on Riverbed Variation (하천의 하상변동에 대한 첨두 유량 발생위치의 영향)

  • Chae, Kuk-Sheok;Park, Sang-Deog;Kim, Nam-Ho;Kim, M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91-1595
    • /
    • 2006
  • 하천은 인간에게 있어 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하나의 공급원인 동시에 재해를 발생시킴으로서 인간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이면을 가진 하천은 하천 자체로는 하천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으며, 인위적이나 자연적인 원인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특히 강도가 큰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변화한다. 강우시 하천은 유출량 증가와 유사량의 시공간적인 변화로 인해 형상거동의 자기조절 기작을 통하여 유역밖으로 이들을 안전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하천 합류부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두 흐름이 만나는 지점으로 흐름과 지형 둘 다 변화하며, 합류부 이후에는 그 이전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합류부는 하천의 흐름상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에 위치한 경포천과 제 1지류인 위촌천이 합류하는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홍수시 첨두유량의 크기와 발생위치 및 홍수 모의기간에 따른 하상변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하상 변동 모형인 HEC-6를 이용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실측 하상변동량과 비교분석하였다. 유입수문곡선에서 첨두유량의 발생위치는 전반부, 중앙부, 후반부로 구분하였고, 홍수모의 기간은 1년, 5년, 10년으로 하였으며 1년 이상의 수문곡선은 1년의 수문곡선을 모의 기간만큼 반복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 하상변동은 홍수 모의기간, 유입수문곡선의 첨두유량 발생위치와 첨두유량의 크기에 따라 그 양상이 현저히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입유량 조건에서 동일수문곡선의 반복에 따른 모의기간 별 하상변동은 퇴적과 침식의 규모가 확대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치는 시간축척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

  • PDF

Future Inflow Simul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Chungju Dam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충주댐 유역의 미래 유입량 모의)

  • Park, Ji-Yeon;Shin, Ju-Young;Kim, Tae-Ri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5-125
    • /
    • 2012
  • 최근 심화되고 있는 강우의 시간적 지역적 불균형이 기후변화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강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수자원분야에서는 강우의 변동성을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중 강수량의 대부분이 홍수기에 집중되어 수자원의 총량의 27%만 사용하고 있다. 전체 수자원이용량 중 절반 이상을 댐을 통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댐 운영방법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영향으로 댐 유입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므로 장기적인 수자원을 관리를 위하여 효율적인 댐 운영을 하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으로 기후변화 영향을 받는 장기간 모의를 하게 되면 입력 자료와 매개변수, 모형구조의 불확실성 갖게 된다. 그에 반해 데이터를 통해 모형의 매개변수 값을 추정하여, 향후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는 추계학적 모형과 인공신경망모형은, 물리적인 강우-유출 모형과 비교하여 모의에 드는 시간이 적고 모형 불확실성 파악이 가능하며, 장기간 모의 시 불확실성을 줄이는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추계학적 모형은 과거의 유입량 자료만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강우량의 영향을 함께 고려한 Transfer Function Noise(TFN)모형을 통하여 장기간 모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댐으로는 한강유역 중 댐 상류유역면적이 제일 넓은 충주댐으로 선정하였다. 과거의 유입량과 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TFN모형을 구축하고, TFN과 같은 변수를 사용하여 인공신경망모형을 구축하였다. 5개의 시나리오별로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를 비교하였고, TFN모형과 인공신경망에 따라서 어떠한 양상을 갖는지 비교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Soil Water Storage at a Hillslope in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사면의 토양층 저류량의 분포양상에 관한 연구)

  • Jang, Eun-se;Kim, Sang-Hyun;Lee, Jung-H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8 no.2
    • /
    • pp.88-98
    • /
    • 2016
  • The storage variation in the vadose zone at a hillslope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ydrological process. This study explores seasonal changes of soil water storage at a hillslope scale.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hillslope of Beomrunsa, located in the Seolma-cheon river basin in Paju-si, Gyeonggi-do. Using soil moisture measurements through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storage, discharge, and response constant were calculated for all monitoring points on a hillslope between March and November, 2010. This study found that temporal changes in storage are resulted from the rainfall distribu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spatial changes in storage indicated that the soil water storage tends to increase towards the downslope direction. The discharges calculated based on the soil water measurements exhibited a high correlation with observation discharge. The storage response constant was high during the autumn which demonstrates the increased contribution from upslope is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soil water recharge during autumn.

A Study on the Change o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Daily Seoul Rainfall using Markov Chain (마코프 연쇄를 이용한 서울지점 일강우의 발생특성 변화 연구)

  • Hwang, Seok-Hwan;Kim, Joong-Hoon;Yoo, Chul-Sang;Jung, Sung-Won;Joo, Jin-G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9
    • /
    • pp.747-758
    • /
    • 2009
  • In this study, long-term variabilities of rainfall-occurrenc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rainfall data at Seoul, which is the longest data record existing in world. first, the accuracy of Chukwooki data set (CWK) are evaluated in view of rainfall-occurrence probability by analyzing the transition probabilities and occurrence characteristics based on Markov chain. And long-term inter-monthly variabilities of transition probabilities are analyzed using two dimensional LOWESS regression. From the results of analyzed transition probabilities and occurrence characteristics, it is different that rainfall-occurrence characteristics between CWK and modern rain gage data set (MRG) for original rainfall data sets (M00). For characteristics of rainfall series, occurrences probabilities of rainfall are increased and durations of each rainfall are shorter than past. A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ng-term inter-monthly variabilities of transition probabilities, in case of M20, lengths of dry spells between CWK and MRG a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nd lengths of wet spells are decreased persistently after A.D. 1830. Especially, decreasing trend for lengths of wet spells at recent september are appear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with increasing trend of recent rainfall, it is concluded that recent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rainfall are increasing.

A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in Closed Coastal Water based on Field Survey (현장조사 기반 폐쇄성수역에서의 수질관리 방안 연구)

  • Kang, Nam Hyeok;Ku, Tae Geom;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0-130
    • /
    • 2018
  • 진해 용원 인근 해역은 부산신항 개발사업으로 추진된 북컨테이너부두 조성사업 및 항만 배후 단지 조성사업으로 전면 해역이 매립되어 원활한 해수흐름이 차단되었고, 인공적인 해양구조물 및 시설물로 인해 해안선 지형 및 단면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역의 해수순환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지역이다. 인근 어판장으로의 선박의 출입이 차단되면서 발생된 민원으로 인해 송정천 하구 지점의 북쪽 통로를 이용한 선박이동만이 가능한 좁고 긴 수로형태를 가진 폐쇄성 수역으로 변형되었다. 한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례적인 형태의 용원수로는 폐쇄성 수역이 형성되면서 수로 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수로 내에 체류되어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폐쇄성 수역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질영향을 장기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원수로의 시 공간적인 수질변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선정된 수질측정 지점에서의 주요수질항목에 대한 수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용원수로로 유입되는 토구를 전수조사하고, 비강우시 및 강우시 토구 모니터링을 통해 육상에서 기인하는 오염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용원수로 내에 유입된 오염물질 거동 분석을 위해 추적자 실험을 통해 용원수로로 유입된 오염원 거동을 예측하여 용원수로의 수질변화 분석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Natural Disturbanc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자연적 교란에 대한 영향)

  • Kwak, Inn-Sil;Song, Mi-Young;Chon, Tae-S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1 s.106
    • /
    • pp.87-95
    • /
    • 2004
  • Community dynam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response to natural disturbances (flooding and water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in the Suyong and Soktae Streams in Busan from October 1997 to September 1998. Oigochaeta and Chironomus, organic polluted indicators, were dominant and various taxa were observed at the study sites. The density and biomass of two dominant taxa increased in warm months while the indicators were washed away in the flooding season. From October to February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less than $15^{\circ}C$, Oligochaeta appeared to be dominant at the Soktae Stream. In contrast various taxa were collected at the Suyong stream. The densities of Oligochaeta and Chironomus increased at the Soktae and the Suyong streams in March. Due to the big flooding in April, the density of dominant taxa decreased abruptly. The community structure showed differences patterns in the flooding season at two streams from June to August. In the Soktae stream, the density increased in August. The reverse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Suyong stream, washing out in June followed by slow recovery of densities in the fellowing months. Density and biomass showed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s in most taxa. CCA (Canonocial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taxa was different response to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Geological Structures and Their Relation to Groundwater System around K-1 Oil Stockpile (K-1 기지 주변 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특성)

  • Moon, Sang-Ho;Kim, Young-Seog;Ha, Kyoo-Chul;Won, Chong-Ho;Lee, Jin-Y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2
    • /
    • pp.149-162
    • /
    • 2010
  • The most serious problem in oil stockpiles with artificial underground cavern is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ground wate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und water system around K-1 site, we determined the regional flow direction and leve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and investigated the major geologic factors influencing their flow system. Reactivated surface along the contact between granite and gneiss, and fractures and faults along the long acidic dyke may contribute as important pathways for groundwater flow. Within K-1 sit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ainfall events and injection from surface or influx water. In this project, the effect of groundwater pumping from the southern wells was examined. Based on equations relating water level drawdown to pumping rate at those wells, their pumped outflow of groundwater ranged from $80\;m^3$/day to less than $250\;m^3$/day. The modeling results with MODFLOW imply that the previous groundwater pumping at distance of 1.2 km may not affect the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of the K-1 site. However, continuous pumping work at quantity over $250\;m^3$/day in this area will be able to affect the groundwater system of the K-1 site, particularly along the acidic dyk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한국 남부지방의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Ahn, Tae-Ye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4
    • /
    • pp.393-403
    • /
    • 2008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r.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gauging station is obtained in a range of 20- to 130-day moving average period of precipitation.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and the moving average period is 10 to 150 days.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Soil Moisture Monitoring at a Hillslope located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소유역 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계열 관측연구)

  • Joo, Seung-Hyo;Kim, Sang-Hyun;Gwak, Yong-Seok;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93-597
    • /
    • 2008
  • 유역에서의 강우사상에 따른 일련의 수문학적 과정의 규명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양함수량을 산정하는데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유역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소유역이다. 대상유역의 정밀측량을 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을 획득 하였다. 이 수치고도모형에 사용하여 수치지형분석을 통해 총 21지점을 선정하였다. 토양수분의 연직방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지점의 10, 30, 60cm 깊이에 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방식인 MiniTRASE를 이용하여 총 50채널을 통해 매 2시간 간격으로 토양수분의 변동을 관측하였다.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의 공간 분석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시계열에 대한 공간분석은 토양수분의 사면에서의 공간적인 분포가 사면의 지형적인 형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을 통해 평균치의 표준편차가 대상 기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대상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분포 특성이 기후나 식생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형이나 토질 같은 정적인 인자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결과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의 파악과 국내 사면에서의 수문기작들을 규명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