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관측정보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rojections on climate internal variability and climatological mean using hourly time series (시단위 시계열을 이용한 기후 내적 변동성 및 기후학적 평균에 대한 예측)

  • Kim, Jongho;Doi, Manh V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8-198
    • /
    • 2020
  • 기후 내적 변동성(Climate Internal Variability, CIV)은 기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후예측에 있어 주요 불확실성 원인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대해 CIV와 기후학적 평균(Climatological Mean, CM)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확률론적 날씨생성기(Stochastic Weather Generator)를 이용하여 국내 40개 기상 관측소에 대해, 30년에 해당하는 시단위 시계열 100개 앙상블을 생성하였다. CIV는 Detrend 방법과 Differenced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되었으며, noise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IV 값과 noise 값들 사이의 correlation이 매우 높았으며, 제시된 방법론이 신뢰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국내 40개 지역에 적용하여 계산된 CIV와 CM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의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 평균적으로 CM과 CIV는 미래에 증가할 것이며, 그 증가 정도는 RCP 8.5의 경우와 먼 미래END(2071-2100년) 기간에서 더 커질 것이다; (2) CM과 CIV의 미래 변화의 특성은 강수의 특성 지수에 따라 다르다. 강수량의 양을 나타내는 3개의 지수(총 강수량, totPr, 일 최대 강수량, maxDa 및 시간당 최대 강수량, maxHr)와 강수량의 발생일수를 나타내는 지수(무강우 일수, nonPr)의 특성은 크게 다르다. (3) CIV와 CM의 변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 maxDa와 maxHr에 대해서는 그들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지만 다른 지수에는 그렇지 않다. (4) 국내에서 CIV 값이 공간적으로 변동성이 큰 경우는 계절적으로 여름이며, 이는 totPr 및 maxDa에서만 유효하다. 시단위 시계열 앙상블을 생성하여 추정된 기후내적변동성 정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적절한 적응 및 대응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National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Disaster Monitoring using Remote Sensing and Geo-information (원격탐사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가 재난원인 과학조사 및 재난 모니터링)

  • Kim, Seongsam;Kim, Jinyoung;Kim, Jins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5_2
    • /
    • pp.763-772
    • /
    • 2019
  • High-resolution satellites capable of observing the Earth periodically enhance applicability of remote sensing in the field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from national disaster pre-monitoring to rapid recovery planning.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has been developed various satellite-based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ies and applied to disaster site operations related to typhoons and storms, droughts, heavy snowfall, ground displacement, heat wave, and heavy rainfall. Although the limitation of timely imaging of satellite is a challenging issue in emergent disaster situation, it can be solved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cope with global disasters l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ace development agencies and disaster organizations. This article of special issue deals with the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ies using remote sensing and advanced equipments of NDMI in order to detect and monitor national disasters occurred by global abnormal climate chang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atellite-based disaster monitoring technologies which can detect and monitor disaster in early stage and advanced investigation equipments which can collect high-quality geo-information data at disaster site.

A Study on Hydrologic Clustering for Standard Watersheds of Korea Water Resources Unit Map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전국 표준유역 대상 수문학적 군집화 연구)

  • Ahn, So-Ra;Kim, Sang-Ho;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91-106
    • /
    • 2014
  • This study tries to cluster the 795 standard watersheds of Korea Water Resources Unit Map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The 30 factors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opography, stream, meteorology, soil, land cover and hydrology were selected for comprehensive analysis. From the factor analysis, 16 representative factors were selected. The significant factors in order were the pedological feature, scale and geological location an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features of the watershed. As a next step, the 73 gauged watersheds were selected for cluster analysis. They are scattered properly to the whole country and the discharge data were within a confidential level. Based on the 73 watersheds, the other ungaged watersheds were clustered by applying the 16 factors and calculating Euclidian distances. The clustering results showed that the similarity between standard watersheds within the same river basin were 87%, 69%, 41%, 52%, and 27% for Han, Nakdong, Geum, Seomjin, and Yeongsan river basins respectively.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 Baek, Gyoung-Hye;Lee, Moun-Gjin;Kang, B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3
    • /
    • pp.136-149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uture climate scenario by downscaling the regional climate model (RCM) from global climate model (GCM) based on IPCC A1B scenario. To this end, the study first resampled the KMA-RCM(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regional climate model) from spatial resolution of 27km to 1km. Second, observed climatic data of temperature and rainfall through 1971-2000 were processed to reflect the temperature lapse rate with respect to the altitude of each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 To optimize the downscaled results, Co-kriging was used to calculate temperature lapse-rate; and IDW was used to calculate rainfall lapse rate. Fourth, to verify results of the stud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uture climate change projection data and observation data through the years 2001-2010. In this study the past climate data (1971-2000),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A1B), KMA-RCM(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regional climate model) results and the 1km DEM were used. The research area is entire South Korea and the study period is from 1971 to 2100. Monthly mean temperatures and rainfall with spatial resolution of 1km * 1km were produced as a result of research.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d increased by $1.39^{\circ}C$ and 271.23mm during 1971 to 2100. The development of downscaling method using GIS and verification with observed data could reduce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change projection.

Estimation of Quantitative Daily Precipitation Forecasting for Integrated Real-time Basin Water Management System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정량적 강수예측기법에 관한 연구)

  • Oh, Jai-Ho;Kim, Jin-Young;Kang, Bu-Sick;Jeong, Chang-Sam;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88-14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통합 물관리 시스템의 일환으로 월별 일강수량 예측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시간 2일 예측에 대해서는 기상청 생성 수치모의 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를 기반으로 강수진단모형인 QPM (Quantitative Precipitatiom Model)을 이용하여 지형효과를 보정하였으며, 선행시간 2일에서 8일까지의 예측에 대해서는 GDAPS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모의결과를 QPM을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선행시간 10일 이후의 예측값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적 기법으로는 과거 20년간의 관측된 강수경향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강수진단모형 (QPM)은 Misumi et al. (2001), Bell (1978), Collier (1975)등이 제안한 바 있는 Collier-type의 모형으로서 이들 모형은 소규모 지형 효과를 고려한 강수량을 산출하는 진단 모형이다. QPM은 중규모 예측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수평 바람, 고도, 기온, 강우 강도, 그리고 상대습도 등의 예측 자료를 이용하고, 중규모 예측 모형에서는 잘 표현되지 않는 소규모 지형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중규모 예측 모형에서 생산된 상대적으로 성긴 격자의 강수량 예측 값을 상세 지역의 지형을 고려한 강수량 예측 값으로 재구성하게 된다. QPM은 중규모 모형으로부터 나온 자료를 초기 자료로 이용하고 3 km 간격의 상세 지형을 반영하는 모형으로 소규모 지형 효과를 표현함으로써 상세 지역에서의 강수량 산출과 지형에 따른 강수량의 분포 파악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계산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착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

  • PDF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ecological data in lakes and rivers (수생태계의 데이터수집과 활용)

  • KIM, Bom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3-103
    • /
    • 2017
  • 생태학 분야에서는 생물의 분포, 변동, 서식환경요인의 변화,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는데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 종 측정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생태조사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는 시점에 있다. 수생태계 분야에서도 전통적인 생물상조사의 데이터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자동측정센서가 개발된 항목의 경우에는 데이터가 급증하는 단계에 있다. 수생태계에서 흔히 조사되는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자료를 보면 하나의 조사대상 시료에서 출현하는 종의 수가 50 종정도에 이르며 각 개체의 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종조성조사는 아직 자동화가 어렵다. 그러므로 플랑크톤 자료의 특성은 조사의 시료수(case)는 적고 측정항목(변수 variable)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 반면에 센서가 개발된 수질과 관련된 항목들은 자동측정설비가 확대되고 있어 변수는 적지만 장기간의 time series 들이 수집되고 있다. 녹조현상이 관심을 끌면서 여러 곳에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측정하는 chlorophyll 센서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 정량화되지 못하는 정성적 자료들도 수집되고 있으며 자료수집방법의 표준화도 미흡한 예가 많이 있고, 자료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어렵게 한다.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하천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는 자동수질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측정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센서를 이용한 고빈도 모니터링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하였던 단기적 생태계 변화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의 장르를 넓혀 가고 있다. 도시하천에서 산소를 측정한 사례를 보면 강우 시에 일시적으로 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부영양한 호수와 하천에서는 주야간 산소의 급격한 변동이 생태계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센서의 연구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단위로 이루어지던 연구가 이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만들어 지면서 공동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지역을 초월하는 공동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호수관측망학회(Global Lake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GLEON)이 그 사례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계데이터의 증가는 생태학자들의 연구역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의 능력을 요구할 것이며 환경 생태 IT 분야의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타분야와의 협력연구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제는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뿐 아니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제적 협력연구를 촉진하는 off-line 모임도 확대할 때이다.

  • PDF

A case study on monitoring the ambient ammonia concentration in paddy soil using a passive ammonia diffusive sampler (논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 특성 모니터링을 위한 수동식 암모니아 확산형 포집기 이용 사례 연구)

  • Kim, Min-Suk;Park, Minseok;Min, Hyun-Gi;Chae, Eunji;Hyun, Seunghun;Kim, Jeong-Gyu;Koo, Nam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1
    • /
    • pp.100-107
    • /
    • 2021
  •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high-concentration fine particulate matter in Korea, interest and research on ammonia (NH3) are actively increasing. It is obvious that agriculture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NH3 emissions. However, studies on the long-term effect of fertilizer use on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land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NH3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of agricultural land was monitored for 11 months using a passive sampler. The average ambient NH3 concentration during the total study period was 2.02 ㎍ m-3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was greatest in the month immediately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highest ambient NH3 concentration as 11.36㎍ m-3). After that, it was expected that the NH3 volatilization was promoted by increases in summer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was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high NH3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were not observed due to strong rainfall that lasted for a long period. After that,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gradually decreased through autumn and winter. In summary, when studying the contribution of fertilizer to the rate of domestic NH3 emissions, it is necessary to look intensively for at least one month immediately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such as precipitation and no-rain day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ield study.

Modeling and mapping fuel moisture content using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computed from weather data of the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산악기상자료와 목재평형함수율에 기반한 산림연료습도 추정식 개발)

  • Lee, HoonTaek;WON, Myoung-Soo;YOON, Suk-Hee;JANG, Keun-Ch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21-36
    • /
    • 2019
  • Dead fuel moisture content is a key variable in fire danger rating as it affects fire ignition and behavior. This study evaluates simple regression models estimating the moisture content of standardized 10-h fuel stick (10-h FMC) at three sit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urban and outside/inside the forest).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situ measured 10-h FMC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validation data. 10-h FMC spatial distribution maps were created for dates with the most frequent fire occurrence during 2013-2018. Also, 10-h FMC values of the dat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under which 10-h FMC condition forest fire is likely to occur. As the results, fitted equations could explain considerable part of the variance in 10-h FMC (62~78%). Compared to the validation data, the models performed well with R2 ranged from 0.53 to 0.68,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ranged from 2.52% to 3.43%, and bias ranged from -0.41% to 1.10%. When the 10-h FMC model fitted for one site was applied to the other sites, $R^2$ was maintained as the same while RMSE and bias increased up to 5.13% and 3.68%, respectively. The major deficiency of the 10-h FMC model was that it poorly caught the difference in the drying process after rainfall between 10-h FMC and EMC. From the analysis of 10-h FMC during the dates fire occurred, more than 70% of the fires occurred under a 10-h FMC condition of less than 10.5%. Overall,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simple model estimating 10-h FMC with acceptable performance. Applying the 10-h FMC model to the automatic mountain weather observation system was successfully tested to produce a national-scale 10-h FMC spatial distribution map. This data will b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forest fire research, and will support the policy maker.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eteorological Related Organizations with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 Universitie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OK Air Force Weather Group, and Korea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 (60주년 (사)한국기상학회와 함께한 유관기관의 발전사 - 대학, 기상청, 공군기상단, 한국기상산업협회 -)

  • Jae-Cheol Nam;Myoung-Seok Suh;Eun-Jeong Lee;Jae-Don Hwang;Jun-Young Kwak;Seong-Hyen Ryu;Seung Jun Oh
    • Atmosphere
    • /
    • v.33 no.2
    • /
    • pp.275-295
    • /
    • 2023
  • In Korea, there are four institutions related to atmospheric science: the university's atmospheric science-related department,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ROK Air Force Weather Group, and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These four institutions have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 dee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KMS) for the past 60 years. At the university, 6,986 bachelors, 1,595 masters, and 505 doctors, who are experts in meteorology and climate, have been accredited by 2022 at 7 universities related to atmospheric science. The KMA is carrying out national meteorological tasks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and foster the meteorological industry. The ROK Air Force Weather Group is in charge of military meteorological work, and is buil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pace weather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the KMA, and the KMS. Although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has a short history, its members,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KMS greatly contributed to raising the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y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the KMA, the Air Force Meteorological Agency, and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The Analysis of Suspended Sediment Load of Donghyang and Cheoncheon Basin using GIS-based SWAT Model (GIS 기반 SWAT 모델을 이용한 동향·천천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 Lee, Geun-Sang;Kim, Yu-Ri;Ye, Lyeong;Lee, Eul-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2
    • /
    • pp.82-98
    • /
    • 2009
  • This study applied SWAT model to analyze suspended sediment load that is influence on the high density turbid water in Donghyang and Cheoncheon basin, which are located in the upstream of Yongdam Dam.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map and soil map, and meteorological data were used as the input data of SWAT model. And the rating curve equation and Q-SS equation of Donghyang and Cheoncheon gauge station were applied as the measured values of them. As the result of flowou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of efficiency (EI) of model calibration showed high as 0.87 and 0.87 at Donghyang gauge station, and the $R^2$ and EI of model validation were high as 0.95 at Cheoncheon gauge station. Also, as the result of suspended sediment load, the $R^2$ and EI of model calibration were high as 0.77 and 0.76 at Donghyang gauge station, and the $R^2$ and EI of model validation marked high as 0.867 and 0.80 at Cheoncheon gauge st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uspended sediment load of 2003 showed the highest due to rainfall amounts and rainfall intensity in using SWAT model. The results of suspended sediment model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cision-making support data for the evaluation of soil erosion possibility and turbid water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reservo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