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비율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cid rain in Kwangiu, Korea (Precipitation intensity and persistent time) (남한의 광주광역시에서 산성비에 관한 연구)

  • 류찬수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5 no.5
    • /
    • pp.663-676
    • /
    • 1996
  • The analyzed results of observed precipitation and its pH in Kwangiu for 262 days from fan. 1, 1991 to Dec. 31, 1995 are as follows. The annual mean pH was 5.7, and the monthly mean pH values of January-May and November were less than 5.6 in Kwangiu. The ratio of acid rain for these periods was about 48.1%, almost half that of the total observed days. In March, the pH was 5.4 and the ratio of acid precipitation was 69%, an especially serious situation. In the spring, the pH value was 5.5, thus weakly acidic. The pH of precipitation tended to decrease with greater precipitation. The relation between persistent time and pH of precipitation is variable, but if the persistent time is long, the pH is constant and low. It is fortunate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pH in interannual variation, but it is thought important that the amplitude of variation of pH in 1995 was high and the pH value was 4.1 in October and November. Because heavy and persistent precipitation effects the accumulation of acidity, more concern about acid rain is needed.

  • PDF

A Study of New Modified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Development Using Direct Parameter Estimation (직접적인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수정된 Neyman-Scott 구형펄스모형 개발 연구)

  • Shin, Ju-Young;Joo, Kyoung-W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2
    • /
    • pp.135-144
    • /
    • 2011
  • Direct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s verified with various models based on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NSRPM). Also, newly modified NSRPM (NMSRPM) that uses normal distribution is developed. Precipitation data observ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for 47 years is applied for parameter estimation. For model performance verification, we used statistics, wet ratio and precipitation accumulat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generated. The comparison of statistics indicates that absolute relative error (ARE)s of the results from NSRPM and modified NSRPM (MNSRPM) are increasing on July, August, and September and ARE of NMNSRPM shows 10.11% that is the smallest ARE among the three models. NMNSRPM sim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statistics well. By comparing the wet ratio, MNSRPM shows the smallest ARE that is 16.35% and by using the graphical analysis, we found that these three models underestimate the wet ratio. The three models show about 2% of ARE of precipitation accumulate probability. Thos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models simulate precipitation accumulate probability well. As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arameters of NSRPM, MNSRPM and NMNSRPM are able to be estimated by the direct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rom the results listed above, we concluded that the direct parameter estimation is able to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based on NSRPM. NMNSRPM shows good performance compared with developed model-NSRPM and MNSRPM and the models based on NSRPM can be developed by the direct parameter estimation method.

Adjustment factors of Precipitation using One-minute Data in Seoul (서울지방 1분 자료를 이용한 강수자료의 환산계수 산정)

  • Jo, Han-Seong;Um, Myoung-Jin;Cho, Won-Cheol;Cho, J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06-1510
    • /
    • 2006
  •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수자료는 정시자료로서 수문학적 의미의 임의지속시간 강수자료라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정시자료를 임의지속시간 강수자료로 변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환산계수는 국외에서는 Weiss(1964), Dwyer와 Reed(1995) 등에 의하여 제시되어졌고, 국내에서는 김규호 등(1988)등이 환산계수를 제시한 바 있다. 그렇지만 기존 연구의 자료들은 목측에 의한 자료로서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관측기기의 발달에 의하여 기상청에서는 1분 단위의 관측 자료를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1분 단위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의미의 임의지속시간 강수자료를 적출하여 보다 정확하게 강수자료의 환산계수(Adjustment factor)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방 7개 자동기상관측소(AWS:Automatic Weather Station)에서 관측된 6개년(2000년${\sim}$2005년) 1분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시간 연 최대강수량과 임의시간 연 최대강수량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1분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시간과 임의지속시간에 대한 연 최대치 강수 계열을 구축.도시한 후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선정된 계수를 환산계수로 제시하였다. 고정시간 1시간부터 24시간까지의 최대강수량과 임의시간 간격 최대강수량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환산계수는 지속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면 정시 강수자료를 보다 정확하게 임의지속시간 강수자료로 환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Seasonal Characteristic of Precipitation Data in Korea by Applying CSEOF analysis (CSEOF 분석을 이용한 국내 강수의 계절적 순환 특성 평가)

  • Cho, Eunsaem;Song, Sung-uk;Na, Wooyoung;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의 강수 자료에 CSEOF 분석(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을 적용하여 주요 성분(principle component)을 추출한 후 이를 분석하여 국내 강수의 계절적 순환 특성을 평가고자 하였다. ASOS 자료로는 전국 131개의 ASOS 중에 40년 이상의 월 강수량 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47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기간은 1978년부터 2018년까지이다. 강수 자료의 월별 공간적인 강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적인 순환성을 고려한 CSEOF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수자료의 주성분을 추출해본 결과, CSEOF 분석의 경우 첫 번째 CSEOF 외의 다른 CSEOF들의 원자료 설명 비율 또한 작지 않게 나타나 다양한 강수 변동 특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8월의 2nd CSEOF는 한반도 전체의 강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라니냐가 7-8월 한반도 강수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하다. 아울러 9월의 2nd CSEOF 결과 또한 남부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 이는 엘리뇨 발생 시 9월의 강수 패턴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과 CSEOF의 상관관계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장마와의 관계도 발견할 수 있었다. 향후, CSEOF 분석 결과에 해석방법이 개발된다면,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강수 계절적 순환 특성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urrent and Future Changes in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 변화)

  • Choi, Gwang-Yong;Kwon, Won-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1-19
    • /
    • 2008
  •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current changes in wintertime precipitation in Korea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s based on surface observational $(1973/04\sim2006/07)$ and modeled (GFDL 2.1) climate data. Analyses of surface observation data demonstrate that without changes in the total amount of precipitation, snowfall in winter (November-April) has reduced by 4.3cm/decade over the $1973\sim2007$ period. Moreover,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nowfall have decreased; the duration of snow season has shortened; and the snow-to-rain day ratio (STDR) has decreased. These patterns indicate that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has changed from snow to rain in recent decades. The snow-to-rain change in winter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s of air temperature (AT) over South Korea. Analyses of synoptic charts reveal that the warming pattern i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ressure anomaly core over northeast Asia by a hemispheric positive winter Arctic Oscillation (AO) mode. Moreover, the differentiated warming of AT versu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under the high pressure anomaly core reduces the air-sea temperature gradient, and subsequently it increases the atmospheric stability above oceans, which is associated with less formation of snow cloud. Comparisons of modeled data between torrent $(1981\sim2000)$ and future $(2081\sim2100)$ periods suggest that the intensified warming with larger anthropogenic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21^{st}$ century will amplify the magnitude of these changes. More reduction of snow impossible days as well as more abbreviation of snow seasons is predicted in the $21^{st}$ century.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for Recent 30 Years (1976-2005) and Geographic Environments (최근 30년간(1976-2005) 우리나라 강수의 시.공간변동과 지리환경)

  • Hong, Ki-Ok;Suh, Myoung-Seok;Rha, Deuk-K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4
    • /
    • pp.433-449
    • /
    • 2006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using 60 observation data of the recent 30-years from 1976 to 2005. The area averaged annual precipitation amount is about 1310 mm and shows a strong spatial variation, maximum at the southern and Kyoungki province (>1300 mm) and minimum at the Kyungpook province(<1100 mm). The precipitation days show a strong spatial variation with maximum at the Sobaik mountain region(>100 days) and minimum at the Kyungpook province (<90 days). The interannual variations (IAV) of precipitation amount and days are more significant at the southern and eastern part of Sobaik and Taebaik mountain, and along the Sobaik mountain, respectively. So, the difference of annual precipitation amount reaches to about 800mm between wet and dry years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hereas, the IAV of precipitation intensity is strong at the southern and middle part of South Korea with a minimum between two maxima. Also, seasonal variations are closely linked with the geographic environments (elevation, distance from ocean, location relative to the Taebaik mountain). Therefore, maximum and minimum of season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re occurred at the northern inland region (ratio of summer to the annual precipitation (RSAP) is greater than 60%),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RSAP is less than 53%),respectively. And the RSAP is slightly increased from 50% to 55% comparing the Ho and Kang (1988). The consistent and strong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heavy rainfalls, the ratio of heavy rainfalls to annual precipitation and the annual precipitation indicates that heavy rainfall is more frequent and strong at the maximum annual precipitation region.

Development of Radar Rainfall Adjustment Methods Using Interpolation Techniques (Interpolation 기법을 이용한 Radar 강수량 보정기법 개발)

  • Kwon, Hyun-Han;Kim, Byung-Sik;Ho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70-1374
    • /
    • 2009
  • 국지강수로 발생하는 홍수사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국내외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레이더 강수량이 제공하는 강수량의 공간 분포를 최대한 활용하여 단기홍수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자는데 있다. 레이더 강수량이 강수의 시공간적 특성을 잘 묘사할 수 있는 반면에 강우량에 대한 신뢰성은 의문에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강우량을 보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공간적 정보를 손실시키지 않고 동시에 강우량의 편차를 보정하는 기술의 발전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상강수와 지상강수지점의 해당하는 레이더 강수량의 비율을 일괄적으로 모든 격자에 적용하는 GR 공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런 경우 레이더 자료의 공간적 정보의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조건부합성 방법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레이더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점강수량 수준의 분산을 회복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여 이용하고 있다. 조건부합성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크리깅 방법을 통해 레이더강수와 지점강수량을 공간 분포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Variogram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지점강수량 및 레이더강수량에 대해서 공간분포를 실시할 수 있는 Harmonic Spline기법, Nearest Neighbor기법 등 다양한 Interpolation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조건부합성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국내 레이더 강수자료에 적용하여 모형에 대한 신뢰성 및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PDF

Relational Analysis between Digit Length Ratio and Physical Fitness (손가락 비율과 체력과의 관계 분석)

  • Choi, Kyeongho;You, Kangwon;You, K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9-410
    • /
    • 2012
  • 낮은 악력과 높은 악력으로 2등분 했을 때, 손가락 비율(2D:4D)에 대해 낮은 악력을 가진 남자가 높은 악력을 가진 남자보다 더 높은 2D:4D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토대로, 국내 대학생 중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손가락 비율(2D:4D)과 체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w Flow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갈수관리 발전방안 연구)

  • Kim, Hyung San;Kwak, Jae Won;Lee, Seong Woo;Lee, Young G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4-334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집중호우·태풍·가뭄 등과 같은 기상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가뭄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14년과 2015년 금강수계에 발생한 가뭄과 2017년 낙동강수계에 발생한 가뭄은 갈수로 인한 피해를 야기한 바 있다. 금강수계의 경우 보령댐 저수량 부족으로 제한급수를 시행하였으며, 낙동강수계의 경우 형산강수계의 농업용저수지 고갈로 긴급용수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하여 낙동강홍수통제소는 2016년부터 수계 내의 갈수상황과 향후 예상되는 갈수전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수계 전역을 대상으로 강수현황, 다목적댐·용수댐 및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현황, 하천의 갈수현황, 향후 기상전망 및 방류계획, 향후 유출전망 등을 1개월 단위(매주) 및 3개월 단위(매월) 작성하며, 갈수예보 및 모니터링지점 선정, 예보적용성 검증 등을 수행하고 2020년부터 갈수예보를 정식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의 효율적인 갈수예보의 시행과 확대를 위해서 현재 낙동강 본류로 한정되어 있는 갈수관리 지점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준갈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권역, 상수도 보급률, 영농여건 물리농지 비율 및 유량관측 안정화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확대 지점을 선정하였다.

  • PDF

Analyses beween Temperature,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and Other Meteorological Indices using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한 우리나라 기온, 강수와 기상지수분석)

  • Kim, Gwang-Seob;HwangBo, J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74-147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상지수들과 우리나라 기온, 강수량에 대해서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MSSA)를 실시함으로써 상호영향에 따른 주성분을 분석하였다. Window length가 150일 때 SOI 등의 기상지수와 기온, 강수량의 MSSA를 실시하였으며 이 때 각각의 eigenvalue는 전체 공분산에 대한 각 요소의 비율을 설명한다. Window length는 Vautard 등(1992)이 제시한 $N/5{\sim}N/3$의 값을 사용하였다. 기상요소들과 기온, 강수량의 MSSA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수문변수의 변화 상관분석은 기온과 각 기상요소들과의 분석결과에 비해 강수와 각 기상요소들의 분석결과가 기상요소들에 대한 주기패턴을 잘 따르지 못하고 약한 진폭을 나타내며 특히 SOI와 Rainfall의 경우 첫 번째 주성분에서의 상관분석결과 3개월 지체 시 상관계수 0.8410의 상관성이 높은 장주기 변화 쌍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변화도에 대하여 각 요소가 설명하는 비중이 매우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