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도달시간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256 seconds

Development of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Based on Rainfall Radar (강우레이더 기반 전국 도시·산지·소하천 돌발홍수예측 시스템 개발)

  • Hwang, Seok Hwan;Yoon, Jung Soo;Kang, Na Rae;Noh, Hui Seong;Lee, Keon Haeng;Won, Yo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1-371
    • /
    • 2020
  • 도시 및 소규모 산지 유역에서와 같이 지체시간이 짧은 유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더 이상 우량계만으로 예보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침수시간이나 침수심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침수특성과 유속특성의 관계식을 산정하여 홍수예보 기준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도달시간이 짧은 도시 및 산지에서는 지체시간 외에 강수 예측을 통한 홍수예보 선행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홍수통제소의 강우레이더 기반 초단기 외삽 예측을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돌발홍수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강우레이더 기반 초단기 외삽 예측은 강우강도를 입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예측에 별도의 정량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2019년도에 발생한 다양한 홍수 사고 사례를 분석하여 본 시스템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은 동(읍/면) 단위로 1시간 선행 예보를 3단계 위험 정보(주의/경계/심각)로 제공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forecasting system on city·mountains·small river area in Korea and assessment of forecast accuracy (전국 도시·산지·소하천 돌발홍수예측 시스템 개발 및 정확도 평가)

  • Hwang, Seokhwan;Yoon, Jungsoo;Kang, Narae;Lee, Dong-Ry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3
    • /
    • pp.225-236
    • /
    • 2020
  • It is not easy to provide sufficient lead time for flood forecast in urban and small mountain basins using on-ground rain gauges, because the time concentration in those basins is too short. In urban and small mountain basins with a short lag-time between precipitation and following flood events, it is more important to secure forecast lead times by predicting rainfall amounts. The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in South Korea produces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using the 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nowcast by Lagrangian Extrapolation (MAPLE) algorithm that converts radar reflectance of rainfall events. The Flash Flood Research Center (FFRC) in th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installed a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using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 data produced by the HRFCO and has provided flash flood information in a local lvel with 1-hour lead time since 2019.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e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based on the radar rainfall and the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forecasting system for the recorded flood events occurred in 2019. A total of 31 flood disaster cases were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the forecast accuracy was 90.3% based on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A Study on Derivation of Flood Frequency Curve in Urban Watershed (도시하천유역의 홍수빈도곡선 유도에 관한 연구)

  • Kim, Jang-Gy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2-92
    • /
    • 2015
  • 도시하천유역은 인위적인 하수계통으로 인해 강우-유출관계의 불확실성이 클 뿐만 아니라 홍수의 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강우-유출관계의 비선형성도 매우 크다. 현재의 수문해석절차에서는 유역의 확률강수량을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으며, 입력되는 확률강수량의 빈도와 추정되는 홍수량의 빈도가 동일하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유역에 발생하는 강수량 및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동일한 강수라 하더라도 유역의 반응 측면에서 변동성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관계의 다양한 불확실성요소를 고려하여 확률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홍수빈도곡선 개발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도시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 관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첫째, 강수 및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의 변동성을 파악한 후 이를 확률밀도함수를 통해 모의할 수 있는 절차를 수립하고 둘째, 강우-유출 모의를 통해 앙상블형태의 유출수문곡선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출수문곡선 앙상블을 토대로 홍수량의 성장곡선(growth curve)를 개발하여 모의기반의 홍수빈도해석을 수행하고, 기존 수문해석절차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론의 장단점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n application of the water-level rising behavior curve to provide flood information of vulnerable are (홍수취약지구 정보제공을 위한 수위상승거동곡선 적용)

  • Jae Won Kwak;Sung Sik Park;Chung Gil Jung;Jong Hyun Lee;Jun Ho C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3-63
    • /
    • 2023
  • 하천수위는 상류에 위치한 유역의 유출상황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특히 홍수시에 급격하게 상승하고 홍수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하천의 수위변화를 모의·예측하기 위한 많은 이론이 제안되고 적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강수와 유역특성을 시공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수리·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되어 왔으나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수방활동에 종사하는 관련자가 특정 지점의 홍수시 수위상승 특성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강수계에 위치한 홍수취약지구에 홍수정보를 제공하는 45개 수위관측소의 2010년부터 2022년 사이의 10분 단위 수위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각 지점별로 수위자료에 홍수 사상에서 발생하는 시간적인 상승량을 단위시간을 통하여 수위 상승값을 분위화하는 수위상승거동곡선(Water-level Rising Behavior Curve)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결과에 따라, 일반적인 유역은 유역특성에 따라서 홍수위가 상승하다가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을 현장 종사자가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보조자료 및 각종 수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real-time bias correction method for rainfall forecast using the Backward-Forward tracking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편의보정 기법의 실시간 적용 및 평가)

  • Na, Wooyoung;Kang, Minseok;Kim, Yu-Mi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1-371
    • /
    • 2021
  •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입력자료로 예측강우가 활용된다. 기상청과 환경부에서는 초단기 예보의 목적으로 MAPLE(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and Lagrangian Extrapolation)을 생산하고 있다. MAPLE은 선행 30분까지의 예측품질은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이후 특히 3시간 이상이 되면 예측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측강우의 편의보정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호우의 규모 및 이동특성을 고려한 사례는 제한적이다.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로는 첫째, 예측의 특성상 예측강우가 생성되고 편의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호우는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둘째, 호우가 이동을 하면서 편의보정의 대상이 되는 지역에 적합한 보정계수의 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돌발홍수는 장마와 같은 전선형 강수가 아닌 국지성 호우와 같이 빠르게 움직이며 강한 호우를 내리는 강수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하여 예측강우 보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를 예측강우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Backward tracking은 미래에 호우가 도달할 지역(대상지역)으로부터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을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추적된 지역에서 보정계수가 결정된다. Forward tracking은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으로부터 대상지역을 다시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앞서 결정된 보정계수는 대상지역의 예측강우에 적용된다. 해당 방법론을 2019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에 실시간 적용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보정방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실제 관측된 강우와 매우 유사한 보정결과가 도출됨을 확인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CCTV-Based Multi-Site Automated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Linked Small-Mid-, and Large-Scale River Basin (국가-지방-소하천 연계 CCTV기반 다지점 자동유량 계측 기술개발)

  • Yoon, Sun Kwon;Choi, Hyeonseok;Cheong, Taesung;Kim, Seojun;Im,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5-1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의 강수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장마철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 내 고립사고 발생 등 그 피해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하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상류에서 빠르게 유입되는 유량의 계측을 통한 홍수 예·경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시간 계측된 유속과 유량 정보는 하류 지역의 홍수 도달시간 확보로 한 발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이천 시범유역을 대상으로 총 6개 지점에 대하여 CCTV기반 자동유량계측 기술을 시범적용하였으며, 사용된 자동유량계측 지점은 기존 환경부의 월계2교, 중랑교 지점과 더불어 추가로 중랑천 월계1교지점, 우이천 본류(창번2교)와 소하천구간(인수천: 지성교, 백운천: 청담교) 지점이다. 우이천과 중랑천 합류 후에는 하도구간에 대하여 중랑교 지점에 설치된 환경부의 계측 정보를 활용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유량계측 오차는 0.9~8.9%로 분석되었으며, 유속계측 오차 또한 현장 계측 결과와 10%이내의 오차범위를 보임으로서 안정된 수리량 계측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SWMM 모델링 결과와 결합하여 Flow Nomograpgh 작성을 실시하였으며, 상하류 연계 홍수 예·경보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이는 실시간 계측된 자료와 모형을 통한 시뮬레이션 정보를 활용한 유역 단위의 신뢰성 있는 유출응답(강우-유량-수위 관계) 규명을 가능하게 하였다. 향후 지방하천과 소하천의 경우, 국가하천 수준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수리량 계측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유역 규모의 수량-수질 수자원 기초조사자료 생산은 지방하천설계 및 관련 이·치수계획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Infiltration Process and Physicochemical Influence in the Unsaturated and the Saturated Zone of the Bottom Ashes from Thermal Power Plant (화력발전소 배출 바닥재의 불포화대와 포화대 침투과정과 물리화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

  • Park, Byeong-Hak;Joun, Won-Tak;Ha, Seoung-Wook;Kim, Yongcheol;Choi, Hanna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1
    • /
    • pp.97-109
    • /
    • 2022
  •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dissolved precipitation on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The iced column and percol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most of the bottom ash particles were drained as the ash-dissolved solution, while the charcoal powder was filtered through the soil. Ion species of Al, As, Cu, Cd, Cr, Pb, Fe, Mn, Ca, K, Si, F, NO3, SO4 were analyzed from the eluates collected during the 24 h column test. In the charcoal powder eluates, a high concentration of K was det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reaction, but it decreased with time. The concentrations of Al and Ca were observed to increase with time, although they existed in trace amount. In the bottom ash eluates, the concentrations of Ca and SO4 decreased by 30 mg·L-1 and 67 mg·L-1, respectively, over 24 h. It is regarded that the infiltration patterns of the bottom ash and biochar in the unsaturated zone were different owing to their particle sizes and solvent properties. It is expected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the bottom ash will mix with the precipitation and percolate below the water tabl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in and highly permeable unsaturated zone. The biochar was filtered through the unsaturated zone. The biochar did not dissolve in the groundwater, although it reached the saturation zone. For these reas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direct contamination by the bottom ash and biochar are unlikely to occur.

Analysis of the Direct Runoff by Using the Geomorpologic Parameters of Watersheds (유역(流域)의 지상인자(地上因子)를 이용(利用)한 홍수량(洪水量) 해석(解析))

  • Suh, Seung Duk;Lee, Seung Yook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7
    • /
    • pp.55-6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lood discharge and peak time by the SCS method and the probability method using the geomorpologic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following the law of stream classifying and, ordering by Horton and Strahler. The SCS method and the probability method are used in estimating the times to peak and the flood discharges at An-dong, Im-ha, and Sun-san basin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range of the values of the area ratio, the bifurcation ratio and the length ratio agree with those of natural streams presented by Horton and Strahler. 2. Comparisons of the probability method and observed values show that small relative errors of 0-7% of flood discharge, and 0-2hr, difference in time to peak respectivly. But the SCS method shows that large relative errors of 10-40% of flood discharge, and 0-4hr, difference in time to peak. 3. When the rainfall intensity is large, the error of flood discharge estimated by using the probability method is relativly small.

  • PD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Based Near-Realtime Analysis of Typhoon Track for Maritime Safety (해상안전을 위한 GNSS 기반 태풍경로 실시간 분석)

  • LEE, Jae-Kang;HA,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93-102
    • /
    • 2019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observing a typhoon track based on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Typhoon NARI, the 11th typhoon of 2007,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yphoon track as well as the local variation of perceptible water over time. The perceptible water was estimated using data obtained from observatories located on the typhoon track from Jeju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or a total of 18 days from September 7(DOY 250) to September 24(DOY 267), 2007, including the period when the observatories were affected by the typhoon at full-scale, as well as one previous week and one following week.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 of the variation of perceptible water was similar between the observatories near the typhoon track. Variation of perceptible water over time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landing of the typhoon was distinctively observed. Several hours after the daily maximum of perceptible water was found at the JEJU Observatory, the first struck by the typhoon on the typhoon track, the maximum value was found at other observatories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In the observation perio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aximum perceptible water was recorded in each location was almost the same a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yphoon landed at the location. To analyze the accuracy of the GNSS-based perceptible water measurement, the data were compared with radiosonde-based perceptible water data. The mean error was 0.0cm,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both 0.3cm, indicating that the GNSS-based perceptible water data were highly accurate and precise.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show that the GNSS-based perceptible water data may be used as highly accurate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of typhoon tracks over time.

A Study on the Geomorphologic Synthesis of Hydrologic Response (수문응답의 지형학적 합성방법에 관한 연구)

  • Cho, Hong Je;Lee, Sang B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0 no.1
    • /
    • pp.99-108
    • /
    • 1990
  • A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was investigated for representation of the effective rainfall-direct runoff hydrograph by using a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b(GIUH) proposed by Gupta et al(1980). The response function of the basin was assumed to be the two-parameter gamm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physical parameters of the response function(Nash Model) was determined by using the regression eqs. were parameterized in terms of Horton order ratio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basin lag time and time-scale parameter. The capability of the Synthetic Unit Hydrograph to the real basin was tested for the Pyungchang river basin and Wi Stream basin, and its capability to reproduce the hydrologic response was investigate and compared with the Moment Method and the Least Square Method used incomplete gamma func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peak flow, the time to peak and the hydrographs the derived Synthetic Unit Hydrograph were tested on some obseved flood data and showed promising, and it was approved to be used for prediction of the ungaged bas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