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도달시간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using Translation Model (이류모델을 활용한 초단시간 강수예보의 적용성 검토)

  • Yoon, Seong-Sim;Lee, Jong-D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3-197
    • /
    • 2009
  • 오늘날 도시지역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첨두유량 및 유출용적의 증가와 홍수도달시간을 단축시키고 있으며, 특히 도시유역에서는 하천 홍수위 상승에 의한 외수피해와 순간적인 집중호우에 의해 도로 노면수의 배수불량에서 기인하는 내수피해가 결합되어 홍수피해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효율적인 조기 대응책으로 도시 수문기상 현상의 변화 및 현황을 파악하여 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의 구축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진 외국의 경우 기상전문가에 의한 집중호우 현상규명 및 사전예보 기법 확립과 수자원 전문가에 의한 이들 예보자료를 활용한 특정지역의 홍수피해 유무를 사전에 예측하는 기상과 수자원의 학제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상 현업에서는 국지성 집중호우 예측과 단시간 강수예보를 위해 수치예보모형, 레이더 및 기상위성을 활용하고 있으나 수자원 분야에서는 예측강우를 활용한 홍수예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특히 도시홍수의 경우 도달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강수의 초단시간 예보기법을 통한 강수예보의 선행시간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상레이더 정보와 이류모델을 활용한 초단시간 강수예보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류모델은 강우강도 분포를 이류벡터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강우의 발달쇠약 회전 등을 고려하여 강수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단시간 강수예보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Least-square fitting 기법으로 레이더 강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강수를 이류모델의 입력장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도시홍수예보의 활용을 위해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초단시간 예측강수의 유역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토양수채수기를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의 함양특성 연구

  • 이광식;이동림;김용제;박원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31-234
    • /
    • 2003
  • Using lysimeter,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soil waters were monitored at a test site of Jeju university during November 2002 to June 2003.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soil waters were found to reflect those of precipitation of the study area. Based on d-values, apparent residence times of about 2 and 4 months were found for infiltration of water through the soil layer to depths of 30 cm and 60cm, respectively.

  • PDF

Analyzing fractal features in rainfall using high-resolution ASOS data (고해상도 ASOS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프랙털 특성 분석)

  • Kang, Hyoungseok;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1-171
    • /
    • 2017
  • 강우의 시간분포는 다양한 시간규모에 걸쳐 프랙털 또는 멀티프랙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졌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시간단위 이상의 프랙털 특성에 관한 것이었다. 실제로 극한 홍수를 가져오는 집중호우는 짧은 시간 규모에서 발생함에도, 이것에 대해서는 관측 자료가 제한되어 극소수의 실험적 연구만 가능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한 고해상도(1분 단위) ASOS(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사상 안에서의 프랙털 특성을 분석해보았다. 대부분의 사상에서 단일 멱함수보다는 2개의 멱함수로 나누어지는 것이 밝혀졌으며, 나뉘는 시간 규모(T*)는 $3{\times}10$ 분으로 파악되었다. 이 시간 규모는 한 단위의 집중호우를 가져올 수 있는 구름크기의 물리적 상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보다 작은 시간 규모에서의 멱함수 지수는 그 이후의 값보다 대체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우가 집중되는 기간의 변동성이, 강수가 물리적 한계에 도달한 이후보다 훨씬 작기 때문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멱함수의 지수는 강수의 발생과정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The Topographical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Iwonchon Basin (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지형요인)

  • 이호준;방제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2 no.3
    • /
    • pp.101-108
    • /
    • 1999
  • This survey was performed from March 1993 to March 1998,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topographical factor. The study sites were two reservoir basins; Kaesim and Jangchan in Iwon-myon, Okchon-gun, Chungcho'ngbukdo Province. Basin shape factors of Kaesim reservoir were at 0.030∼0.210 (mean value 0.090), those of Jangchan reservoir were at 0.217∼0.452 (mean value 0.325). The mean basin shape factor of Jangchan reservoir was 3.61 times larger than that of Kaesim reservoir because its stream width was narrower and mean stream length was shorter. In the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the source of stream (L) and basin area (A), Iwonchon basin was calculated as L=1.44A/sup 0.6/. Circularity ratio was 17.114 in Kaesim (22% of Kum River), and 7.444 in Jangchan. Elongation ratio was 0.357 in Kaesim, 0.636 in Jangchan and 0.282 in Kum River. Precipitation summation period of Jangchan was 1.54 times slower than that of Kaesim. Rainfall reaching time in each small basin was 337.53 min. in A'(Jangchan-ri) basin of Jangchan and 49.26 min in H (Iwon-ri) basin of Kaesi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frequency (Df) and drainage density (D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f=0.023Dd² in Kaesim and Df=0.189Dd² in Jangchan reservoir. As slope degree increased, DO became higher (Y/sub DO/=0.19X+6.5927, r=0.8l), but COD(Y/sub COD/=-0.2092X+9.7104, r=0.52) became lower. Total nitroge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basin shape factor and circularity ratio. Ratio of B/sub OD/ to COD was 1/1.2(Y/sub BOD/ = 1.2984 X/sub COD/-3.2004, r=0.9l).

  • PDF

Surface soil moisture memory using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을 활용한 국내 표층 토양수분 메모리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Kiyoung;Lee, Seulchan;Lee, Yongjun;Yeon, Minho;Lee, Giha;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2
    • /
    • pp.111-120
    • /
    • 2022
  • The concept of soil moisture memory was used as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function of soil to control water flow, which evaluates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precipita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oil moisture memory, a new measurement index called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Fp(f)) was used by tracking the increments in soil moisture by the precipitation event. In this study,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memory was evaluated along with the slope and soi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0~5 cm) soil by using satellite- and model-based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2019 to 2020. The spatial deviation of the soil moisture memory was large as the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n the soil decreased preferentially along the mountain range at the beginning (after 3 hours), and the deviation decreased overall after 24 hours. The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n the soil clearly decreased as the slope increased, and the effect of drainage of water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oil particle size was also shown. In addition, average soil moistur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rate of rainfall transfer to the depths affected the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i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moisture memor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slope, soi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oil moisture.

A Study on Uncertainty in the Probable Precipitation According to Precipitation Recording Methods (강수량 기록방식에 따른 확률강수량 산정의 불확실성 고찰)

  • Heeseong Park;Hyoung Seop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9-259
    • /
    • 2023
  • 강수량자료는 기초 수문자료의 하나로서 자료 수집시 기록방식에 따라 자료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기록방식은 정시 기록방식이지만 실제 강수계에서는 강수이벤트의 기록이 먼저 이루어진다. 정시 기록 방식은 관측을 하기로 정해 놓은 시각(정시)에 강수계에 집계된 강수량을 읽어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이고, 강수이벤트의 기록은 최저관측해상도에 도달하는 강수가 발생한 시각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동일한 강수가 발생하더라도 기록 방식에 따라 이후에 분석에서 다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특히 확률강수량 산정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방향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록방식에 따른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강우모의 발생기법을 이용하여 대규모의 강우를 모의하고 이를 앞서의 두 가지 기록방식으로 기록한 후 기록된 자료를 이용해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기록으로 변환하지 않은 자료를 직접 이용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각 방법의 불확실성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측정의 최소단위를 변화시켜 기록한 다음 다시 분석하여 측정의 최소단위가 기록방식에 따라 어떻게 불확실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가 향후 강수량의 기록 관리방법의 개선에 반영된다면 좀 더 정확한 수문 분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 Terms of the Associated Synoptic Patterns: A 30 Years Climatology (1973~2002) (종관적 특징에 따른 남한 강수 특성 분석: 30년 (1973~2002) 기후 통계)

  • Rha Deuk-Kyun;Kwak Chong-Heum;Suh Myoung-Seok;Hong Y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7
    • /
    • pp.732-743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from 1973 to 2002 were investigated. The synoptic patterns inducing precipitation are classified by 10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ssociated surface map analysis. The annual mean frequency of the total precipitation, its duration time and amount for 30 years are 179 times, 2.9 hours, and 7.1 mm, respectively. About $59\%$ of the total precipitation events were associated with a synoptic low. The dominant patterns are identified with respect to seasons: A synoptic mobile low pressure pattern is frequent in spring, fall, and winter, whereas low pressure embedded within the Changma and orography induced precipitation are dominant in summer and in winter. For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recipitation originated from tropical air associated with typhoon, tropical convergence, and Changma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with other pressure patterns. The statistical elapse time reaching to 80 mm, which is the threshold amount of heavy rainfall watch at KMA, takes 12.9 hours after the onset of precipitati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precipitation shows that the maximum probability for heavy rainfall is located at the south-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also shown tha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lays an important role in occurrence of heavy rainfall. For example, heavy precipitation is frequently occurred at Youngdong area, when typhoon passes along the coastal region of the back borne mountains in the peninsula. The climatological classification of synoptic patterns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over South Korea can be used to provide a guidance to operational forecast of heavy rainfall in KMA.

Analysis of Turbid Water Distribution in Daegok and Sayoun Reservoir (대곡.사연댐의 호내 탁수거동 분석)

  • Lee, Sang-Uk;Kim, Jeong-Kon;Noh, Joon-Woo;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94-1697
    • /
    • 2008
  • 하절기의 태풍 및 장마시 유입되는 탁수는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현재 일부댐에 이러한 탁수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탁수로 인한 하류부의 영향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선택취수시설이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많은 댐을 대상으로 탁수발생 현상에 대하여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탁수거동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수계의 대곡천에 위치한 대곡댐 및 사연댐에 대하여 강우시 호내에 유입된 탁수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CE-QUAL-W2 모형을 구축하였다. 유입 탁도자료는 2007년 하절기 강우시 실측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탁수가 유입된 이후 일별로 호내에서 측정된 수심별수온 및 탁도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였다. 유입 이전의 조사시 표층 및 심층의 수온차이가 $1^{\circ}C$ 미만으로서 수온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탁수 유입시 탁수층이 중층 이하에서 바닥층까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정결과 침강보다 자연적인 소멸 등의 침강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탁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댐축에의 탁수층 도달시간을 검토한 결과 대곡댐은 18시간 이내, 사연댐은 30시간 이내에 댐축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댐별 저수용량이 각각 9월 14일 기준으로 $10.3\;Mm^3$$17.2\;Mm^3$으로서 60% 가까운 차이를 보이나, 9월 18일 기준으로 $18.2\;Mm^3$, $24.2\;Mm^3$로 나타나 각각 $7.9\;Mm^3$, $7.0\;Mm^3$의 저수용량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유입된 양의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에 초기 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10.3\;Mm^3$, $17.2\;Mm^3$의 약 60% 차이)으로써 이러한 탁수층이 댐축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Beta-distributed Timed Petri Net Model for Specification, Analysis and Playout Control of Multimedia Titles (멀티미디어 응용의 명세, 분석 및 재생제어를 위한 베타분포형 시간 패트리넷 모형)

  • 이진석;이강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2
    • /
    • pp.200-216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BTPN (Beta-distributed Timed Petri Net) model which is not only an effective multimedia synchronization and authoring specification model, but also a direct control model for playout of a title. Methods of specification of relationships among all media objects in a title by using the BTPN structure and language, as well as methods of analysis of the BTPN by means of a Remaining Timed Reachability Graph and Timing diagram, are proposed. A concept of critical object path, coming from PERT/CPM, is useful for modeling the uncertainty of playout of a multimedia title and editing of title.

  • PDF

Bias correction of radar rainfall estimates for improvement of rainfall estimation accuracy in shared riv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남북 공유하천 강수량 추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레이더 강수 편의보정 방안 연구)

  • Son, Chan-Young;Jang, Cheol-Ho;Ban, Woo-Sik;Ahn, Je-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0-300
    • /
    • 2019
  • 남북공유하천인 북한강 및 임진강 유역 남측에는 평화의 댐, 군남댐이 치수목적으로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북측의 기상 및 수문정보 획득이 불가하여 홍수대응에 불확실성이 높으며 공유하천상류 북측댐 방류패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접경지역 남측에 위치한 군남댐은 상류에 있는 황강댐에 비해 저수용량이 작고 우리나라 최북측 수위관측지점(필승교)에서 군남댐까지의 홍수도달시간은 1시간 이내로 예 경보 등 사전 대응에 한계가 있어 북측의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북측 강우상황 파악 및 위기대응 능력 강화를 위하여 실제 K-water는 기상청 관할 레이더(광덕산)를 활용한 접경지역 댐 유역 강우추정 및 홍수분석 체계를 구축하여 현업에 활용 중이나 실제 관측 강우량 대비 정량적인 차이를 보임에 따라 황강댐 방류 규모 및 군남댐 유입량 예측에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임진강 상류 북측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기상청 관할 광덕산 레이더에서 얻어지는 군남댐 유역의 추정 강수량(Radar-AWS Rainrate; RAR)에 대하여 통계적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계적 편의보정기법은 '확률분포형을 활용한 기법', '매개변수적 기법', '비매개변수적 기법' 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총 11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기법을 제외하고는 보정 전에 비해 정량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의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이 우수한 결과(결정계수: 0.9898)를 보였다. 비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은 상대적으로 관측자료가 적어 과거기간에 발생하지 않은 이상치가 발생할 경우 비현실적인 강수로 편의보정되므로 충분한 자료가 축적된 이후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댐 수문 운영패턴 예측, 접경지역 홍수모의 및 홍수대응 등 치수적인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