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북삼성병원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3초

당뇨병성 신경병증성 통증의 조절에 대한 α-Lipoic Acid와 저용량 Pregabalin 병용의 효능 및 안정성 (Efficacy and Safety of α-Lipoic Acid and Low Dose Pregabalin Combination in Painful Diabetic Neuropathy)

  • 박기태;이진광;박세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7-182
    • /
    • 2022
  • Purpos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ow-dose pregabalin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neuropathy were evaluated and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designed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ic pain. From 2009 to 2022, 100 patients who suffered from diabetic neuropathic pai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I (pregabalin 150 mg/day with alpha lipoic acid 600 mg/day) and group II (pregabalin 300 mg/day with alpha lipoic acid 600 mg/da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medication side effects, and neurometer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of the above patients was 120.23 weeks in group I and 149.05 weeks in group II. The average VAS score in group I decreased by 3.23 points, and the average VAS score in group II decreased by 2.86 points. Approximately 24.3% of group I had side effects, such as dizziness, sleepiness, and gastrointestinal trouble, while 76.7% of patients in group II had side effects. Sixtyseven patients had a neurometer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medication, a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low-dose pregabalin (pregabalin 150 mg/day)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neuropathy had a similar clinical effect and less frequent medication side effects than regular dose pregabalin (pregabalin 300 mg/day) and alpha lipoic acid. Therefore, low-dose pregabalin (pregabalin 150 mg/day) and alpha lipoic acid should be considered in treating diabetic neuropathy.

회전근개 파열의 수술 후 영상 (Postoperative Imaging of Rotator Cuff Tear)

  • 이민희;박희진;김지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388-1401
    • /
    • 2021
  • 회전근개(rotator cuff) 수술 후 영상은 통증이나 장애가 수술 후 새로 발생하거나 혹은 증상이 없어도 일상적으로 시행된다. 수술 후 영상은 MRI나 초음파 등을 통해 얻으며 일반적으로 복구된 힘줄(건)의 완전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MRI는 술 후 해부학적 구조 변경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수술 후 합병증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여러가지 수술에 사용된 물질들이 화질을 나쁘게 하여 술 전 영상에 비하여 진단 정확도가 떨어진다. 초음파는 복구된 회전근개의 상태를 역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회복에 사용되는 수술기구들로부터 생기는 인공물도 피할 수 있다. 영상 소견이 항상 임상 증상이나 예후와 일치하지는 않으나 재건된 건의 두께보다는 삼각근하 액체 저류가 통증과 기능 회복에 있어 중요하다. 긴장 탄성도 검사도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무지 신전건에 발생한 섬유종: 증례 보고 (Fibroma of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and Extensor Digitorum Brevis Conjoined Tendon Sheath: A Case Report)

  • 박세진;이인규;조용운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4-77
    • /
    • 2019
  • Fibroma of the tendon sheath (FTS) was initially described in 1936 by Geschickter and Copeland as a benign firmed soft tissue tumor that is rare and less common than another soft tissue tumors, especially giant cell tumors (GCT) of the tendon sheath. The common distinct feature is a slow-growing least painful rare entity arising from the tendon or tendon sheath. FTS is detected mostly in the fingers, hands and wrists but less commonly in the foot. Very few cases of FTS have been described arising from a flexor tendon of the foot. This article describes a 51-year-old patient with FTS that developed in the extensor tendon of the foot, which is the only known FTS to form in this area. Heterogeneous low signal intensity in both the T1- and T2-weighted images was observed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lesion was excised completely by open surgery. Histologically, it showed randomly arranged, fibroblast-like spindle cells in dense fibrous tissue and had insufficient hemosiderin-laden macrophages that are typical for GCT.

깊이 센서 기반 모션 분석 시스템을 사용한 어깨 운동학 조사 (Investigation for Shoulder Kinematics Using Depth Sensor-Based Motion Analysis System)

  • 이인규;박재형;손동욱;조용운;하상훈;김유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8-75
    • /
    • 2021
  • 목적: 견관절의 운동 기능에 대한 평가는 견관절 질환의 진단 및 경과를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상군 및 견관절질환을 가진 환자군에 대해 깊이 센서 기반 동작 분석 시스템을 통한 관절 운동을 동적으로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70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정상군 30명과 견관절 질환을 가진 환자 40명으로 분류하였다. 견관절 질환을 가진 환자 40명은 4가지 질환(회전근개 파열, 유착성 활액막염, 충돌 증후군, 회전근개 관절병증)으로 세분화하였다. 총 3회 반복된 외전 및 내전 운동 시 시간에 따른 각도를 깊이 센서 기반 동작 분석 시스템으로 측정하였으며, 최대 외전 각도, 최대 외전 각 속도, 최대 내전 각속도, 외전/내전 시간 비를 계산하였다. 상기 매개 변수들에 대해 정상군 30명과 환자군 40명을 비교하는 한편, 정상군 30명과 4가지 질환군별 10명, 총 5개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견관절 질환을 가진 환자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감소된 최대 외전 각도(θmax), 최대 외전 각속도(ωmax), 최대 내전 각속도(ωmin)를 보였으며, 증가된 외전/내전 시간 비(tabd/tadd)를 보였다. 세분화된 질환군별 비교에서는 최대 외전 각도(θmax)와 최대 외전각속도(ωmax)가 정상군에 비해 유착성 활액막염 환자군 및 회전근개 관절병증 환자군에서 감소되었고, 외전/내전 시간 비(tabd/tadd)가 정상군에 비해 유착성 활액막염 환자군, 회전근개 파열 환자군 및 회전근개 관절병증 환자군에서 증가되었다. 결론: 깊이 센서 기반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한 견관절의 운동 분석을 통해 관절 운동 범위뿐 아니라 각속도 등의 동적 운동 변수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견관절의 더 정확한 기능 평가 및 심도 있는 질환의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항우울제의 사용과 체중 (Usage of Antidepressants and Weight)

  • 이웅;조성준
    • 생물정신의학
    • /
    • 제27권2호
    • /
    • pp.58-63
    • /
    • 2020
  • Depressive disorder is a very common disease, clinical manifestations vary, and the mechanism is not clear. Therefore, a pharmacotherapy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 but the choice of drug is not easy due to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of treatment and confusion with clinical features. It is easy to overlook the side effects of weight gain with antidepressants compared with antipsychotics, but they are frequently observed in clinical settings. The first-generation antidepressants have higher weight gains than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are observed to have less weight gain, and dopamin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have weight loss effect due to decreased appetite. Mirtazapine, an atypical antidepressant, has a strong histamine H1 blockade, and gains weight gain from short-term use. The effects of desvenlafaxine, vortioxetine, and agomelatin on weight, which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 use, have not been largely identified. For better compliance, studies on weight gain due to the use of antidepressants are needed.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시점별 직무만족도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in a Tertiary Hospital)

  • 하유미;하은호;김지희;김효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6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INCSW) 및 일반병동(GW)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도입한 의료기관의 간호 질 향상과 고품질의 간호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K 병원 INCSW와 GW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8명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6개월 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INCSW와 GW는 6개월 동안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삶의 질은 '전반적인 삶의 질'(1차 p=.033, 2차 p=.030)과 '전반적인 건강상태'(1차 p=.049)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차수별 비교에서는 '조직별 인정 및 전문적 성취'(2/3차 p=.037)와 '존중과 인정의 인간관계'(1/3차 p=.005, 2/3차 p=.006)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NCSW의 삶의 질을 차수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 삶의 질' 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3차 p=.025, 2/3차 p=.01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인력의 숙련도와 환자 요구도를 반영한 인력배치, 배치 전 직무 교육 및 조직문화 개선 등의 기간별 다양한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한다면 INCSW와 GW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성인 입원 환자의 낙상전후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 (Differences in Health Status-relate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Falls in Adult Hospitalized Patients)

  • 김묘연;이미준;소혜은;윤병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51-5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환자가 낙상사고 전후에 따라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입원 후 낙상사고가 발생하여 환자안전보고시스템에 보고된 환자 328명의 데이터를 활용한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68.57±14.13세로서 70대가 30.49%로 가장 많았고, 입원 이후 평균 13.86±25.03일이 경과 시에 낙상사건이 발생하였고, 발생 시간대는 야간(22:30- 06:59)이 42.99%로 가장 많았다. 입원 후 낙상 전후에 배변문제(x2=314.0, p<.001), 배뇨문제(x2=284.0, p<.001), 정맥수액요법(x2=85.16, p<.001), 걸음걸이의 허약감(x2=69.77. p<.001), 와상(x2=51.60, p<.001), 의식이 불명하거나 자신의 기능을 과대평가한 경우(x2=17.52, p<.001) 비협조적 태도(x2=220.1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 전후 환자의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낙상예방 및 개별적인 교육중재활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무지외반증에서의 원위 연부 조직 유리술: 변형된 맥브라이드 술식과 경관절 접근법의 비교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in Hallux Valgus Deformity: Comparison of Modified Mcbride Procedure and Trans-Articular Approach)

  • 이준엽;김광연;박세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3-130
    • /
    • 2023
  • Purpose: "Hallux valgus" is a common disease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and is accompanied by foot deformities. Conservative treatment is commonly used in the early stages of hallux valgus. On the other hand, surgical treatment often becomes necessary as the deformity progresses. Surgical treatments involve various osteotomy methods or joint fusion procedures combined with soft tissue release, and outcomes from these surgical treatments are generally favorable. This study compared two soft tissue release techniques in the hallux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48 participa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hallux valgus at a single institution from March 1, 2018, to March 31, 2023. A scarf osteotomy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or "Trans-articular approach" was done for soft tissue releas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and the degree of subluxation of the lateral sesamoid were measured through simple foot radiographs taken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In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group, HVA, IMA, and the sesamoid position grade decreased from 34.94° to 9.98°, 15.64° to 5.44°, and 2.47 to 0.44, respectively. In the trans-articular approach group, HVA, IMA, and the sesamoid position grade decreased from 33.42° to 7.34°, 15.06° to 6.03°, and 2.17 to 0.5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changes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one-year postoperative measurements for both techniques (p-value>0.05). Conclusion: A radiological assessment of soft tissue release through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and trans-articular approach in hallux valg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both surgical techniques can be considered in the distal soft tissue release for a hallux valgus correction.

의료계 위기상황에서의 의료질 향상 활동 (Medical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in the Medical Crisis)

  • 손정일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5-168
    • /
    • 2024
  •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re especially important in middle to small-sized hospitals as well as in large hospitals. Hospital accreditation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the re-establishment of the healthcare delivery system, which is now nearly collapsed in Korea. To achieve all these goals, it is also important to educate prospective medical personnel at college on the concepts of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