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도 분포

검색결과 3,894건 처리시간 0.036초

AWS 데이터를 이용한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 해석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6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10년간(1997-2006년)의 기상청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해안의 바랑분포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해륙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밀양의 바람분포 특성도 해석하여 비교하였다. 부산 해안의 평균풍속은 밀양보다 강하고, 부산 해안 중에서도 성인 영도와 가덕도의 평균풍속은 일광, 해운대 및 대연의 그것보다 약 2.0배 강한 특성을 보인다. 상판분석에 의하여,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은 서로 변화 경향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의 최대값은 9월에 나타나는데 이는 대풍의 영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최대순간풍속도 섬인 명도와 가덕도에서 특히 강하고, 부산 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주로 8-9월에 그 최대값이 관측된다. 부산 해안의 풍향별 관측횟수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겨울은 남서풍-북북동풍이 우세하고 봄은 남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다. 여름의 풍향 분포는 봄과 비슷하고, 가을의 풍향 분포는 겨울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 PDF

순방향 2층 신경망의 연결강도 분포 특성 분석 및 연결강도 초기화에 적용 (Analysis of Weight Distribution of Feedforward Two-Layer Neural Networks and its Application to Weight Initialization)

  • 고진욱;박민용;홍대식;이철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8권3호
    • /
    • pp.1-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순방향 2층 신경망의 연결강도(weight) 분포 특성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신경망의 학습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현재 학습 알고리즘으로는 새로운 문제가 주어질 때 이전에 수행된 학습 정보의 도움 없이 새로이 학습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학습을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결강도 공간(weight space)상의 한 점(point)을 찾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연결강도 공간에서 이러한 해(solution)가 되는 점들의 분포를 조사하여 이를 새로운 문제의 학습 시 초기 연결강도의 선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연결강도 분포를 이용한 초기화 방법을 패턴분류 문제에 적용하였고, 기존의 무작위 초기화보다 학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를 위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의 활용 (Applic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Intensity-Duration-Quantity Curve for Unagaged Basin Flood warning)

  • 김진겸;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5-645
    • /
    • 2015
  • 기존 홍수예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관측되는 강우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고 댐 저수량과 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천의 수위와 유량을 판단한 뒤 홍수예보 및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동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한 의사결정 시간의 단축, 모형의 성능에 의존하는 홍수예측 결과 등의 단점이 존재하며, 관련 전문가가 상주하며 홍수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을 전파해야하는 인적 재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을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에 활용하는 기법을 평가하였다. 계측된 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고 하천의 예경보 홍수량에 준하는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다양한 지속시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토양함수상태에 따른 IDQ 곡선을 산정하여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는 홍수예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홍수예경보지점에 적절한 IDQ 곡선을 보유하게 된다면 비전문가도 신속한 홍수예경보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각 지자체와 유관기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고강도 콘크리트 유효응력블럭 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ssumption of Stress Block Parameter for High-Strength Concrete)

  • 정민철;윤성환;전정문;이도형;박대효;공정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41-142
    • /
    • 2010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 유효응력 블록 계수 추정과 관련한 연구이다. 현행 KCI 코드에서 제시하는 등가직사각형 응력 분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분포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며, 실험 데이터에 기반한 제안식이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의 실험 데이터와 응력매개벼수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효응력블럭 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Geomorphic Development of River Terraces at the Mid.Downstream of Hongchoen River)

  • 윤순옥;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9-205
    • /
    • 2000
  • 북한강 지류 홍천강은 중류구간과 하류구간의 하천 형태가 대조적이다. 홍천강의 중류는 단층선을 따라 직선상으로 남서류하고, 하류는 감입곡류 구간으로 서류하여 북한강에 합류한다. 유역분지의 기반암은 중류구간의 서쪽과 하류구간은 편마암, 중류구간의 동쪽은 화강암이며, 상류구간은 변성암과 화강암이 혼재한다. 하안단구는 중류구간 유로의 양안에서 넓게 분포하며, 하류구간에서는 감입곡류의 활주사면에 좁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구조선의 존재, 중류와 하류의 지질 특성과 이에 따른 유로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 화계분지는 중류구간의 가장 하류쪽에 위치하는데, 분지 내에는 고도를 달리하는 여러 단의 하안단구가 분포한다. 즉, 화계분지에서는 과거 여러 번에 걸친 유로변경과 이로 인해 곡류절단이 이루어졌다. 이는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홍천강 하류의 좁고 깊은 하곡이 국지적인 침식기준면으로 작용하여 중류에서 하류로의 곡류대 이동이 방해받았기 때문이다.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저위 I면과 저위II면이 각각 Early Wurm 빙기와 Late Wurm에 대비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4와 2 시기에, 중위면은 Late Riss에 해당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6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국내 현장의 콘크리트, 철근 및 강연선 재료 강도에 대한 통계 특성 분석 (Statistical Properties of Material Strength of Concrete, Re-Bar and Strand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 백인열;심창수;정영수;상희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21-430
    • /
    • 2011
  • 이 연구는 신뢰도기반 구조설계기준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시공 현장에서 사용하는 구조 재료의 강도 현황을 조사하여 통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하중 및 구조 저항의 실측값을 기반으로 통계 및 신뢰도에 기반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구조물 설계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재료 강도의 통계 특성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현장에서 시공에 사용한 콘크리트, 철근 및 PS 강재의 재료 강도를 수집하여 이들을 통계 처리하고 외국의 신뢰도 기반 설계기준 보정에 사용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콘크리트 자료의 편중 계수는 1.13에서 1.20의 범위에서 비교적 균등하였고 변동 계수는 0.10 이하로 나타났다. 철근 자료는 제조사별로 통계 특성이 차이를 보이고 있고 직경별로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강연선의 경우에는 고강도 재료이므로 국내 자료와 외국자료 모두 편중 계수와 변동 계수가 콘크리트와 철근에 비하여 작은 값을 보이고 있다. 통계 분포는 다양한 출처로 인하여 혼합된 전체 데이터 대신 개개의 구조물별로 사용되는 재료 강도의 분포를 모사하도록 데이터를 좀 더 세분하여 현장별, 제조사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재료 강도에 대하여 정규 분포, 로그 정규 분포 및 Gumbel 분포로 가정하여도 적절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파형강판 이음부의 강도 및 응력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Strength and Stress Distribution Behavior for the Connections of Corrugated Steel Plates)

  • 황원섭;강승표;위영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통권70호
    • /
    • pp.365-37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FEM 해석을 통하여 파형강판 이음부의 강도 및 응력분포 특성에 관한 축방향 겹침길이 및 볼트간격의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파형강판의 항복강도비($P/P_y$) 및 항복 후의 강도상승률은 축방향 겹침길이가 30mm일 때 가장 유리하게 되며, 현행의 제작기준에 의한 겹침길이는 매우 안전측의 값이 된다. 또한 파형강판 이음부의 강도특성은 볼트배치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볼트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있는 표준형의 경우에는 주로 원둘레방향의 연단거리만이 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볼트가 일렬로 배치되어있는 대골형의 경우에는 원둘레방향 연단거리와 볼트중심간격 모두 강도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해석결과로부터 구한 강도특성 및 응력분포특성을 기초로 하여 현행의 파형강판 이음부 제작기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의 홍수예보적용을 위한 금호강 유역 구축 및 최적화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Application in Geumho-river Basin)

  • 김수영;윤광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7-207
    • /
    • 2018
  • 현행 홍수예보모형은 집중형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을 계산하고 하천의 수위를 예측한다. 집중형 모형은 유역을 동질의 배수구역으로 가정하여 공간적인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하나의 유역 내에 산지와 평지가 혼재하는 하천의 상류지역은 지형의 공간적인 분포가 반영되어야 정확한 홍수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에 대해서 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을 적용하고 다양한 해상도와 유역분할을 수행한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을 최적화 하였다. 타 강우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유역의 분할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한 표준유역 단위로 분할하였고, 격자의 해상도는 최소 100m에서 최대 500까지 변화를 주어 유역유출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대크기의 격자의 크기를 찾아 홍수예보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격자의 크기를 소유역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역유출 예측의 정확성은 만족시키면서 홍수예보에 적합한 계산속도가 나올 수 있는 최적 해상도를 제시하였으며 분포형 모형의 적용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수로별 유속 잔차 및 염분 분포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during Monsoon in Nakdong River Estuary)

  • 송진일;윤병일;김종욱;임채욱;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84-195
    • /
    • 2014
  • 낙동강 하구역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담수는 갑문 개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방출되고 해수유입은 하구둑에 의해 억제되어왔다. 이로 인해 인위적인 수문 개방에 의한 해수와 담수의 수렴 및 혼합은 낙동강 하구역의 해수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기 방류 중 낙동강 하구역의 수로별 유동 환경과 하구 흐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및 염분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형적 특징 및 방류의 영향에 의해 수로별 유속 및 염분 분포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영향은 각 수로별 잔차유속 및 염분 수직분포에 다르게 작용하며, 지형적 특징은 염분침투 범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염의 물이 정체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색법을 이용한 액적 확산 화염의 온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mperature Measurements of Droplet Diffusion Flame using a Two Color Method)

  • 이종원;김연규;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20-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화염 내에 생성된 그을음 입자가 방사하는 복사 강도 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Jet A1 액적확산 화염의 온도 분포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서 700 nm와 900 nm 각각의 파장에 대해서 화염 내 그을음 입자가 방사하는 복사 강도를 CCD 카메라로 측정하였고 Abel 변환을 통해 얻어진 국소 복사 강도 분포를 이색법(Two Color Method)에 적용하여 최종 화염의 온도 분포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이색법에 의한 측정은 그을음의 복사 강도와 투영된 시각선의 간격에 따라서 약 2% 정도 이내의 deconvolution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측정 방법을 통해 2000 K 기준 약 18 K 오차 범위 이내에서 화염온도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