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기능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5초

말초혈관 혈류에서 진폭-스펙트럼-밀도 분석에 의한 당뇨병에서의 신경병증 및 갑상선 기능 유무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neuropathic and thyroid function of the diabetic using amplitude-spectrum-density analysis in peripheral blood vessels)

  • 남상희;최준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1호
    • /
    • pp.23-28
    • /
    • 1998
  • 최근에 당뇨병이 말초혈관 혈류흐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의학보고에 따라 기존의 혈액체취를 통한 혈액 속의 당치를 측정하는 방식 대신에 고분해능을 가진 LDF(Laser Dopller Flowmeter)를 이용하여 말초혈관 혈류를 측정하여 정상인과 당뇨병환자와의 차이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분석 방법중,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영역에서의 ASD방법을 통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대상은 음성 신경병증, 양성 신경병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4개의 당뇨병환자군과 당뇨병에 대한 정상군에 대하여 LDF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당뇨환자군은 정상인에 대하여 모든 진동수영역에서 낮은 ASD를 가져 당뇨병이 말초혈관 혈류운동에 손실을 가져옴을 확인하였고, 신경병증을 가진 환자와 갑상선기능저항증 당뇨환자군은 거의 모든 진동수 영역에서 낮은 ASD를 가졌다.

  • PDF

방사성요오드 치료전 갑상선유두암 환자의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Patients Before Radioiodine Therapy)

  • 김현석;전진숙;김민수;최영식;오병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32-139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인지장애의 발생 빈도와 이에 관계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갑상선암으로 진단받고 갑상선전절제술 받은 지 6~12개월 후,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을 받기 위해서 입원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개인력, 병력조사와 우울지수 및 인지기능(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이하 MoCA-K)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 중 MoCA-K 총점이 22점 이하인 환자는 21명(50.0%)이었다. 2) 나이, 교육수준,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MoCA-K 총점 23점 이상군과 MoCA-K 총점 22점 이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MoCA-K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변인은 나이, 교육수준, 병행질환,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 HDRS-17 총점이었다. 결 론 갑상선절제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기 전 갑상선암 환자에서 인지장애는 50%에서 있었다. 추후, 치료과정의 갑상선암에서 인지장애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치료 과정의 환자에서 인지장애의 인식과 예방 대책이 요구된다.

  • PDF

심박변이도를 이용한 갑상선 기능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Thyroid Function and Stres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김수민;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45-551
    • /
    • 2022
  • 본 연구는 심박변이도(HRV) 신호를 통해 산출된 스트레스 측정치와 갑상선 기능 검사(TFT) 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K 의원에 내원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18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획득한 심박변이도(HRV) 신호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저항도(SR)와 스트레스 지수(SI)를 산출하였으며 갑상선 기능검사(TFT) 항목으로는 TSH, Free T4, T3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값은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각 항목 간의 관계를 통계 분석 하였다. 결과에서 Free T4와 스트레스 저항도(SR)는 양의 상관관계(r=0.18)를, 스트레스지수(SI)와는 음의 상관관계(r=-0.16)를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갑상선 기능과 HRV 신호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중 환자에서 방사성 옥소($^{131}I$) 투여 후 혈청 갑상선자극 면역글로불린 (Thyrotropin-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 TBII)활성도 및 Thyroglobulin의 변화 (The Changes in Serum TSH-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 (TBII) Activity and Thyroglobulin Level after Treatment with Radioactive Iodine ($^{131}I$) in Graves' Hyperthyroidism)

  • 손태용;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0-205
    • /
    • 1994
  •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방사성 옥소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치료법임이 알려져 있는데 방사성 옥소 투여 후 갑상선 조직의 자극 및 파괴에 따라 각종 항원의 노출의 증가와 이에 대한 자가항체의 변동이 예상된다. 저자들은 추정 갑상선 무게를 고려한 6-10 mCi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 받은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90명을 2년간 추적하여 치료 전 후의 혈청 갑상선자극 면역글로불린(TBIIl)활성도와 thyroglobulin 및 antithyroglobulin antibody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대상환자 90명의 연령분포는 14-58세(중앙치 30)였으며 여자가 72명(80%)이었다. 2) 평가대상 환자 중 치료 전 TBIIl 활성도가 정상범위였던 경우는 15명(30%)이었고 증가된 경우는 35명(70%)이었다. 치료 전보다 치료 3개월 후에 TBII 활성도가 더 증가된 경우는 31명(62% )이었다. 3) TBII 활성도가 치료 전에 증가하였거나, 치료 전에 정상범위였다가 치료 3개월 후에 증가한 환자의 TBII 활성도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가장 높았고 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이들의 TBIIl 활성도가 15%이내로 정상화된 정도는 치료 후 6개월에 40%, 12개월에 82%였다. 4)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 80%에서 3개월 후에도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높았다가 증가가 없었으며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60%에서 치료 3개월 후에 혈청 thyroglobulin의 증가가 있었다. 5)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의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높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의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6)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동시에 측정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한편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동시에 측정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 0.16). 이상의 결과로 방사성 옥소를 투여 받은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혈청 TBII 활성도는 항갑상선제를 투여 받은 경우와는 달리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감소 정도는 항갑상선제만을 쓴 경우보다 더 빠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은 방사성 옥소 치료효과의 관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혈청 thyroglobulin은 혈청 TBII 활성도를 반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동반된 갑상선 반쪽 무형성증 1예 (A Case of Thyroid Hemiagenesis Associated with Hypothyroidism)

  • 이동원;지용배;송창면;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28
    • /
    • 2013
  • Thyroid hemiagenesis is rare congenital anomaly that one lobe of thyroid fails to develop. It is often asymptomatic and discovered incidentally with other thyroid disease such as hypothyroidism, hyperthyroidism, multinodular goiter, benign adenoma and cancer. Most cases reported are left thyroid lobe agenesis and occurred in female. Compensatory hypertrophy occurs in most cases. Many cases are asymptomatic and detected incidentally, so awareness of its existence can help its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Here, we report a case of thyroid hemiagenesis accompanying hypothyroidism with a review of literature.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진단과 치료: 2023 대한갑상선학회 진료 권고안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The 2023 Clinical Practice Guideline, Korean Thyroid Association)

  • 정현경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9권3호
    • /
    • pp.127-133
    • /
    • 2024
  •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is characterized by elevated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levels and normal free thyroxine levels. The Korean Thyroid Association recently issued guidelines for managing SCH.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a serum TSH level of 6.8 mIU/L is the reference value for SCH. SCH is classified as mild (TSH 6.8-10.0 mIU/L) or severe (TSH > 10.0 mIU/L), and patients are categorized as adult (age < 70 years) or elderly (age ≥ 70 years). Levothyroxine treatment (LT4-Tx) is not recommended for mild or even severe SCH in elderly patients. Immediate LT4-Tx can be given to adults in most cases, but not to women who are pregnant, patients with progressive disease, or patients with underlying coronary artery disease, heart failure, or dyslipidemia.

갑상선 중독성 주기성마비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spects in Patients with Thyrotoxic Periodic Hypokalemic Paralysis)

  • 남상엽;김재홍;오정현;박진철;윤현대;원규장;조인호;성차경;이형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28-236
    • /
    • 1999
  • 저자들은 한국인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동반된 주기성마비의 임상적 특정을 알아보고자 1986년 3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갑상선기능 항진증을 진단받은 환자 997명 중 주기성마비를 보였던 19명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환자 997명 중 남자는 296명, 여자는 701명이었고, 이들 중 주기성마비는 19명에서 발생하여 빈도는 1.9%이었다. 성별분포는 남자에서 6%(18/296), 여자에서는 0.2%(1/701)의 발생률을 보였다. 또한 마비가 시작된 연령은 19 - 55세로서 평균 35세이었다. 마비는 주로 하지(14/19, 73.6%)에 일어났고, 상하지 모두에서 발생한 경우도 3명(15.7%)이었으나, 상지만 발생된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원위부보다 근위부에 더 심한 마비를 보였다. 총 19명의 대상환자들 중 6명(38.5%)의 환자에서는 선행 유발요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나머지 환자들에서는 과식(5/19, 26.3%), 음주(3/19, 15.7%), 육체적 과로(4/19, 21%), 감염(1/19, 5.2%) 등이 유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명의 환자의 마비발작시 혈중 칼륨 수치는 1.5-6.1(평균 $3.2{\pm}1.2$ mEq/L)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환자들은 칼륨투여와 동시에 모두 PTU와 베타차단제로 치료받았으며,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되면서부터 재발한 환자는 2명이었고, 나머지 17명에서는 정상 갑상선 기능하에서 마비가 생기지 않았다. 이상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에서 발생하는 주기성마비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이 확실하나, 정상 갑상선기능하에서도 주기성 마비가 재발하고,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2% 정도에서만 주기성 마비가 발생한다는 것은 근세포막전위를 유지하는 생화학적 경로 이상 이외에 유전적 감수성 등과 같은 다른 기전들도 갑상선 중독성 주기성마비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마비발작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마비발작은 어떠한 기전으로 저절로 호전이 되는지, 왜 젊은 아시아인에서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향후 이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