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마 지수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6초

신뢰도분석을 위한 감마사전확률분포의 추정

  • 전치혁;박영신;김지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및 초록집; 계명대학교, 대구; 30 Apr.-1 May 1993
    • /
    • pp.294-300
    • /
    • 1993
  • 어떤 무기체계의 임무신뢰도분석에 베이지안기법을 사용하는데 있어 고장율이 주어졌을 때 고장간 시간이 지수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이의 Conjugate Prior인 감마분포의 추정문제를 다룬다. 임무별 고장간시간에 대한 예측분포를 유도하였으며, 실제 측정된 기존의 임무별 고장간시간이 이 예측분포를 따른다는 전제하에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감마분포의 두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 무기체계의 실제 고장자료를 이용하여 추정치를 구하였다.

  • PDF

감마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방사선방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naringin and naringenin against cellular damage and oxidative stress of γ-irradiated mice)

  • 강정애;김혜림;윤선혜;장범수;최대성;박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59-667
    • /
    • 2017
  •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in vivo에서 BALB/c 마우스에 나린진과 나린제닌을 7일 동안 경구투여 한 후 6Gy의 감마선을 조사시켜 24시간 뒤 감마선 조사로 인한 세포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사선 예방효과를 검토하였다.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평가에서 나린제닌이 나린진보다 ABTS 제거 활성 및 FRAP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아글리콘 형태인 나린제닌이 글리코사이드 형태의 나린진보다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 나린제닌을 투여 한 군이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지수, 흉선 지수 및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린제닌을 투여 후 감마선을 조사한 군의 ALT와 AST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에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지방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보였으며, XO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마선 조사 전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GSH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에 항산화 활성을 회복시켰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전에 나린제닌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어 방사선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변수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서울지점의 가뭄평가 (Evaluation of Seoul Droughts Using Two-Dimens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 연제문;김태웅;이정규;위성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1-1215
    • /
    • 2006
  • 가뭄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가뭄의 심도 및 지속기간 등 가뭄특성을 산정하여 가뭄을 정량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해석하기 위하여 강수를 이용한 표준강수지수(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이용하여 가뭄 특성을 산정하였다. 서울지점은 강수의 근대 관측 기간이 약 100년 정도(1907년 ${\sim}$ 2003년) 이기 때문에 측우기 자료를 이용하여 조선 말까지(1770년 ${\sim}$ 1907년) 자료를 확장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SPI로부터 절단 수준법 개념을 이용하여 SPI의 -1이하를 가뭄으로 정의 하고, 연속된 가뭄으로부터 가뭄 심도 및 가뭄 지속기간을 구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이변수 감마 분포(Bivariate Gamma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가뭄의 재현특성을 분석하였고, 가뭄의 지속기간만을 고려한 재현기간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이변수 가뭄 재현기간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계층적 의사결정론에서 일관성 지수에 대한 통계적 검정 (A Statistical Testing of the Consistency Index in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종찬;전명식;정형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3-114
    • /
    • 2014
  • 계층적 의사결정론(AHP)에서 응답자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관성 지수가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일관성 지수값이 0에 근접할 수록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되나, 신뢰성에 대한 임계값은 9점 척도의 비교행렬로 부터 모의실험 된 무작위 지수의 평균에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9점 척도 비교행렬에 의한 모의실험 분포가 차원별로 치우침이 심한 분포라는 점에 기초하여, 차원별 일관성 지수의 분위수에 기초한 통계적 가설검정 방법을 소개하기로 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으로 계산된 일관성 지수의 분포에 따라 적절한 임계 분위값을 제공하였다. 또한, 쌍대비교행렬의 각 원소에 오차를 고려한 모형을 적용하여, 일관성 지수의 분포를 감마분포로 특수한 경우 근사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의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in Gangneung Area)

  • 차호환;김재화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2013
  • 본 논문은 1998년부터 2011년까지 강릉 지역의 지방 방사능 측정소에서 측정된 공간 감마선량률의 통계 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Autocorrelation Function Analysis(ACF), Rescaled Range Analysis(R/S Analysis),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DFA)의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며, 이 중 DFA는 non-stationary한 시계열의 장거리 상관성을 보여주는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은 두 가지 다른 경향을 갖는 크로스 오버가 나타난다. 이것은 연중 공간 감마선량률은 강한 장기 기억 특성이 나타나는데 비해 연간으로 넘어가면 상관성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각 분석 방법들의 지수들이 있는데 이 지수들 사이의 관계식이 맞음을 확인 하였다.

폴리프로필렌의 내방사선성에 미치는 산화방지제와 열처리의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 and Thermal Treatment on the Radiation Resistance of Polypropylene)

  • 박성현;김형일;강필현;노영창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10-13
    • /
    • 2006
  • 의료용 등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내방사선성에 대한 산화방지제와 열처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여러 종류의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이를 시이트 형태로 제작하여 질소분위기에서 25 kGy로 감마선 조사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한 폴리프로필렌 시이트에 대해 산화방지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색도 변화와 기계적 강도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감마선 조사 후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라디칼 잔존량과 산화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페놀계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보다는 인계 산화방지제를 폴리프로필렌에 혼합하였을 때 감마선 조사 후 색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130\;^{\circ}C$에서 30분 동안의 열처리에 의해 산화의 원인이 되는 자유라디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어 열처리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보다 낮은 산화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참치 자숙액의 항산화 활성에 감마선 조사가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oking Drips of Thunnus thynnus by Gamma Irradiation)

  • 이희섭;김현주;최종일;김재훈;김진규;전병수;안동현;정영진;김영지;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10-814
    • /
    • 2008
  • 수산 가공 폐기물중 하나인 참치 자숙액을 이용하여 천연기능성 소재 개발을 하기 위해 참치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0, 50 kGy)를 하여 전자공여능을 확인하고, FRAP, UWLA, Rancimat 등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한 참치 자숙액의 전자공여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각각 16.17% 및 10.38% 증가하였고, 산화안정지수 및 FRAP value 또한 각각 23% 및 26% 증가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지수를 측정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항산화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참치 자숙액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 활성 및 산화안정성을 감마선 조사 기술을 사용하여 증진시켜 식품 및 공중보건산물의 첨가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두경부암에서 2차원 배열 검출기를 이용한 IMRT QA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Uncertainty of IMRT QA Using 2Dimensional Array Detector for Head & Neck Patients)

  • 반태준;이우석;김대섭;백금문;곽정원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7-102
    • /
    • 2011
  • 목 적: 2차원 배열 검출기를 이용하여 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품질관리를 시행할 때 정량적 분석을 위한 감마(${\gamma}$) 함수의 적용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선량 분포에 대해 정의되어 있으나 임상적으로 불연속적인 지점에 대해 측정된 값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감마(${\gamma}$) 지수법을 이용한 평가의 불확실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두경부암 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품질관리의 감마(${\gamma}$) 함수 적용에서 표본 추출 간격에 따른 감마(${\gamma}$) 지수 변화정도를 확인하고 불확실성을 평가하여 유효한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시행한 두경부 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IBA Dosimetry사의 OmniPro I'mRT system software version 1.7b를 이용하여 동일한 두 선량 평가면(Plane)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점에 위치한 표본 추출 간격 0.1 cm의 선량 평가면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선량 평가면 위치를 Y축 방향으로 0.0 cm, 0.2 cm, 0.5 cm, 1.0 cm씩 이동 시키면서 Gamma pass rate, Average signal, 측정값에 대한 표준편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표본 추출 간격을 0.1 cm, 0.5 cm, 1.0 cm, 2.0 cm, 4.0 cm으로 변화시키면서 Y축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때 Gamma index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결 과: 각 표본추출 간격에 대해 Average signal의 차이는 0, -0.0019, -0.0004, -0.0460, -0.832로 나타났고 측정값에 대한 표준편차의 차이는 0, -0.0030, 0.0124, 0.0070, -0.0799로 나타났으며 Gamma pass rate의 차이는 0, 0.0027, -0.0143, 0.0532, 0.0560의 결과를 보였다. 표본추출 간격 0.1~1.0 cm 범위 내에서는 Average signal과 Gamma pass rate의 차이가 1.5% 이내로 나타났으며 2.0 cm 이상 범위에서는 5% 이상 차이를 보였다. 결 론: 감마(${\gamma}$) 함수의 적용에서 표본추출 간격이 1.0 cm 이하인 경우 실제 분석 값에 대해 1.5% 이내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2.0 cm 이상인 경우 Gamma pass rate이 실제 분석 값보다 5%이상 높게 나타났고 감마(${\gamma}$) 지수의 불확실성과 신뢰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세기변조 방사선 치료의 품질관리를 시행할 경우 표본추출 간격에 따른 감마(${\gamma}$) 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임상적으로 2.0 cm 미만의 표본 추출 간격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 교차 상관성 분석 (Cross Correlation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Saylight, Average Wind Speed in Gangneung Area)

  • 차호환;김재화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47-352
    • /
    • 2013
  • 본 논문은 강릉 지역에서 동일 기간에 기록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rho}_{DCCA}$를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rho}$)방법으로 구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사이 ${\rho}_{DCCA}$는 일(4~7일), 달(30일), 계절(90일), 년(360일)에서 0.57~0.48, 0.39, 0.34, 0.26,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사이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20~-0.23, -0.22, -0.17, -0.13, 공간 감마선량률과 평균풍속 사이의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10~-0.12, -0.11, -0.05, -0.05이다. 두 번째, ${\rho}_{DCCA}$를 통하여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은 교차 상관성이 있으며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에는 교차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balt-60 감마선 조사가 Eimeria tenella 의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γ-Irradiation from Cobalt-60 on pathogenicity of Eimeria tenella)

  • 윤희정;강영배;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9-655
    • /
    • 1993
  • E. tenella의 오오시스트에 대한 Cobalt-60 감마선 조사선량과 접종용량을 결정하고 감마선으로 처리한 E tenella와 그 계대원충을 닭에 접종하여 병원성을 조사하고자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증체량, 혈변도 및 병변도 등을 비교할 때 Cobalt-60감마선 조사량은 100 Gy의 수준에서 그리고 계대원충 접종군에서는 10,000개의 오오시스트 수준에서 약간의 병원성이 나타났다. 혈변도, 병변도 및 분변내 오오시스트 배설수는 감마선 조사원충 접종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대 및 3대 계대원충 접종군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그리고 감마선 조사하지 않은 원충 접종군에서 가장 높았다. 감마선 조사원충 접종군의 증체량이 무감염 대조군을 제외한 다른 시험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1대 및 3대 계대원충 접종군의 증체량이 감마선 조사하지 않은 원충 접종군의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원충 접종군의 사료요구율이 무감염 대조군을 제외한 다른 시험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1대 및 3대 계대원충 접종군의 사료요구율이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원충 접종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원충 접종군의 항콕시듐지수(190.6)는 1대 및 3대 계대원충 접종군의 항콕시듐지수(142.8과 107.4)보다 높았고, 감마선 조사하지 않은 원충 접종군의 것(87.4)보다는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마선 조사후 계대수가 증가할수록 병원성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대수가 증가할수록 감마선 조사로 인하여 병원성이 약화된 원충의 수는 줄어들고 감마선의 영향을 받지 않은 병원성이 강한 원충의 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