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마지티피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이용한 선형 및 다중회귀분석 기반 헤모글로빈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Hemoglobin Based on Linea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Health Examination Big Data)

  • 홍상훈;홍광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53-555
    • /
    • 2021
  • 빈혈의 유병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가벼운 질병으로 인식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환자들이 존재한다. 빈혈의 발생원인으로 혈액 내 헤모글로빈 및 헤모글로빈 내 철 부족이 있으며, 헤모글로빈 측정기술의 경우 채혈 이외에 사람의 신체 및 건강 정보를 적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키, 몸무게 및 허리둘레) 및 건강 정보(혈청지오티, 이완기 혈압 및 감마지티피 등)가 포함된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일 특징에 대해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고, 다중 특징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회귀분석 식을 산출, 산출된 회귀분석 식을 통해 헤모글로빈을 추정하여 실제 헤모글로빈값과 오차율을 계산하고 비교한다. 실험 결과, 선형회귀분석 식을 통해 헤모글로빈을 추정하였을 때 평균 8.124%의 오차율이 계산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의 경우 선형회귀분석보다 낮은 6.767%의 오차율이 계산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의 융합 탄성도 측정 평가 (Evaluation of convergence Elasticity of Liver Fibroscan used measurement with Ultrasonography)

  • 김민정;한만석;장재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9-85
    • /
    • 2017
  • 본 연구는 만성 B형 바이러스성 감염 환자의 간 기능 혈액 검사 수치와 간 섬유화 스캔 검사(FibroScan(R))의 비교 분석을 통한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의 임상적, 기기적 융합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대전시 B내과에 내원한 만성 B형 바이러스성 감염 환자 75명의 간 섬유화 스캔 검사 결과와 간 기능 혈액검사 수치를 분석 하고 ROC곡선을 작성하였다.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 수치가 각각 0.572, 0.502로 섬유화 수치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0). 감마지티피, 총 빌리루빈,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수치도 비교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알파태아단백과 총 단백정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알부민(-0.449)과 혈소판치(-0.373)도 섬유화 수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p<0.000). 간 섬유화 정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ROC 곡선의 정확도가 증가하였으며 F4의 간 경변 단계에서 가장 큰 AUROC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간 섬유화 스캔 검사는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 기능 수치인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간의 염증 검사 및 만성 간질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한 남성에서 혈중 감마지티피 수준과 공복혈당장애 (IFG)의 발생 위험도: 2년 추적 연구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Levels and the Risks of Impaired Fasting Glucose in Healthy Men: A 2-year Follow-up)

  • 신주연;임종한;고대하;권근상;김용규;김환철;이의철;이주형;남문석;홍성빈;박신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53-358
    • /
    • 2006
  • Objectives: An increase in the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concentration has been regarded as a marker of alcohol drinking or liver disease. Some reports, however, have suggested that the serum GGT may be a sensitive and early biomarker for the development of prediabetes and diabe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serum GGT is a reliable predictor of the incident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including diabetes. Method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for two years (2002-2004). We analyzed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data from a total of 4,711 men. The examinations were done in the years 2002 and 2004. The analyzed data included a self-questionnaire, a physical examination and the laboratory results. Both IFG and diabetes were defined as a serum fasting glucose concentration of more than 100 mg/dL and 126 mg/dL, re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738 cases (15.7%) of incident IFG and 13 cases (0.3%) of diabetes occurred. The mean serum GGT concentrations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38.0 IU) and incident IFG groups (50.3 IU), and the incident diabetes group (66.0 IU) (p<0.001). After multivariable adjustment, the relative risks for incident IFG or diabetes across the baseline GGT categories (<10th, 10th-20th, 30th-40th, 50th-60th, 70th-80th and >90th percentile) were 1.0, 1.172 (0.769-1.785), 1.107 (0.725-1.689), 1.444 (0.934-2.232), 2.061 (1.401-3.031) and 2.545 (1.784-3.631) (p-value for trend: <0.001). The risk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GGT for 2 years; when comparing the increased groups (<10%, 10-20%, >20%) versus the decreased over 20% group of GGT, the risks for IFG or diabetes were 1.334 (1.002-1.776), 1.613 (1.183-2.199) and 1.399 (1.092-1.794).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erum GGT concentrations within its normal range may be an early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f IFG and diabetes. As serum GGT is a relatively inexpensive test and a reliable marker, it migh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public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