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각 기억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formation Process Model of Cerebral Cortex Using Neural Network and Fuzzy Cognitive Map (신경회로망과 퍼지 인지 맵(FCM)을 이용한 대뇌피질의 정보처리 모델)

  • 서재용;김성주;연정흠;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3-76
    • /
    • 2003
  • 신경생리학적으로 밝혀진 바에 의하면, 대뇌의 시상에 분포한 일차 감각영역에서 감각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감각 정보는 과거 기억과의 비교를 통해 인식되고 인식된 정보는 일차 운동영역으로 전달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 수집된 감각 정보를 판단하는 기관은 감각 연합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정보를 통해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과거 기억 정보로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감각 입력에 대해서는 대뇌피질 내의 파페츠 회로를 통해 새로이 기억하게 된다. 이 과정에는 변연계의 편도체(Amygdala)의 감정 반응을 이용하여 강한 감정 반응을 유도하는 감각 입력에 대해서는 강한 기억을 하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약한 기억을 하게 되는 특징이 고려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억되지 않은 새로운 감각 자극에 대해 감정 반응 정도에 따라 기억되는 정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대뇌피질의 정보 처리 및 감각 학습 과정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에 바탕이 될 것이다.

  • PDF

Human′s Memory Management Model Using Combined ART and Fuzzy Logic (ART와 퍼지를 혼합한 인간의 기억 모델)

  • 김주훈;김성주;연정흠;김용민;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9-292
    • /
    • 2004
  •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인간처럼 생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의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은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들어온 정보가 이미 기억된 정보와 같은가를 비교하여 기존 기억에 적용시키거나 새로운 정보로 기억시킨다. 기존의 모델은 ART를 사용하여 그것을 구현하고 반복 학습되지 않는 정보는 잊혀져 버리는 것과 강한 자극과 함께 입력된 정보는 반복 학습되지 않아도 잊혀지지 않는 것이었다. 그 모델을 이용할 경우 모든 감각에 대한 정보들이 전부 한 번에 처리되었기 때문에 감각별로 정보를 차등적으로 조절하여 처리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ART를 이용한 모델에서 감각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퍼지 규칙을 도입한 방법으로 교체하고자 한다. 우선 입력받는 감각 정보의 여러 값들을 감각 별로 그룹화 한 후 그룹별로 퍼지 규칙을 이용하여 비교한다. 기억된 정보들을 퍼지 규칙으로 하고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규칙에 대한 결과를 낸다. 이 모델에서는 퍼지를 사용하여 기억된 정보에 대한 이해가 쉽고, 기억된 정보를 이용할 때 규칙을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감각 정보를 알맞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Hong, Jeong-Hun;Jeong, Dong-Hyeon;Sim, Song-Yong;Song, Chang-G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9
    • /
    • pp.931-941
    • /
    • 2000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 PDF

Model for Papez Circuit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파페즈회로 구현)

  • 김성주;김용택;서재용;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75-178
    • /
    • 2002
  • 인간은 두뇌의 일부를 이용하여 감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판단을 행한 후에 행동을 취하는 일반적인 과정에 의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신경생리학적으로 밝혀진 바에 의하면, 대뇌의 시상에 분포한 일차 감각영역에서 감각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감각 정보는 과거 기억과의 비교를 통해 인식되고 인식된 정보는 일차 운동영역으로 전달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 수집된 감각 정보를 판단하는 기관은 감각 연합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정보를 통해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이고, 과거 정보에 없는 새로운 정보의 경우 파페즈회로를 통해 새로운 정보로 기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적응적 학습 기법을 통해 파페즈회로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기존 학습의 내용에 의해 알고 있는 감각 입력에 대해서는 인식 결과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입력에 대해서는 학습을 통해 이후 과정에 대응하도록 적응적인 구조와 학습 방법을 지닌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Sensory Information Learning Process Considering of Emotion (감정을 고려한 감각 정보 처리 학습)

  • 김성주;김용민;김성현;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5-228
    • /
    • 2003
  • 인간은 두뇌의 일부를 이용하여 감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판단을 행한 후에 행동을 취하는 일반적인 과정에 의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신경생리학적으로 밝혀진 바에 의하면, 대뇌의 시상에 분포한 일차 감각영역에서 감각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감각 정보는 과거 기억과의 비교를 통해 인식되고 인식된 정보는 일차 운동영역으로 전달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 수집된 감각 정보를 판단하는 기관은 감각 연합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정보를 통해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적응적 학습 기법을 통해 입력된 감각 정보에 대한 추론 과정에 감정의 변화를 고려하는 학습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동일한 감각 입력에 대해 감정에 따라 차별화된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학습 모델을 설정함으로써 단순한 감각 정보 처리의 차원을 극복하고자 한다.

  • PDF

Brain Areas involved in graphaesthesia : Tactile sensation to letter recognition (문자감각인지와 관련된 뇌영역에 대한 연구 : 문자인지와 관련된 감각과정에 대한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 연구)

  • 김광기;우성호;이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8-210
    • /
    • 2002
  • 신경과 의사들은 실제 임상에서 환자들에게 대뇌피질감각의 이상 여부를 알기 위해 손바닥에 숫자나 문자를 쓰게 하여 알아 맞추게 하는 검사를 시행한다. 손바닥에 쓰여진 문자나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의 인지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번째로 손바닥에 닿는 감각을 인지해야 하고, 다음 단계로 이 감각들을 시공간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이러한 정보들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단계로 우리 머리 속에 있는 문자와 일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가설 아래 각각에 해당할 수 있는 뇌영역을 밝히기 위해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다. 손바닥의 일차적 감각을 인지하는 데는 일차감각영역이 활성화 되었고, 이차감각영역의 활성은 감각들의 시공간적 통합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것들을 유지하는 것은 작업기억의 하부구조인 시공간 그림판과 관련되는 영역이며, 문자를 일치시키는 과정은 브로카영역 부근의 활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위의 가설에 대한 추가검증 및 실제로 일어나는 인지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ference Arising from View-Height Differences on Visual Short-Term Memory Performance (조망 높이의 차이가 초래한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Ka, Yaguem;Hyun, Joo-Se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3 no.1
    • /
    • pp.17-28
    • /
    • 2020
  • Lowering observers' view-height may increas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a visual scene and preven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s in the scene. Based on this possibility, memory stimuli in relation to their expected views from different heights were displayed in this study. Thereafter,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was measured. In Experiment 1, the memory stimuli were presented on a grid-background drawn according to linear perspectives, which varied across observers' three different view-heights (high, middle, and low). Thi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remember both the color and position of each memory stimulu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sting participants'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under a different memory load of two set-sizes (3 vs. 6) demonstrated an evident drop of performance in the lowest view-height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performance for six stimuli with or without the grid-background was tested. A similar pattern of performance drop in the lowest condition as in Experiment 1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view-heights of an observer can chang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the visual field, and the sensory interference driven by the occlusion may further influence VSTM performance for those objects.

Estimation of Lifetime Data Storage Capacity for Human Senses (인간 감각 정보를 위한 평생 기억용량 평가)

  • You, Young-Gap;Song, Young-Jun;Kim, D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23-2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capacity estimation of a storage system accumulating all data sensed during the lifetime of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calculation assumes modern data compression and data collection schemes based on wearable or implanted devices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More than 76% of the storage area is found to be used for video data storage of common TV image quality. The remaining storage area is for data from other sensing organs including audio, taste, olfactory and tactual systems in addition to indexing information. Total storage area of around 600 tera bytes is needed to cover 100 years of human life including his fetal period.

Health Zone_마음 비타민 -나도 모르는 내 안 트라우마 극~복!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6 no.4
    • /
    • pp.32-33
    • /
    • 2012
  • 트라우마(trauma)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다. 극단적인 트라우마의 기억은 그 당시에 경험했던 생생한 감정이나 신체 감각의 잔재가 뇌 안의 신경 회로에 그대로 남아 있다가 일상생활에서 사소한 자극에 의해 그대로 폭발 되어 나온다.

  • PDF

Somatotopic Mapping of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부운동영역의 뇌지도화)

  • Han Young Min;Jeong Su-Hyun;Lee Heon;Jin Gong Yong;Lee Sang Yong;Chung Gyung H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8 no.1
    • /
    • pp.9-16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activation during motor, sensory, word generat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tasks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Materials and Methods : Sixteen healthy right-handed subjects (9M, 7F) were imaged on a Siemens 1.5T scanner. Whole brain functional maps were acquired using BOLD EPI sequences in the axial plane. Each paradigm consisted of five epochs of activation vs. the control condition. The activation tasks consisted of left finger complex movement, hot sensory stimulation of the left hand, word generat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The reference function was a boxcar waveform. Activation maps were thresholded at an uncorrected p=0.0001. The thresholded activation maps were placed into MNI space and the anatomic localization of activation within the SMA was compared across tasks. Results : SMA activation was observed in 16 volunteers for the motor task, 11 for the sensory task, 15 for the word generation task, 5 for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ask, and 15 for the working memory task. The rostral aspects of the SMA showed activity during the word generation and working memory tasks, and the caudal aspects of the SMA showed activity during the motor and sensory tasks. Right (contralateral) SMA activation was observed during the motor and sensory tasks, and left SMA activation during the word generation and memory task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SMA is involved in a variety of functional tasks including motor, sensory, word generation, and working memory. The results obtained also support the notion that functionally specific subregions exist within the region classically defined as the S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