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갈수유출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m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 climate stress test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 Kim, Tae Hyeong;Kang, Boo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5-415
    • /
    • 2022
  • IPCC 제5차 보고서('14) 및 세계위험보고서('15) 등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위 위험요소로 '수자원 위기'를 꼽았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 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물 관리에서 기후변화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관리 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 취약성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수문자료 및 특정 기후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댐 인프라의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댐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취약성 평가 연구사례 및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수문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한 뒤, 월 강우량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분위별 강우량과 기온을 변경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와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유출 및 저수지 모형을 결합하여 충주댐, 용담댐, 합천댐, 섬진강댐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후 스트레스에 따른 유출 취약성 평가는 20분위 수 갈수량을 이용해 연중 보장확률을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며, 온도의 영향보다는 강우의 변동이 댐 이수안전도 취약성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for the Possibility of Water-ecosystem Restoration Applying LID Techniques in the Deokjin Park Area, Jeonju City (LID기법을 이용한 전주 덕진공원의 수생태 복원 가능성 평가)

  • Choi, Seung-Hyun;Kim, Seok-Hwi;Kim, Kangj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477-490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storation possibility of the old streams by enhancing the rainwater infiltration in the watershed of Deokjin Park, Jeonju 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odeling groundwater discharge to the streams under various conditions. We assessed the amount and loc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enhancement to restore the streams and evaluated whether the baseflows of the restored streams are sufficient to keep the water ecosystem of the Deokjin P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baseflow of the streams can persist for a longer time even during the dry season when the rainwater drainage system is recovered similarly to the those before development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The enhancements of recharge in the headwater area, which is the area around the zoo and Daeji Village in the Deokjin Park watershed, is useful to increase the baseflows of the downstream reaches. Furthermore, spreaded recharge over a widespread area is better to prevent the streams from drying than the intensive recharge at a few sites.

Analysis of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n Runoff Using HSPF Model (HSPF 모형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 Park, Min-Ji;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6 s.155
    • /
    • pp.495-50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n the runoff behavior using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and Landsat images. Land cover maps were prepared using three every ten years from 1980 to 2000 of the upper watershed ($258\;km^2$) of Gyeongan stream. Hydrologic parameters of HSPF were calibrated using observed data (1999 - 2000) and validated using observed data (2001, 2003) at Gyeongan gauge st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runoff volume and peak rate increased as $15.0\;km^2$ forest areas decreased and $19.3\;km^2$ urban areas increased for 20 years land use changes. The runoff volume showed a higher rate of increase in wet year (2003, 1709.4 mm) than in dry year (2001, 871.2 mm). The peak runoff increased $13.3\;\%$ in normal year (2000, 1257.3 mm) because the year has the highest rain intensity (241.3 mm/hr) among the test years. The runoff volume of a dry season and a wet season (May - September) in normal year 2000 increased $4.4\;\%$ and decreased $8.1\;\%$, respectively.

Simulation of dam inflow using a square grid and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model (격자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댐 유입량 모의)

  • Choi, Yun Seok;Choi, Si J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4
    • /
    • pp.289-30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to the continuous simulation by simulating the dam inflow. The GRM was previously developed for the simulation of rainfall-runoff events but has recently been improved to enable continuous simulation. The target watersheds are Chungju dam, Andong dam, Yongdam dam, and Sumjingang dam basins, and runoff models were constructed with the spatial resolution of 500 m × 500 m. The simulation period is 21 years (2001 to 2021). The simulation results were evaluated over the 17 year period (2005 to 2021), and were divided into three data periods: total duration, wet season (June to September), and dry season (October to May), and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ily inflow of each dam.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Kling-Gupta efficiency (KGE), correlation coefficient (CC), and total volume error (VE) were us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sim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imulated dam inflow, the observed data could be well reproduced in the total duration and wet season, and the dry season also showed good simulation result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low-flow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tinuous simulation technique of the GRM model was properly implemented and the model was sufficiently applicable to the simulation of dam inflow in this study.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Downstream Han River Reach by the FESWMS-2DH Model (FESWMS-2DH 모형에 의한 한강 하류부의 수리특성 분석)

  • Yoon, Yong Nam;Park, Moo J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4
    • /
    • pp.847-857
    • /
    • 1994
  • FESWMS-2DH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based on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wave equation is used in this study to simulate the flow characteristecs of the river reach between Chamsil and Shingok submerged weirs, which acts as a tidal river under low flow conditions. The model uses Galerkin F.E.M and meshes are composed of triangular or quadrangular elements. The model shows accurate and stable results concerning mass conservation as well as velocity distribution and water surface elev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on the planning of river pollution abatement measures and artificial structures.

  • PDF

Effect Analysis of Alternatives to Secure Instream Flow in the Anyangcheon Using HSPF (HSPF를 이용한 안양천의 유지유량 확보 방안에 대한 효과 분석)

  • Lee, Kil-Seong;Lee, Joon-Seok;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40-1844
    • /
    • 2006
  • 현재 안양천 유역에서는 하천 유지유량 확보 및 건천화 방지를 위해 지하철 용출수,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재이용수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유역에 적용이 가능하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분석과 처리 대안의 효과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후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유지유량 확보 방안에 대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에 대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 AGWRC, DEEPFR, INFILT, LZSN, UZSN, IRC, INTFW, LZETP 순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이 중 유출에 1% 이상 변화를 주는 매개변수 AGWRC, DEEPFR, INFILT, LZSN, UZSN, IRC를 모형의 보정 및 검증에 사용하였다. HSPF 모형을 이용하여 2004년 안양천 유역을 모의한 결과 갈수량 기준 시 안양천 중류 유량의 82%가 안양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수처리 재이용수와 지하철 용출수는 각각 4.6%와 1.3%의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안양천 유역과 같은 건천화가 진행되고 있는 도시하천의 경우 지하철 용출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하천 유지유량 확보 방안은 물순환 건전화의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in Nakdong River Watersheds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 경향성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Nam, Jae-Joon;Lee, Myung-Eun;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4-234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사상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로 인해 밝혀졌다. 이중, 강우사상의 경우 연강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최대강우량 또는 강우강도나 강우집중률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직접유출 부분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면서, 즉 총강우의 유역출구로 나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갈수기의 지하 및 하천수위는 예년에 비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실정이 국가지하수관측망이나 하천수위 자료로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하수위의 변동특성이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해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료로서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지하수 관측망 중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검토한 결과 총 43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여 암반층 36개, 충적층 19개로 관측정별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연최대, 연평균, 연최저 지하수위에 대한 경향성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 평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암반층은 27개 관측소가 하강하였고, 이 중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며 하강하는 지점은 9개로 나타났다. 충적층은 16개 관측소가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중 12개 관측소가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하강하는 경향성이 뚜렷한 지역은 지하수의 고갈과 함께 인근하천의 건천화 그리고 지반침하나 해안지방인 경우는 염수침입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

Research about water quality chang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watershed environment change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 분석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 Do, Yeonsu;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6-406
    • /
    • 2017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강수량이 홍수기에 집중하고 갈수기에 감소하는 강우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유역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농업지역에서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농배수에 의한 수질오염의 심화와 농업 및 생활용수 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문제들은 상 하류간의 지역갈등을 유발시키는 등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농배수 조정지를 조성하여 농업지역의 용수를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합천은 용도지역면적 중 대부분이 농촌지역이며 논 77.4%, 밭 22.6%의 비율로 논의 이용이 밭보다 3배 이상 높아 농배수 조정지를 조성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합천지역의 황강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장기강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모의하였다. 황강유역 내의 HRU(Hydrologic Response Unit)별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 농배수 조정지 조성에 따른 수질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농배수 조정지의 HRU별 추가 조성에 따른 낙동강 본류에 합류되는 황강유역 하류의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Reevaluation of Water Supply Safe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변화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재평가)

  • Bang, Na-Kyoung;Nam, Won-Ho;Lee, Ju-Eon;Kwon, Hyung Joong;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4-184
    • /
    • 2019
  • 농업용 저수지 가운데 약 90 %는 1970년 이전에 축조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은 수자원의 확보와 저수지 규모의 결정 등을 포함하는 수자원공급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적용된 평가 기준은 최악의 갈수기 동안에도 용수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최대 공급량을 의미하는 보장공급량과 일정비율로 물 부족을 허용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신뢰도, 통계적 지표인 회복도, 취약도 등의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인 이수안전도는 한발빈도와 물수지 분석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주수원공 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한발빈도 및 최근 기상 및 유출량, 저수량의 변화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과 시계열 빈도분석을 통해 재산정된 한발빈도를 이용하여 이수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변화로부터 설계 당시의 용수공급능력과 현재 용수공급능력을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 사상 및 농업용수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물공급안전도를 판단할 수 있다.

  • PDF

Analysing the effect of impervious cover management techniques on the reduction of runoff and pollutant loads (불투수면 저감기법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저감 효과 분석)

  • Park, Hyung Seok;Choi, Hwan Gyu;Chung, Se Wo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1
    • /
    • pp.16-34
    • /
    • 2015
  • Impervious covers(IC) are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driveways, sidewalks, building's roofs, and parking lots, through which water cannot infiltrate into the soil. IC is an environmental concern because the pavement materials seal the soil surface, decreasing rainwater infiltration and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and consequently disturb the hydrological cycle in a watershed. Increase of IC in a watershed can cause more frequent flooding, higher flood peaks, groundwater drawdown, dry river, and decline of water quality and ecosystem health. There has been an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the institutional adoption of LID(Low Impact Development) and GI(Green Infrastructure) techniques to address the adverse impact of IC.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the modeling site for a samll urban watershed with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LID techniques on the control of rainfall runoff processes and non-point pollutant loa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the field data collected during two flood events on July 17 and August 11, 2009, respectively, and applied to a complex area, where is consist of apartments, school, roads, park, etc. The LID techniques applied to the impervious area were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measures such as pervious cover and green ro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perviousness land cover through LID applications decreases the runoff volume and pollutants loading during flood events. In particular, applications of pervious pavement for parking lots and sidewalk, green roof, and their combinations reduced the total volume of runoff by 15~61 % and non-point pollutant loads by TSS 22~72 %, BOD 23~71 %, COD 22~71 %, TN 15~79 %, TP 9~64 % in the stud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