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색화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6초

조경수의 병해충 -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래돌발해충

  • 고상현
    • 조경수
    • /
    • 통권147호
    • /
    • pp.38-42
    • /
    • 2015
  • 최근 기후변화 개방화로 산림과 농경지 모두가 서식처인 외래종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등의 새로운 해충이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그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 해충들은 흡즙성의 가해양상을 보이며 알로 월동하고 생활사가 유사하며 기주범위가 상당히 넓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꽃매미의 유입 정착사례에서 보듯이 최근의 기후변화가 발생과 관련되어 있어 앞으로 수목과 농작물 모두에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 온화한 겨울 기온과 봄철 이상기온으로 인해 알로 월동하는 해충들의 월동치사율이 감소하고 발생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이들 문제 해충의 생태 및 방제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사과의 삼투압농축과 열품건조시 갈색화 반응에 미치는 효과 (Osmotic Concentration of Apples and Its Effect on Browning Reaction during Air Dehydration)

  • 김명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1-126
    • /
    • 1990
  • Internal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concentration of apples in sugar solutions was exami-ned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immersion time of those solutions using moisture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parameter. Influence of osmotic concentration processes on browning reaction was also evaluated compared to control In creasin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sugar solutions increased moistrue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parameter. Water loss was rapid early in the process and then levelled off, The same phenomena were occurred on sugar gain only in higher concentration(60$^{\circ}$ brix). IN lower concentration (30$^{\circ}$brix) sugar gain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whole process. Moisture loss during osmotic concentration using a sugar solution(60$^{\circ}$ brix 6$0^{\circ}C$) with 180min immer-sion time was 45.79% Effect of osmotic concentration befor air dried to 4% M.C(wet basis) on browning reaction was significant. Minimum browning reaction during air drying was carried out using a pretreatment such as osmotic concentration in sugar solution(60$^{\circ}$brix 45$^{\circ}C$) with 150min immersion time(O.D=0.01) compared to control(O.D=0.17)

  • PDF

Caramel형 갈색화 반응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ction rate of caramel type browning reaction)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3-369
    • /
    • 1999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action rate of caramel type browning reaction of xylose(XY), glocose(GL), sucrose(SU), glucose+citric acid(GLCA), glucose+sodiumcitrats(GLSC), glucose+glycine(GLGC) heated at 60, 80, 100, 120 and 140$^{\circ}C$ for 24 hours, respectively. 1. The color intensity (absorbance at 490 nm) of the browning reaction mixtures tends to increase as the browning reaction time gets longer and the browning of reaction temperature gets higher. But the degree of the intensity of SU and GLCA changes very little. 2. The reaction rate constant (K) was increased rapidly above 120$^{\circ}C$ and appeared maximum at 140$^{\circ}C$, especially GLGC (140.25) was the highest. The activation energy (Ea) of sugars. XY had the highest value (124.36 J/mol), while SU the lowest(104.68 J/mol). Mixtures of GLGC was shown to have higher activation energy (144.94 J/mol) than the sugar alone and Q$\_$10/ values of GLGC were 1.68-2.85. 3. The residual amount of reactants such as xylose, glucose, sucrose, citric acid, sodium citrate and glycine in each browning mixture were decreased upon the browning reaction temperature increasing. In the GLCA, GLSC and GLGC browning mixtures, respectively, the residual amounts of glucose were less than those with amino acid, organic acid and their salt.

  • PDF

Proteomics 분석기반 갈색지방 활성화 및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browning)조절 연구 (Proteomics studies of brown adipose tissue (BAT) activation and white adipose tissue (WAT) browning)

  • 배광희;김원곤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1호
    • /
    • pp.26-35
    • /
    • 2017
  • Obesity is a worldwide problem that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orders. Obesity i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an abnormal amount of body fat in adipose tissue. Adipose tissue is a major metabolic organ, and it has been classified as either white adipose tissue (WAT) or brown adipose tissue (BAT). WAT and BAT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anatomical locations, morphological structures, function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WAT is mainly involved in the storage and mobilization of energ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On the other hand, BAT specializes in dissipating energy as heat through uncoupling protein-1 (UCP-1)-mediated non-shivering thermogenesis. Novel type of brown-like adipocyte within WAT called beige/brite cells was recently discovered, and this transdifferentiation process is referred to as the "browning" or "britening" of WAT. Recently, Brown fat and/or browning of WAT have been highlights as a new therapeutic target for treatment of obesity and its related metabolic disorders. Here, we describe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BAT and browning of WAT, focusing on proteomic approaches.

간장의 저장 중 갈색화반응에 대한 산소의 영향 (Effect of Oxygen on the Browning of Soy Sauce During Storage)

  • 박승규;한창근;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7-311
    • /
    • 1990
  • 간장의 갈변에 산소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발효숙성이 종료된 직후 여과한 생간장에 환원당(포도당, 자일로오스)과 아미노산(글리신)을 첨가한 것과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시료를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저장($30^{\circ}C$, 150일)하면서 갈색화반응의 차이를 관찰하였던 바 호기적 조건에서는 혐기적 조건에서보다 약 2.5배(단, 자일로오스 첨가구는 약 1.5배)의 갈변이 일어났다. 간장을 $3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고 저장하였을 때는 가열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초기갈변값이 약 10%정도 증가하였을 뿐 저장시험기간 동안에 열처리 유무가 갈변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업적으로 양조한 간장에서는 미생물이나 효소 등에 의한 생물학적인 갈변은 중요하지 않았다.

  • PDF

굴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천연조미소스 개발을 위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화 (Optimizing Maillard Reaction for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Source Using Oyster Hydrolysate)

  • 유태현;김진희;신지영;김현정;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69-1274
    • /
    • 2016
  • 굴은 "바다의 우유"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또한 타우린, 글리코겐, 셀레늄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영양학적 특징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식품 산업에서는 천연소스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최근 다양한 선호도와 특별한 맛 때문에 소비자들의 천연소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이 논문은 굴과 굴 가공 부산물인 굴 자숙액을 이용한 천연소스 개발을 위하여 소스 제조에 필요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 조건을 설정하고자하였다. 최적화를 위한 결과값은 갈색도와 열을 가하면 생성되는 향미성분인 pyrazine으로 판단한다. Protamex를 이용하여 굴과 굴 자숙액을 각각 6시간, 2시간 가수분해한 가수분해물과 당은 주로 glucose, xylose, fructose와 반응시켰고, xylose가 갈색화에 가장 적합하였다. 당함량은 1% 이상에서 반응하여도 거의 동일하였으며, 경제적으로 판단한 결과, 최적 농도는 가장 낮은 농도의 1%를 선택되었다. 또한 온도를 달리하여 반응을 시켰을 때, 갈변도는 $60^{\circ}C$ 이상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는 갈변도와 pyrazine 모두가 온도가 상승해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12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이취가 발생하여 식품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100^{\circ}C$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6시간 까지는 상승을 하였으나, 6시간 이상에서 pyrazine과 갈색도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천연소스를 제조하기 위해 굴과 굴 자숙액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100^{\circ}C$, 6시간 동안 xylose로 마이알 반응을 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부산물을 이용하여 소스로 제조함으로서 산업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부후균이 흰개미 서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od Decaying Fungi for Termite Ecology)

  • 조창욱;김영희;홍진영;김수지;이정민;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99-108
    • /
    • 2012
  •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ris)은 목조문화재 및 건축물 등의 목재 조직의 건조, 부패과 균열, 스펀지화,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을 발생시켜 구조적, 미학적인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인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는 목조건축물의 옥외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층을 얇게 남겨두고 내부를 침해함으로써,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이 무너져버리는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 피해 미생물인 목재부후 균이 흰개미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후균이 만연된 곳에 흰개미를 넣어 공존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목재의 중량으로 피해율을 산정한 결과, 전반적인 총질량은 두 종류의 부후균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목재의 질량은 백색부후균에서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갈색부후균에서는 오히려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섭식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재의 건조 후 질량에서는 갈색부후균에 넣었던 목재의 질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된 한국 전통간장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from Different Regions)

  • 박선영;이상기;박수인;김인용;정윤화;유성률;신삼철;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47-85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전통간장을 각기 다른 지역별 옹기에서 숙성시키면서 변화하는 색도, protease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120일간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한 간장의 색도는 적색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120일째 예산 옹기 간장의 갈색도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protease 활성은 발효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강진 옹기의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모든 지역 옹기에서 발효된 간장은 발효될수록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강진 옹기의 간장은 총 페놀 함량(16.6 mg GAE/mL), FRAP(54.3 mg AAE/m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43.6%)이 지역별 옹기 중에서 가장 높았다. 갈색도와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성은 낮으나 protease 활성과 총 페놀 함량과의 상관은 높았다(R=0.85). 120일 동안 발효된 간장의 항산화 활성, protease 활성, 갈색도, 총 페놀 함량은 지역별 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이화학적 성질 및 침출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 한재윤;정기화;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18-10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배양근을 홍삼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 하였다. 압출성형 산삼 배양근의 일반성분, 조사포닌, 말톨, 산성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등의 화학적 성분과 갈색도, 적색도, 침출특성의 물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주근의 함량이 높은 홍삼이 총당과 환원당 함량은 산삼배양근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총당과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반면 미세근으로 이루어진 산삼배양근의 총아미노산 함량이 주근으로 이루어진 홍삼과 비교하여 높게 측정되었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아미노산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함량은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을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배럴온도 $120^{\circ}C$에서 압출성형한 산삼배양근이 9.60%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말톨은 홍삼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산삼배양근의 경우 압출성형을 통해서도 말톨의 생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산성다당체는 산삼배양근($0.24\;{\mu}g/g$)이 가장 낮았지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배럴온도 $120^{\circ}C$에서 $0.75\;{\mu}g/g$으로 홍삼의 $0.83\;{\mu}g/g$과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압출성형을 통해 감소하였다. 산삼배양근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압출성형으로 증가하였으며,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갈색도를 기준으로 한 침출특성과 침출속도상수 역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압출성형은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및 산성다당체 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침출력을 향상시켜주므로 향후 고가의 산삼배양근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공정으로 확인되었다.

인삼(人蔘)의 가열추출(加熱抽出) 과정(過程) 중 사포닌의 가수분해(加水分解) 특성(特性) 및 유기산중화(有機酸中和)에 의한 분해억제(分解抑制) (Property and Inhibition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Organic Acids Neutralization in Ginseng Extract Preparations)

  • 정승일;이용구;김천석;이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5-310
    • /
    • 1998
  • 인삼(人蔘)을 열수추출방법(熱水抽出方法)으로 추출(抽出), 농축(濃縮)하여 엑스를 제조(製造)할때 인삼(人體)에 무해(無害)한 탄산수소(炭酸水素)나트륨, 탄산(崙酸)나트륨 등(等)의 약염기(弱鹽基)를 수삼(水蔘)과 백삼내(白蔘內) 유기산(有機酸) 당량비(當量比)로 첨가한(添加) 결과(結果),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 citric acid 4.12, 13.05 mg/g, malonic acid 0.68, 2. 18 mg/g, succinic acid 0.13, 0.46 mg/g, malic acid 2.68, 8.62 mg/g)을 중화하여 주된 유효성분(有效成分)인 사포단의 분해(분해) 없이 추출(抽出)할 수 있었으며, 갈색화 반응(反應)을촉진(促進)하여 추출물(抽出物)의 갈색도(褐色度)를 높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가수분해(加水分解) 현황(現況)은 $C_{20}$ 위치(位置)의 가수분해(加水分解)가 주(主)된 요인(要因)이었으며, protopanaxadiol과 protopanaxatriol의 $C_3$$C_6$에 결합(結合)된 glucoside 결합(結合)은 전자밀도(電子密度) 계산결과(計算結果)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가 -0.223으로 낮은 2차(次) 탄소(炭素)에 결합(結合)되어 대채로 안정(安定)하였으나 $C_{20}$ 위치(位置)의 glucosidp 결합(結合)은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가 -0.295로 높은 제(第) 3차(次) 탄소(炭素)에 결합(結合)되어 약산용액(弱酸溶液) 가열조건(加熱條件)에서 산가수분해(酸加水凉解)가 용역(容易)하였으며, 사포닌의 3번(番), 6번(番곯)과 20번(番) 탄소(炭素)의 산(酸)과 효소(酵素)에 의한 가수분해(加水分解)와 차이는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와 입체장애(立體障碍)에 의한 차이(差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