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 독성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7초

흰쥐 간의 microsomal enzymes의 유도에 있어서 benzene, toluene과 xylene의 복합적인 영향과 그들의 대사산물 (Combinatory Effects of Benzene, Toluene and Xylene on the Induction of Rat Liver Microsomal Enzymes and Their Metabolites)

  • 김기웅;박상신;김태균;문영한;장성근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9-15
    • /
    • 1996
  • We studied the effects of a single, combined and mixed exposure of benzene, toluene and xylene on the activities of rat liver microsomal AHH, ADH and ALDH, and the excretion of their metabolites in urine. The AHH activities of the rats treated in combination and mixture were slightly higher and/or similar to those rats treated with single solvent, while the reverse effects were observed for ADH and ALDH. Similar effects were observed when the metabolites were examined in urine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ch solvent might interJkre the induction and action of ADH and ALDH, and decrease the excretion of their metabolites into urine.

  • PDF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이 Galactosamine에 의해 유발(誘發)된 백서(白鼠) 간기능손상(肝機能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eegapunsusan on galactosamine induced hepatoxity in rats)

  • 김지형;박선동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91-106
    • /
    • 1997
  •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의 galactosamine에 의해 야기된 백서의 간손상에 대한 해독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을 전처지한 후 시험관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간장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및 간장에서 항산화방지제(SOD)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시험관내에서 xanthine oxidase의 활성변화 및 간장조직의 xanthine oxidase의 형전환 변화를 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의 이요작용(利尿作用)을 통한 독성물질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서 세포나 조직의 손상 및 생체독성에 대하여 유의한 방어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PDF

급성 버섯중독으로 인한 간손상의 추적 조사 (Outcomes of Acute Liver Injury from Accidental Mushroom Poisoning)

  • 오범진;김원;임경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6-122
    • /
    • 2004
  • Purpose: Several risk factors related with chronic complications and mortality related with liver injury of mushroom poisoning were reported. But, there were few reports about the long term outcomes. The aim was to evaluate the long term clinical outcomes in mushroom poisoning regarding the risk factors. Methods: Clinical data were reviewed and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medical records and/or telephone interviews. The patients who had one or more risk factors such as markedly eleva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prolonged prothrombin time (PT) were classified into high risk group. Patients had no risk factor classified into low risk group. Results: From June 1989 to December 2003, nineteen mushroom poisoning patients admitted to Asan Medical Center, seven were male, and mean age was $58\pm9$ years old. All the patients accidentally ingested and the interval from ingestion to symptom onset was $9\pm4$ hours. There were four patients in high risk group, and fifteen in low risk group. In high risk group, peak AST was $2,263.3\pm1,303.0IU/L$most prolonged PT was $38.0\pm27.4\%$, and stuporous mental status was shown in one patient. In low risk group, laboratory values returned to the normal values but histological evaluation revealed specific features of toxic hepatitis on sixth hospital day. Chronic complications such as persistent or chronic hepatitis, mortality was not occurred during follow up period (from 10 months to 16 years)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were small, there were no chronic complications or mortality related with liver injury after mushroom poisoning regardless risk factors of chronic complications and mortality.

  • PDF

신장 상피세포주 A498을 이용한 대황(Rheum undulatum L.)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Crude Extracts of Rheum uudulatum L. with Human Kidney Epithelial Cell A498)

  • 나명석;진종언;조남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60-46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담석증, 신장치료 등의 한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대왕을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에 대한 세포독성을 여부를 MTT 정량법, NR 정량법, SRB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 추출 용매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 모두 처리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이 다른 3가지 용매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Butanol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대왕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그 추출물에 대한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63mg/ml, 0.65mg/ml, 0.68mg/ml이었고, 가장 영향이 적은 water의 경우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84mg/ml, 0.82mg/ml, 0.80mg/ml이었다. 4. 정량방법 간의 대왕추출물에 대한 반응은 MTT 정량법이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농약의 협력작용으로 인한 잉어의 해독효소 활성의 변화 (Synergistic effects of pesticides on detoxifying enzyme activity of carp(Cyprinus carpio L.))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64-69
    • /
    • 1993
  • 참잉어에 대한 해독효소 활성을 협력작용을 갖는 농약을 공시하여 조사하였고 잉어의 각 조직별 효소활성도 조사하였다. 협력작용을 갖는 약제의 독성증가에 따른 효소활성은 carboxylesterase와 GST 모두 준치사 농도에서는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나 독성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였다. Carboxylesterase의 활성은 IBP와 isoprothiolane과의 협력작용으로 인해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GST 활성 또한 isoprothiolane의 IBP, cartap과의 협력작용으로 인해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각 조직별 효소활성의 경우, carboxylesterase는 단일약제 처리시 공시어의 간(肝)에서, 혼합약제 처리시 장(腸)에서 그 활성이 높았으며 GST의 조직별 활성은 약제의 처리양상과는 관계없이 다양한 효과를 보였다. HPLC 방법에 의한 LDH의 활성은 isoprothiolane 단일처리구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고 isoprothiolane+cartap 혼합처리구와 cartap 단일처리구에서는 가장 낮았다.

  • PDF

토마토 공정묘의 상업적 생산을 위한 배지구성물질로서 발포유리와 탄화 밤나무 칩의 이용 (Use of CGF and CCW as Medium Component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of Seogun Tomato)

  • 황승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89
    • /
    • 2004
  • 본 연구는 배지 구성물질로서 발포 유리질 소재(CGF)와 탄화 밤나무 목재입자(CCW)를 이용하여 배지를 재발하고 원예재배용 배지의 국산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토마토 종자는 발포 유리질 소재, 탄화 목재입자, 입상암면(GR), 그리고 피트모스를 혼합한 4종의 배지를 만들어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하여 종자를 200구 플러그 트레이에 4반복으로 파종한 후 fog 번식상에서 3일간 발아시켰다. 발아 후 양지붕형 유리온실에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저면관수로 양액을 공급하여 육묘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공정육묘 배지(토실이)를 대조구로 이용하였다. 플러그묘의 생육은 파종 후 31일째 측정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생육결과를 나타냈지만 특히 CCW(67%)+peatmoss(33%) 혼합배지에서 초장, 뿌리등급, 생체중, 그리고 배지의 기상과 가비중이 다른 처리에서보다 유의성 있게 좋았다. 모든 배지의 pH는 6.3∼7.4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CGF와 입상암면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배지의 pH는 증가하였다. 재배 후 배지의 EC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독성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엽수와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Luciferase 리포터 유전자 도입 사람 간 종양세포(HepG2 Cell)에서 Toxaphene과 Chlordane의 내분비 독성 (Endocrinic Effects of Toxaphene and Chlordane in Human Hepatoma Cell (HepG2 Cell) Transfected with Estrogen Receptor and Luciferase Reporter Gene)

  • 김경배;정지원;양세란;강경선;이영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05-211
    • /
    • 2004
  • Concern that some chemicals in our environment may affect human health by disrupt-ing normal endocrine function has prompted a research on interactions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with steroid hormone receptor. Toxaphene and chlordane are among the 12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dentified by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as requiring urgent attention. We compar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two organochlorine pesticides, toxaphene and chlordane, at estrogen receptor a (ER$\alpha$) and estrogen receptor $\beta$ (ER$\beta$). Human hepatoma cells (HepG2)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rat ER$\alpha$ or ER$\beta$ plus an estrogen-responsive complement C3-luciferase (C3-Luc) reporter gene. After transfection,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oxaphene and chlordane to investigate agonism or antagonism of these chemicals. Both toxaphene and chlordane were potent agonists in HepG2 cells for ER$\alpha$. In contrast, these chemicals had a minimal agonist activity with ER$\beta$ and almost abolished 17$\beta$-estradiol-induced ER$\beta$-mediated activity. Therefore, toxaphene and chlordane behaved as an ER$\alpha$ agonist and an ER$\beta$ antagonist with estrogen-responsive reporter plasmid C3-Luc, and exposure to these organochlorine pesticides could have a crictical effect on normal endocrine function.

유전자 조작된 Pseudorabies 바이러스에 의한 흰쥐 중추신경계의 이중감염 (Co-Infection of the Rat Central Nervous System with Genetically Engineered Strains of Pseudorabies Virus)

  • 김진상;권영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2호
    • /
    • pp.81-92
    • /
    • 1999
  • 중추신경계의 미주신경동쪽핵(DMV)내 유사핵분열후 신경세포로 외래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pseudorabies 바이러스(PRV)의 유전자 조작기술은 흰쥐의 결장내로 PRV를 주입시킨 후 복잡한 신경로 추적에 관한 연구에서 하나의 바이러스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더욱 유용한 결과산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생체내 실험모델로 하나의 바이러스 또는 이중 바이러스 주입에 PRV의 유전자 조작된 2종 바이러스를 사용하였다. 이 2종의 바이러스는 PRV의 Bartha 종에서 유래되었지만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동일한 유전산물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PRV-BaBlu는 PRV 게놈의 Us 구역 중 gC 자리에 lacZ 유전자를 삽입하여 산출되었는데 $\beta-galactosidase$ 발현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신경원의 독특한 표시자로 나타났다. PRV-D는 2가지 단계에 의해 조성되었는데 첫째, PRV-Bartha의 Us 구역의 일부 유전자를 제거하고, 야생형인 PRV-Be DNA로 복구시켰는데 이로써 PRV-D는 PRV-Bartha 또는 PRV-Bablu에 존재하고 있지 않는 외피 당단백질인 gE와 gI를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PRV-D의 개별적 접종에 의해 얻어진 감염은 PRV-BaBlu에 의한 동일 신경회로의 감염보다 유의하게 빨랐다. 둘째, 유전자 조작된 PRV의 변이종은 변이종 상호간 및 부모 바이러스와 상이하였다. PRV-D는 PRV-Bartha 또는 PRV-BaBlu보다 감염독성이 더 강했고, PRV-BaBlu는 PRV-Bartha보다 감염독성이 약했다. 셋째, 결장을 지배하는 미주신경동쪽핵내 신경원은 변이종 바이러스들을 동시에 접종하였을 경우 이중감염을 나타내었다.

  • PDF

Hepa1c1c7 세포에서 카드뮴에 의한 세포사멸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Apoptotic Signaling Pathway by Cadmium in Hepalclc7 cells)

  • 오경재;염정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15-223
    • /
    • 2001
  • 카드뮴의 주요한 표적장기이며 카드뮴이 만성 및 급성 폭로시 축적되는 가장 중요한 장기인 간의 세포독성을 Hepalclc7세포에서 caspases및 Bax단백질의 활성과 발현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 변화(MPT)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카드뮴은 농도의존적으로 간세포인 Hepalclc7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2. 카드뮴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00 M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사멸의 특징중의 하나인 DNA분절현상을 확인하였다. 3. 카드뮴 처리 후 caspase-3, caspase-8, caspase-9 의 활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caspase-3,-9 pretease 활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카드뮴 처리 후 cytochrome c가 세포질내로 방출되었고 이는 caspase-9 proteas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5. 카드뮴 처리 후 Bax가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cytochrome c의 세포질내로의 방출에 관여하였다. 6. 카드뮴 처리시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차의 감소를 JC-1 형광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카드뮴에 의한 Hepalclc7 세포사멸의 신호전달기전은 세포질내에 있는 Bax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 cytochrome c의 세포질내로의 방출, 그리고 caspase-3, 9 pretease 활성화를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ax 단백질의 발현변화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변화에 기여하였으리라 사료된다.

  • PDF

음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활성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 김세현;박영기;장용석;한진규;정헌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26-134
    • /
    • 2007
  • 음나무의 새로운 용도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항산화 측정법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음나무 수피 및 근피의 온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 내 활성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DPPH법 및 NBT법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화학적인 측면에서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NR assay와 MTT assay에 의해 측정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음나무 근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강했으며, 5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NR50과 MTT50은 각각 0.0018%와 0.0029%였다.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는 근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15분 처리에서 57.9%로 가장 우수하였다. DPPH법과 NBT법을 이용한 음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각각 수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96% (0.1% 농도)이고, 수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95% (0.5% 농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