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 행위 특성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Meta-Analysis of Korean Literatures about Sick Role Behavior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pplied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Kim, Chun-Bae;Jo, Heui-Sug;Rhee, Jung-Ae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8 no.1
    • /
    • pp.1-13
    • /
    • 200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results from 11 domestic studies about sick role behavior applied health belief model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mponents on behavior change by using meta-analysis. Methods: We collected the existing literatures by using major web search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as key words and by reviewing content of journals.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SAS program. Results: Among 66 articles, 11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knowledge level about pulmonary tuberculosis had more effect for only sick role behavior as general characterisitcs(d=0.7870). All the components of health belief model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sick role behavior with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from 0.31 to 0.73. The largest effects were benefits on actions of sick role behavior. Conclusions: Overall, these investigation provide very substantial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sick role behavior among the type of health related behavior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Strategic intervention including health education, etc.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showed clear advantage in improvement of behavioral change.

  • PDF

Development of GZF Assessment System on Rating Curve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GZF 평가 시스템 개발)

  • Lee, Yeon-Kil;Shim, Eun-Jeung;Kim, Hyoung-Seop;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54-1858
    • /
    • 2007
  • 수자원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는 고품질의 유량측정 자료를 확보하여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수공구조물 설계, 친수 하천공간 조성, 친환경적인 하천의 설계, 하천 관리수량 산정, 홍수 예 경보 운영 등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신뢰성 있는 곡선식은 계측장비의 개량과 유량관측 기준의 강화 등을 통하여 축적된 양질의 유량측정 자료로부터 개발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특성과 통제구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도 곡선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제단면의 가장 낮은 부분의 수위로 정의되는 흐름이 0인 수위인 GZF(Gauge Height of Zero Flow)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GZF의 변화에 따라 곡선식의 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엑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GZF 평가 시스템은 입력자료 구축 모듈,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 단면 입력 모듈, GZF 설정 모듈, GZF 평가 모듈의 4개 모듈로 구성되었다. 입력자료 구축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는 모듈이며, 하도 단면 입력 모듈은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상의 변화 유무와 구간분리, 기간분리 등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GZF 설정 모듈은 GZF의 변화가 곡선식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GZF 평가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와 금회 개발될 곡선식의 GZF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할 때 GZF 산정의 오류를 감소시켜 앞으로 개발될 곡선식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일상용기 생산으로 전락하여 소규모화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

  • PDF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fter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Young-old and Old-old Elderly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과 성별 차이)

  • Chung, Younghae;Cho, Yoo Hyan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9 no.3
    • /
    • pp.176-186
    • /
    • 2014
  • Objectives: As a sequel to the former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young-old and old-old in Korea, this research was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nd the gender difference after controlling for the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elderly. Methods: Selected elderly data of 1,339 subjects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0 was analyzed. In this survey, QoL was measured using Euro Quality of Life (EQ-5D)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urvey data analysis on IBM-SPSS 20.0. The 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general linear models with backward elimination. The gender difference was tested also using general linear models. Results: The distributions of educational level, family income level, and presence of cohabitant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in both young-old and old-old age group. So were the health behaviors and perceived health, and experience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QoL and its subscales- mobility, self care, daily living, pain and discomfort, and anxiety and depression- were consistently better among male elderly regardless of age group. Among the variables considered, education, family income level, presence of cohabitant, perceived health, age group and BMI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QoL at p=.05, and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at p=.10. The difference in QoL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after controlling for the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mproving QoL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elderly. In order to improve QoL of the elderly, age- and gender- difference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ervices and programs for the elderly.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in Adults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 Park, Sun-Nam;Lim, Hee-S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347-35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for dementia in adult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ementia in adults. It collected data from 127 adults living in Seoul who agreed to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The level of dementia knowledge was high at 8.17, while the level of dementia attitude was high at 7.14, the need for dementia education was 4.56. The nee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occupation. The correlation of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about dementia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In this study, adults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dementia and high attitude scores on dement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dementia, education programs that increase knowledge need to be provided continuously as they are related to the increase in knowledge about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