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인력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8초

팀 기반 학습을 수강한 간호대학생의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Team-Based Learning)

  • 김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0-41
    • /
    • 2018
  • 본 연구는 TBL(Team-Based Learning) 수업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체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BL 수업을 적용하여 학습성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간호 인력 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성인간호학 TBL 수업을 수강한 간호학과 7명의 학생들이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유의한 연구 결과로 9개의 개념기술과 5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이 경험한 주요 주제군은 '최상의 결과를 위해 매진함',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가 형성됨', '공동의 지식창조자가 됨', '활동적인 수업시간', '무의미한 동료평가'였다. 주요 개념기술은 '자신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함', '사전학습으로 수업을 준비함', '사전학습을 통해 자신감이 형성됨',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 '서로의 멘토가 되어줌', '함께 협력하여 문제해결을 함', '친밀감이 형성됨', '활기찬 수업시간', '친분에 얽매인 동료평가'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간호학생들의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간호인력 양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ICT 시대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Long-term Care Facility Among the ICT Age)

  • 송설경;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1-217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소재의 요양시설 간호제공자들의 구강건강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92명의 간호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근무경력과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경험 유무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을 간호하는 간호사나 사회복지사와 같은 간호인력들에게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홍보 및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동의 운영현황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 이경아;이선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6-20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operational statu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with general ward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hospitals operat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We collected data on patient characteristics, workforc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 support facilities of 40 hospital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a general ward. Results: Compared with the general ward,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had fewer hospitalized patients, but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and the need for nursing were high. The number of nurses, assistant nurses, and ward support workers per patient was higher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than in the general ward, and the implementation rate of night shift fixed system, the fixed shift system, and the preceptor system were higher. In terms of structural environment,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had more room for interviews.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had more nursing staff and provided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than the general ward, but required additional support for the structural environment.

노인요양 시설 간호 인력의 의료적 처치 및 관리 경험 (Nursing staffs' Experience in Treatment and Managing Medical Problem in Long Term Care Settings)

  • 서성옥;김춘미;한정희;박명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30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of nursing staffs in long term care settings. Methods: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seven nursing staff (five nurses and two nursing assistants) who had experience over six month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research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Four main themes were emerged as 'various medical treatments', 'difficulties about managing medical problems', 'lack of regulatory support' and 'strategies for solving medical problem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nursing staffs' difficulties and opinion about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in long term care settings. To provide more effective health service for the aged, the regulatory complement about medical treatment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역량과 감성지능 매개효과 중심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of Wee Counseling Specialis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임정혜;김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67-676
    • /
    • 2023
  • 본 연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역량, 감성지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역량,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도 지역의 Wee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전문인력 104명으로, 2023년 2월부터 4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역량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역량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설명력은 45.6%이었다(Z=2.96, p=.003).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44.8%이었으며,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역량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소진감소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직무스트레스 감소 중재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가 반드시 포함되는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한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업성, 사회적 지지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Emotional Labor, Professionalism,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Clinical Field)

  • 고명숙;이현숙;김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43-3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현 부서에서의 근무경력, 전문직업성, 감정노동 빈도. 표면행위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의 진심행위와 간호업무성과 간에 긍정적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관리자는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간호인력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감정노동의 진심행위를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간호조직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대근무를 하는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 수행주체와 직무만족에 대한 융복합적 조사연구 (A Convergence Investigation on Nursing Task Performance, Appropriate Performer,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ith Shift Work in General Ward)

  • 박경옥;이여진;안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5-3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와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체 간호 업무 중 대상자가 수행한 직접간호는 45%, 간접간호는 55%를 차지하였다. 교대 근무별로 주간에 수행한 업무량은 전체 업무량의 37.2%였고 인계 후 수행한 업무는 '직접간호(34.5%)'와 '기록과 보고(25.8%)'였다. 대상자들은 본인이 수행한 업무 중 일부분에 대해 간호보조 인력에게 위임 가능하거나, 타 의료인과 경계가 모호한 업무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야간근무의 직무이행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rs=.43, p=.01)가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별 직무분석에 근거한 업무효율성 제고 및 EMR적용, 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한 인계시간 감소 전략, 업무 수행주체를 명확히 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건계열 경험자의 간호학과 편입경험 (Experience of transferring students experience in health care to nursing department)

  • 홍주영;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73-277
    • /
    • 2018
  • 본 연구는 보건계열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간호학과 편입에 따른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편입 전 보건계열 전공 혹은 의료기관의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편입 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로서, 개인 경험에 따른 간호학과 편입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그 경험을 분석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보건계열 전공자 4명과 의료기관 경험자 5명으로 총 9명으로 진행하여 3가지 테마와 9개의 중심의미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보건계열의 경험을 가진 학생들의 간호학과 경험을 이해하여 다양한 교육전략과 방향을 모색하여 다양한 간호현장에서의 전문 간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호혜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 Work Environment and Reciprocity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박경임;김은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63-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호혜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G시에 소재한 4개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206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9년 3월 4일부터 22일까지 수행하였다. 간호사들이 지각한 직무배태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06점으로 중간 이상이었으며, 간호근무환경의 하위변인 중 간호사 지원체계와 안전관리체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호혜성 하위변인 중 협력자간 상호균형과 환자나 보호자에 대한 애정과 호의가 높을수록 직무배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연구모델은 직무배태성의 66.0%를 설명하였고, 이 중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간호사 지원체계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소병원의 간호관리자들은 간호사 인력관리를 위한 직무배태성 향상방안으로 급여향상, 전문성 계발 및 승진기회 제공 등 간호사를 지원하는 간호근무환경 조성과 함께, 간호 팀 내 또는 타 보건의료 전문인과의 협력관계 유지를 위해 병원과 간호조직 차원의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건소 COVID-19 전담대응인력의 역할스트레스 및 COVID-19 대응업무로 인한 외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Role Stress,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COVID-19 Response Task Force in Public Health Centers)

  • 최정주;채영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67-7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tress mediation strategies for pandemic task force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role stress experienced by local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s working as COVID-19 response task force. Whether they suffered from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ue to COVID-19 was also determined. Method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185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in 7 northern Gyeonggi cities with at least three months of COVID-19 response task force experience. The investigation lasted for two months, from February to March of 2021.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average role stress of research subjects was 2.79±0.60. There were 64 subjects (34.6%) who answered 'yes' for trauma experience due to COVID-19. Subjects' role stress by sociodemographic and role characteristic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 = -2.74, p= .007), age (F = 6.41, p= .002), profession (F = 0.01, p= .014), and COVID-19 response task (F= 3.01, p= .019). Specifically, role stress was higher for females than for males, those who were in their 20's (than 40's), a nursing profession (rather than others). Role stress was also higher in COVID-19 confirmed response work or in a self-quarantine wor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uma according to COVID-19 response roles (χ2 = 26.59, p= < .001) and other tasks given or not (χ2= 9.48, p= .002).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reduce COVID-19 response task force's role stress and trau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