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분류체계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9초

간호이론의 발전과 간호 분류체계 (Knowledg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s in Nursing)

  • 이은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32-346
    • /
    • 1999
  • 간호학에서 간호업무를 이끌어갈 간호이론이(지식체) 필요하다는 생각은 20세기가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간호학은 간호학 특유의 지식체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주된 이유는 간호 업무가 재대로 확인되지 않았고 간호업무를 이끌어갈 간호학 특유의 간호이론이 확실히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호가 독자적 학문으로서 인정받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간호업무에 적용이 쉽고, 간호 업무에 바탕을 둔 간호이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간호 이론이 간호업무에 쉽게 적용됨으로서 간호학의 지식체가 발전할 뿐 아니라 환자 간호도 더욱 증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간호지식의 발전 단계를 시대적 순서와 배경을 덧붙여 고찰하였고 간호학에서 간호 분류체계가 발전하게 된 동기, 그리고 간호 분류체계가 환자 간호와 간호학의 이론개발과 발전에 어떻게 활용되는 가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간호분류체계가 가지는 특성으로는 먼저 간호실무를 체계적으로 명명하고 분류함으로서 간호학에서 필요한 연구영역을 확인하게 하게 하고 간호학 고유의 지식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것 뿐 아니라 간호정보화 시스템의 개발, 다른 의료전문가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간호의 지속성을 유지, 그리고 간호의 효과성 연구에의 활용 등이 있다.

  • PDF

모바일 응용 기반 간호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Process based on Mobile Application)

  • 조훈;홍해숙;김화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190-1201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위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체계의 간호과정 프로그램을 모바일 응용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연구재료는 표준화된 분류체계인 북미간호진단협의회의 간호진단 분류체계와 아이오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간호중재 분류체계, 간호결과 분류체계를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 방법은 간호과정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개발하므로 환경에 제한적인 프로그램으로 임상에 일반화시켜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진단-결과-중재의 전체를 연계시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므로 어떠한 임상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가이드라인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한글판으로 3월부터 앱 스토어에 등록되었으며 간호교육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Minimum Data Sets and Standardized Nursing Classifications)

  • 염영희;이지순;김희경;장혜경;오원옥;차보경;박창승;천숙희;이정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2-85
    • /
    • 1999
  • The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ree data sets(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Nursing Minimum Data Set, and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and six major nursing classifications(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es Association Taxonomy I, Omaha Syste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ursing Intervention Lexicon and Taxonomy,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tient Outcome). The reviewed data sets and nursing classific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structure, and user.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were linked to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but others not. The data set and nursing classifications need to be linked to other data sets and classifications.

  • PDF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과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NMMDS) 과의 관계 (The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NMMDS): significance, development, and future of nursing profession)

  • Lee, Eunjo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1-416
    • /
    • 2001
  • 현재의 보건의료체계에서는 모든 것이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또 구체적인 자료를 요구한다.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간호학에서도 표준화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Nursing Minimum Data Set (NMDS)은 간호학분야에서 개발된 최초의 표준화된 대규모 데이터 베이스로서, 간호가 일어나는 모든 상황에서 반드시 수집되어야 할 핵심적인 간호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MDS 개발의 역사적인 배경, 목적, 요소, 그리고 간호계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NMDS가 이루어야 할 방향, 그리고 NMDS를 완성하기 위해 선행되어 할 문제로 표준화된 분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국이외에도 몇몇나라에서 NNDS나 혹은 유사한 데이터베이스가 개발 중이거나 이미 수집되고 있는 나라들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비교와 분석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최근에 개발된 데이터 베이스로 주로 행정적인 목적을 위해 개발된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NMMDS)을 소개하였다. 즉 NMDS가 임상적인 자료의 수집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NMMD는 효과적인 간호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그래서 간호행정가들이 의사결정에 필요한 재정적자원, 환경적자원, 간호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다른 학문분야와도 연계되어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만약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들이 한국에서도 개발되고 사용되어 진다면 환자간호에 더욱 비용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NMDS나 NMMDS 같은 대규모데이터 베이스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됨을 강조하였다.

  • PDF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ICNP)를 이용한 간호기록 분석 - 심장내과 간호기록을 중심으로 - (Crossmapping of Nursing Problem and Action Statements in Nursing Records wit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 류동희;박현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5-173
    • /
    • 2002
  •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useful ICNP nursing phenomena and actions classification is to describe the nursing problem and nursing action statements of nursing records. Method: The number of nursing phenomena statements found in this research were 323. Out of these 323, 222 statements can be fully classified, 62 statements can be partially classified, and 39 statements can not be classified at all by terms from the ICNP phenomena classification axis. Result: The number of nursing practice statements were 318, 252 of which can be fully classified, 63 statements can be partially classified, 3 statements cannot be classified at all by terms from the ICNP nursing action classification axis. Conclusions: In order to describe all the statements found in nursing records, not only new terms but also new axis need to be added to the ICNP.

  • PDF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간호결과 분류체계)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Standardization and Validity study of Korean Nomenclature of NOC)

  • 박현애;조인숙;황지인;근효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6-2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standardized Korean nomenclature of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developed by Johnson & Maas at the University of Iowa. The four phases of the study were: (1) translation of the NOC into Korean by the research team, (2) four nursing professors and eight nurses with various clinical backgrounds reviewed each nomencla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definitions and nursing activities. The modified Delphi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nomenclature for each term; (3) Twenty four academic and clinical experts in nursing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rate each Korean nomenclature using a 5 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very inappropriate to very appropriate; (4) the team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Korean nomenclature for each class of the NOC. The mean validity score of 190 items was 4.54, but several nursing outcome had a score lower than 4.0. They included 'adherence behavior(3.3)', 'ambulation : walking(3.57)', 'transfer performance (3.57)', 'caregiving endurance potential(3.57)'.

  • PDF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 홍해숙;이인근;조훈;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1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진단 분류체계에 근거한 간호개념틀 개발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of Nursing from Selected Concepts of Nursing Diagnoses)

  • 김조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7-193
    • /
    • 1996
  •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nursing diagnosis into the nursing curriculum,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was done using the inductive method with questionnaires and a literature review. Research subjects included nurse educators, textbooks of adult nursing published in Korea, and the course outline for adult nursing used in one college of nursing.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common agreement on 39 nursing diagnosis which should be in cluded in the adult nursing curriculum, textbooks of adult nursing, and patient care on the medical-surgical units. The two existing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s(NANDA and Gordon's Human Response Patterns) show different basic frameworks and difficulties were discovered in integration of nursing diagnosis into the curriculum.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 diagnosi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health promotion, high risk problem, and actual problem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used in adult nursing textbooks and Gordon's 11 Functional Health Patterns. Subconcepts for actual problems were classified as ; activity and rest, nutrition and elimination, perception and coordination, stress and coping. Progress in this study supports further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of nursing based on a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 from which improvement in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can be expected.

  • PDF

NIC 간호중재 분류체계를 이용한 간호중재분석;정형외과 간호단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using NIC)

  • 권미숙;박경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55-667
    • /
    • 2002
  • Purpose : This study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and cor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 nurses of 4 general hospital from July. 10, 2002 to Aug. 30, 2002.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the Korean translation of 486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s developed by McColskey & Bulechek in 2000. In the 486 nursing interventions 350 nursing interventions were selected 8 among the 10 more than 5 years working group in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Self frequency checking performed by 350 nursing interventions were used secondary questionnaire In the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nurses. Results : 1. The most frequently used nursing interventions domains were "Physiological : basic" and then "Physiological: complex", "Health system" "Behavior", "Family", "Safety". 2.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core nursing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several times a day by 50% or more of orthopedic surgery care unit and this result were 4 of domain, 11 of class, 26 core nursing interventions. This core nursing interventions were 5 of "Physiological : basic", 17 of "Physiological: complex", 1 of "Safety", 3 of "Health system" and have no "Behavior", "Family".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nursing intervention of orthopedics and reestablished nursing intervention concept and I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nurse to be a professional by applying this to actual clinic, for development in qualified nursing and for establishment nursing informa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