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사 보수교육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간호사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Depending on Nurses Clinical Ladder)

  • 장금성;김희영;김남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03-5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보수교육을 위한 간호역량을 도출하고 간호역량의 정의와 지식기반을 규명하며, 경력단계를 구분하여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외 문헌 10개를 분석하여 간호역량을 도출 정의하였고, Carper와 Chinn & Kramer의 연구를 근거로 각 간호역량의 지식기반을 규명하였다. 간호사 경력단계별 간호역량 행동지표를 개발한 후, 국내 전문가 7인을 선정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보수교육 이수를 위한 간호역량은 근거기반환자간호, 교육과 지도상담, 간호관리와 리더십, 법과 윤리, 직업가치와 전문성 개발, 연구와 정책개발이었다. 또한 보수교육 이수를 위한 임상경력 4단계 구분과 24개 간호역량 행동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임상경력단계별 간호사 보수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이 국내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서울지역 간호사 보수교육 실시 분석 -오프라인교육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Raw Data of Completion of Off-Line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in Seoul, 2008-2012)

  • 고정희;한미라;허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27-53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에서 2012년에 대한간호협회 서울특별시간호사회에서 실시된 간호사 보수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2012년 4월부터 전면시행 중인 의료인 면허신고제와 간호사 보수교육 운영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4,086건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165,759명의 자료를 SPSS 12.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보수교육 프로그램, 면허취득경과기간을 기술통계, 면허취득경과기관에 따른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차이를 t-Test, ANOVA,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08년에 비해 2012년의 보수교육 이수자는 27.6% 증가하였고, 개발된 보수교육 프로그램수는 61.0% 증가하였다. 보수교육 이수자의 78.6%는 40세 미만이며, 89.5%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실시된 보수교육 내용 중 임상간호 내용이 65.6%로 가장 많았고, 보수교육 유형 중 82.6%가 기관개발교육이었다. 이수자의 면허취득경과연수에 따라 보수교육 프로그램, 보수교육 유형, 보수교육 내용의 참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면허취득경과연수가 길수록 근무지가 병원이 아닌 기타기관에 종사하는 대상자가 많았고 이수한 교육내용을 보면 지역보건, 직무역량이 증가하여 경력단계별 교육내용 요구도 파악 및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지역사회 간호사를 위한 건강검진 온라인 교육안 개발: Rapid prototyping method를 활용 (Development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o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for Community Health Nurses: Using the Rapid Prototyping Method)

  • 김은하;김계하;배경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50-26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간호사를 위한 국가 건강검진에 관한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 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시행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래피드프로토타입 방법을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개발하였다. : 1) 관련 문헌 검토와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의 포커스그룹 면담(FGI)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2) 방문 간호사의 건강 검진에 관한 상담 전략을 포함하는 교육내용의 개요를 작성하였다. 3) 온라인 교육자료 개발자와 연구자가 회의를 거쳐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자에게 모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4) 확정된 교육내용을 8개의 모듈로 구분하여 온라인 교육 자료 초안을 개발하여 파일롯 과정을 실행하였다. 5) 학습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확정하여 지역사회 간호사를 위한 건강검진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 및 운영하였다. 개발 된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은 방문 간호사가 건강검진에 관한 상담을 수행하도록 돕는 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실무역량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교육적 접근이라 할 수 있겠다.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활용의도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 김명수;김성민;정현경;김명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0
    • /
    • 2016
  • Purpose: There is increasing attention to smart-learning as a new education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CNE) and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NE. Methods: Participants were 486 nurses from 14 organizations, including 12 hospitals, a nurses association, and an office of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 to 18,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NE was 6.34 out of 10.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NE wer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current unit career, and smartphone addic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10% of variance in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N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to enhance th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of nurses could increase usage rate of smart-based CNE. The CNE policy makers will find this study very useful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rovide insight into the best way to develop smart-based CNE.

간호사의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중요도 인식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 조미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Methods: Subjects were 465 nurses enrolled in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at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 2011 to October 13, 2011.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author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from a panel of six exper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domain by the subjects. Interestingly, 'program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were ranked below the mean (M=$3.64{\pm}0.75$). These two domains were influenced by the district of work and the type of institution. The position of the participants at their institutions mad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of 'program purpo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aid u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for what nurse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is information might be able to be used for improving program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s to evaluate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웹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

  • 김정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61-375
    • /
    • 2001
  • This research aims to produce and implement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s in response to nurses' educational needs, and to verify them, thus preparing for the times that the program will be offered via web. This research designed, produced and implemented 'emergency nursing' and 'medical fee schedule management' subjects based on Jung, In-seong's(1997) web-based instructional system design, and then compare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web-based learning group of 38 people with those of face-to-face learning group of 39 people. The questionnaire have been developed by these researchers to measure pre-learning knowledge on 'emergency nursing' and 'medical fee schedule management.' Data collected for this research have been give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As a result of giving Mann-Whitney test, with respect to pre-learning prior knowledge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eb-based learning group and the face-to-face learning group(Z=-.092, p=.926), while after completing lear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s between the web-based learning group and the face-to-face learning group(Z=-2.406, p=.008). That is, this research revealed this: the web-based learning group and the face-to face learning group with both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learning level, after receiving the continuing education each with different methods(face-to-face education and web-based education), showed that the web-based learning groups attain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than the face-to-face learning groups. This result proves the effect of the web-based education to be no worse or even better than that of the face-to-face education, provided that choices of appropriate themes and quality courses composition, as well as systematic design development effective implementation are guaranteed.

  • PDF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조동란;고봉련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26-39
    • /
    • 1992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들의 보건관리업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산업간호업무향상 및 효율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38개 보건관리대행기관중 24개 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18명중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92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8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대행기관의 간호사는 산업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비교해볼 때 기존 산업간호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법정휴가를 받는다는 간호사가 59.1%로 더 낮았다. 둘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담당사업장수는 법적으로 30개 사업장, 2,000명의 근로자를 담당하도록 되어있는데 조사결과 법적기준인 보건관리사업장의 수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57.1%를 차지하였고, 담당 근로자 수로 볼때는 2,000명이하가 29.8%를 차지하여 많은 산업간호사가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산업보건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관리대행의 방문방법으로 교통편은 대행 기관차량을 이용하며, 간호사 혼자 산업장을 방문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방문횟수는 100인미만이 월1회, 100인이상이 월2회로 규정된 것과 비교해보면 규정을 따르는 곳이 100인 미만의 경우 97.4%, 100인이상의 경우 86.4%였다. 또한 의사나 위생사는 방문을 안하거나 년1-5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관리대행의 주제공자는 간호사인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사업장 방문시 업무수행장소는 휴게실이나 사무실이 87.5%, 현장이나 수위실에서 하는 곳이 70.5%나 되어 뚜렷이 업무를 수행할 장소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을 나타냈다. 네째, 보건관리대행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의 애로사항은 사업장내에서는 조직과 체계상의 문제,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 권한과 자율성 부족 등을 들었고, 사업장 방문시에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인식부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산업간호사는 보건관리 대행업무에서 사업장의 참여유도, 사업장 순회점검 및 개선지도, 보건교육, 건강상담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는 건강검진이나 직업병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업무를 비교적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적 위치나 상호작용, 업무요구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와 산업보건관계자와의 관계등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총화점수는 사업장근무자가 240점중 143.8인데 비해 보건관리대행기관 근무자는 230점중 129.61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수행정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인군이, 법정휴가가 있는 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군이 20-24군과 30세이상인군 (p<0.05),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급여수준별로 50만원미만군과 이상인 군(p<0.05), 법정휴가가 있는 군과 없는군(p<0.05), 자질향상 교육을 받은군과 받지못한 군(p<0.01),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과 31인이상인 군(p<0.05)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법정휴가와 교육을 받고,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이 보건관리대행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군이, 법정휴가가있는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근무시간별로 8시간군과 9시간 이상인 군(p<0.01), 급여수준별 50만원 미만군과 이상군(p<0.05),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과 받지 않은군(p<0.0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기혼이고 근무시간은 8시간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자질향상교육을 받은 군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가 높을수록 산업간호업무를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관관계 r>0.6, P>0.001), 전체적으로 총직무만족도와 업무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는 6346, P<0.001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보면,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업무도 사업장 근무자와 다르게 규정되어야 하며, 담당업무의 명확한 한계를 정해 중소규모사업장의 산업보건관리업무를 책임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는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경력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근로조건을 잘 개선하면 직무수행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좋은 근로조건의 형성과 직무만족도 등을 높여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관한 규정이 강화 보완되어야 하겠으며, 민간단체와 의료기관 뿐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

서울시내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 지식과의 관계

  • 조원정;강해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호
    • /
    • pp.30-51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가 수행하는 산업간호업무 수행실태를 파악하고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직무만족도와 지식의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1년 4월 26일 부터 5일 3일까지의 총 8일간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사업체의 산업간호사 7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조사자 1명이 직접방문을 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분석방법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업 간호업무 수행 정도는 근로자건강관리업무 중의 통상질환관리 업무를 대상자의 97.6%가 실시하여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수행정도가 낮은 업무는 근로자복리중 진업무로 대상자의 40.2%만이 실시하고 있었다. 산업환경위생관리업무(실시율 45.5%), 직업병 관리업무(실시율 43.1%), 산업보건교육업무(실시율41.5%)로 역시 낮은 실시율을 보였다. 2. 산업간호사 직무만족도는 최대가능점수 240점에 대하여 점수 143.8점이며 최대평점 5점에 평점 3.0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전문적위치, 자율성면에서 3.4점으로 높았으며 보수에 관한 만족도는 평점 2.3으로 가장 낮아 산업간호사들이 보수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간호사의 산업간호업무 관계지식정도는 최대가능점수 21점에 대하여 점수 17.9점을 나타내었다. 영역별로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지식은 건강관리실운영업무 관계지식으로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람이 63명으로 전체의 81.4%이었고, 가장 낮게 알고 있는 지식은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 관계지식으로 정답자는 42명(54.2%)이었다. 4. 산업간호업무 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본 결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r=.3010, P<.01), 업무수행정도와 지식정도 역시 순상관관계 (r=.2591, P<.05)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서 나타난 산업 간호사의 업무수행은 통상질환관리 위주의 업무로서 직업병 예방, 산업보건교육,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등에는 수행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는 순상관관계가 있어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Perioperative Nurs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윤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93-7203
    • /
    • 2014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병원 수술간호사회 보수교육에 참석한 수술실 간호사 315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PC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단계적 다중선형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04{\pm}.42$, 평균 경력몰입은 $2.89{\pm}.67$. 전문직관은 $3.04{\pm}.29$로 나왔으며,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의 정도가 높을수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7.3%로 나타났으며 경력몰입(${\beta}$=0.395)이 전문직 관(${\beta}$=0.298)보다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술실 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통한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