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문제

검색결과 923건 처리시간 0.026초

여대생의 음주문제 관련 요인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Problem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문영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2-56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problem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and prevent drinking problem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7 to 21, 2007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25 female college students in G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drinking problems was refusal self efficacy. The combination of the influence of friends, perceived stress, personality of novelty seeking, and alcohol expectancy accounted for 23.7% of the variance in drinking problems.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 recommend that refusal self efficacy, influence of friends, perceived stress, personality of novelty seeking, and alcohol expectancy should be contained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rinking problem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PDF

대학생의 일주기리듬 유형과 자기효능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ronotype and Self-Efficacy on Problem Drink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정훈;송영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70-76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ronotype and self-efficacy on drinking problem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adopted for the 177 undergraduate students in D, G, and K city in 2017. The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Chronotype (${\beta}=-.31$, p< .001), self-efficacy (${\beta}=27$, p< .001) and religion (${\beta}=-.19$, p= .005)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problem in the subjects. The model explained 19% of variance in drinking problem (F= 11.36, p< .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would consider chronotype and self-efficacy factors to reduce the drinking problem in undergraduate students.

광역시·도민의 우울경험에 대한 Random Forest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andom forest on depression experienc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residents)

  • 이동수;김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21-324
    • /
    • 2023
  • 본 연구는 광역시와 광역도 간의 개인적 요인과 건강수준 정도가 우울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광역시의 데이터는 4,602건을 이용하였고, 광역도는 19,545건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활용된 빅데이터는 R 4.3.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단어 빈도 분석과 machine learning기법인 Random Forest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train 데이터와 test 데이터의 과적합(overfitting)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machine learning 기법의 분류모델은 약 94%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광역시와 광역도 간의 우울경험여부에 미치는 중요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두 지역의 시민에게 미치는 우울경험의 원인을 다르게 접근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정책수립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조동란;고봉련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26-39
    • /
    • 1992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들의 보건관리업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산업간호업무향상 및 효율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38개 보건관리대행기관중 24개 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18명중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92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8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대행기관의 간호사는 산업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비교해볼 때 기존 산업간호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법정휴가를 받는다는 간호사가 59.1%로 더 낮았다. 둘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담당사업장수는 법적으로 30개 사업장, 2,000명의 근로자를 담당하도록 되어있는데 조사결과 법적기준인 보건관리사업장의 수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57.1%를 차지하였고, 담당 근로자 수로 볼때는 2,000명이하가 29.8%를 차지하여 많은 산업간호사가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산업보건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관리대행의 방문방법으로 교통편은 대행 기관차량을 이용하며, 간호사 혼자 산업장을 방문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방문횟수는 100인미만이 월1회, 100인이상이 월2회로 규정된 것과 비교해보면 규정을 따르는 곳이 100인 미만의 경우 97.4%, 100인이상의 경우 86.4%였다. 또한 의사나 위생사는 방문을 안하거나 년1-5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관리대행의 주제공자는 간호사인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사업장 방문시 업무수행장소는 휴게실이나 사무실이 87.5%, 현장이나 수위실에서 하는 곳이 70.5%나 되어 뚜렷이 업무를 수행할 장소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을 나타냈다. 네째, 보건관리대행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의 애로사항은 사업장내에서는 조직과 체계상의 문제,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 권한과 자율성 부족 등을 들었고, 사업장 방문시에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인식부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산업간호사는 보건관리 대행업무에서 사업장의 참여유도, 사업장 순회점검 및 개선지도, 보건교육, 건강상담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는 건강검진이나 직업병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업무를 비교적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적 위치나 상호작용, 업무요구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와 산업보건관계자와의 관계등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총화점수는 사업장근무자가 240점중 143.8인데 비해 보건관리대행기관 근무자는 230점중 129.61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수행정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인군이, 법정휴가가 있는 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군이 20-24군과 30세이상인군 (p<0.05),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급여수준별로 50만원미만군과 이상인 군(p<0.05), 법정휴가가 있는 군과 없는군(p<0.05), 자질향상 교육을 받은군과 받지못한 군(p<0.01),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과 31인이상인 군(p<0.05)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법정휴가와 교육을 받고,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이 보건관리대행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군이, 법정휴가가있는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근무시간별로 8시간군과 9시간 이상인 군(p<0.01), 급여수준별 50만원 미만군과 이상군(p<0.05),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과 받지 않은군(p<0.0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기혼이고 근무시간은 8시간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자질향상교육을 받은 군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가 높을수록 산업간호업무를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관관계 r>0.6, P>0.001), 전체적으로 총직무만족도와 업무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는 6346, P<0.001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보면,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업무도 사업장 근무자와 다르게 규정되어야 하며, 담당업무의 명확한 한계를 정해 중소규모사업장의 산업보건관리업무를 책임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는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경력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근로조건을 잘 개선하면 직무수행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좋은 근로조건의 형성과 직무만족도 등을 높여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관한 규정이 강화 보완되어야 하겠으며, 민간단체와 의료기관 뿐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와 지필시험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utor, Peer, Self-Evaluation and Paper Test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수진;김성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75-2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와 평가주체별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동료,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효과 도구를 가지고 실시하였고 지필시험은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종료된 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료평가, 자기평가, 교수평가 점수 순으로, 학생평가 점수가 교수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에서도 동료평가, 자기평가가 교수평가보다 높고 강하게 나타났다.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계는 교수평가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동료평가나 자기평가 점수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평가는 교육목표와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문제중심학습이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며 문제중심학습 평가와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비합리적 신념, 충동감, 행복감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호주 대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Impulsivity, and Happiness on Problem Gambling: Focused on Korean and Australian College Students)

  • 최정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41-648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인과 호주 대학생의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감, 행복감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설문지를 통해 서울 등 대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호주에서는 호주 케언즈의 S대학생 100명이 참가하였다. 한국인은 복권(32.7%)와 친목게임(30.2%)을 가장 많이 하는 반면, 호주인은 카지노(26.1%)와 복권(28.4%)을 많이 했다. CPGI의 평균은 한국인과 호주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9.828**). CPGI의 하위유형에서 문제도박자는 한국인은 5.3%인데 비해 호주인은 7.0%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한국인의 비합리적 도박신념, 행복감, 도박빈도는 문제도박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R2 = 0.175 F = 23.441, p < .001). 한편 호주인의 불합리한 도박신앙과 도박빈도가 문제도박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R2 = 0.368, F = 10.844, p < .001).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과 호주인의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호주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도박의 폐해를 알리고 문제성 도박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HD Tendency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 김은영;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29-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ADHD 경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로 1개월 소요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ADHD 경향, 우울, 대인관계문제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1부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ADHD 경향, 우울, 대인관계 문제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문제는 완전 매개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ADHD 경향이 대인관계 문제를 매개로 우울이 나타나는 것을 시사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감소시키는 전략이 ADHD 경향을 가진 대학생의 우울의 예방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팀 활동을 촉진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융합 연구 (Effects of a Team Facilitation Program on Team Activiti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양복순;최경윤;심정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99-308
    • /
    • 2019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효과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 적용 후 팀 활동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팀 역동성을 측정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실험군에게는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인간관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실험군이 인간관계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팀 활동을 위한 개인기여 역량(F=5.12, p<0.05), 팀원들의 팀 역동성(F=10.3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팀 역동성 항목 중 팀원 간 신뢰(F=9.86, p<0.01), 의사소통(F=5.69, p<0.05), 팀 학습행동(F=4.57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 PBL 수업에서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이 팀 역동성을 촉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PBL과 같은 소그룹 협동 학습에서 팀 역동 활성화에 필요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사전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기본간호학 학습목표 및 문제집 문항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 김경희;강규숙;김금순;김원옥;변영순;손영희;양선희;조현숙;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2002
  • Purpose: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for Fundamentals in Nursing which were established between 1999 and 2000 and to develop these items toward a nationwide faculty workshop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Korean nurses Results: 1.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1999 mainly consisted of two domains, comprehension (56 1%) and knowledge (27.7%). The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2000, mainly consisted of comprehension (45.2%) and application (25.4%). 2. According to McGuire's taxonomy,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1999 consisted of recall (66.7%). interpretation (28.0%) and problem solving (4.9%).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consisted of recall (65.1%), interpretation (22.0%) and problem solving (12.9%). 3. The propor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knowledge and comprehens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 decreased from 27.7% to 13.5%, and from 56.1% to 45.2% respectively over that of 1999. But the domain of application Increased from 5.3% to 25.4% over that of 1999. 4. With regard to McGuire's taxonomy, the proportion for the recall and interpretat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66 7% to 65.1%, and from 28.0% to 22.0% respectively. But the proportion for the problem solving domain increased from 4.9% to 12.9% over that of 1999. For type of test items, the proportion of A type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47.2% to 37 6%, and K type increased from 52.1% to 60.8% over that of 1999. Conclusi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compared to those established in 1999. For better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essential content and standardization of job analysis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nurses in Korea.

  • PDF

성찰일지에 기초한 간호학생의 문제중심학습 경험 (Percep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 in Reflective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황선영;장금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6
    • /
    • 200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tion in percept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nursing students of a junior college (3-year program). Method: Students (n=39) learned the respiratory and cardiac system with seven PBL packages and group-based learning for a semester in 2002.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hat focused on their learning perception after an experience with each learning package. A total of 208 journal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at PBL making them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fel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rocess, and had a confidence in the use of clinical nursing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y negatively perceived that PBL was a burden because it took more time than traditional learning tasks, and they experienced an anxiety about regular tests and felt conflicts and diffid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negative perceptions were expressed more often from students with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ow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Students perceived the PBL 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cepts i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PBL need to be supplemented by feedback-based lecture and facilitative strategies for academically low-achieved students.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tion in percept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nursing students of a junior college (3-year program). Method: Students (n=39) learned the respiratory and cardiac system with seven PBL packages and group-based learning for a semester in 2002.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hat focused on their learning perception after an experience with each learning package. A total of 208 journal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at PBL making them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fel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rocess, and had a confidence in the use of clinical nursing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y negatively perceived that PBL was a burden because it took more time than traditional learning tasks, and they experienced an anxiety about regular tests and felt conflicts and diffid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negative perceptions were expressed more often from students with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ow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Students perceived the PBL 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cepts i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PBL need to be supplemented by feedback-based lecture and facilitative strategies for academically low-achiev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