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강도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1초

암환자와 그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환자의 통증강도 차이 (Differences in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Ratings of Cancer Pain)

  • 김현숙;유수정;권신영;박연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1호
    • /
    • pp.42-50
    • /
    • 2008
  • 목적: 통증은 암환자가 지각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증상으로 가족간호자와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은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암환자와 가족간호자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이 효과적인 암성통증관리에 문제가 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지각하는 통증강도에 있어서 암환자와 그 가족간호자의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암성통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6개월 동안 서울에 소재한 1개 암 전문 병원에서 입원 또는 외래로 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와 그 환자의 가족간호자 127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간이통증척도(BPI-K)의 통증강도 항목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들이 구성한 환자용 설문지 및 가족용 설문지였으며,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일대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암환자의 임상적 자료는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수집하였다. 결과: 가족간호자들이 지각한 환자들의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심한' 그리고 '바로 지금' 통증강도 평균점수는 암환자들의 통증강도 평균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통증강도 범주별 일치도는 '지난 24시간동안 가장 심한' 통증의 경우, 암환자의 통증강도가 '심한 통증' 범주인 경우 78.7%의 가족간호자가 같은 범주로 지각하고 있었고, '통증없음'의 경우는 40%의 가족간호자가, '경미한 통증'인 경우는 27.5%의 가족간호자가, 그리고 '중등도 통증'인 경우는 22.9%의 가족간호자가 암환자와 같은 범주의 통증정도로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금 바로' 통증의 경우, 암환자의 '지금 바로' 통증강도가 '심한 통증' 범주인 경우 50.0%의 가족간호자가 같은 범주로 지각하고 있었고, '경미한 통증'인 경우는 47.2%의 가족간호자가, '통증없음'의 경우는 46.3%의 가족간호자가, 그리고 '중등도 통증'인 경우는 26.3%의 가족간호자가 암환자와 같은 범주의 통증정도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암환자와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환자의 통증강도 범주의 일치도는 '심한 통증' 범주를 제외하고 절반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암환자가 '심한 통증'을 경험 할 때보다 '중등도 통증' 또는 '경미한 통증'을 경험할 때 암환자와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통증강도 범주가 다를 가능성이 높으며, 암환자의 통증을 과대평가하는 가족간호자가 과소평가하는 가족간호자보다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차이를 줄이기 위해 암환자와 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통증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을 객관적으로 사정하여 보고하도록 교육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암환자와 가족간호자의 차이를 규명하는 반복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며, 암환자와 가족간호자의 통증강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어떤 것인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Work Intensity and Organizational Cynic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Clinical Nurses)

  • 김효정;조연교;이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27-635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조직침묵에 상사신뢰도, 업무강도와 조직냉소주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2월부터 3월 까지 B광역시와 U광역시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의 6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활용하여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상관관계에서 조직침묵은 상사신뢰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r=-.32, p<.001), 업무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r=.18, p=.043)을 나타냈다.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상사신뢰도(${\beta}=-.36$, p<.001)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현재의 병원 근무기간 중 10년 이상(${\beta}=-.67$, p=.002), 근무형태 중 상근근무(${\beta}=-.79$, p=.022), 3교대 근무(${\beta}=-.64$, p<.001)였고 총 설명력은 26.0%였다(F=11.47,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조직에서 임상간호사와 상사의 신뢰도 향상안, 다양한 근무형태 등 업무강도의 변화를 통해 조직침묵 개선을 위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수가 산정을 위한 상대가치를 이용한 수술실 간호행위 간호강도 분석 (Analysis of Nursing Intensity Related to Nursing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using the Relative Value Scale For Nursing Cost)

  • 하루미;권경자;우진하;김정아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2-17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operating room nursing activities analysis and estimate nursing intensity of each nursing activity based on the Relative Value Scale (RVS). Methods: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of RVS was based on the work of Hsiao et al. The first stage was to identify nursing activities and the second to measure intensity of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technical skill, mental effort, and stress. Results: Calculation of the RVS for 99 nursing practices showed a score range from 300.00 to 1337.78. CS operation assistant, OS operation assistant, and obtaining certification had high nursing intensity. Surgical hand washing, putting on surgical gowns, surgical gloves and surgical caps and mask had low nursing intensity. Conclusion: The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are not compensated separately but reimbursement is usually included in physician fees. In the future, an estimation of nursing cost should show the nursing contribution rate to total operation revenue.

간호강도에 의한 환자분류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ursing Intensity)

  • 박정호;김은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lassified items and criteria of th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PCS) based on Park's definition of nursing intensity. Methods: An expert group of 8 person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s. The 1817 inpatient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wo tools for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raters' reliability. These verifications were perform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4. Results: Nursing domains of the tools have been divided into 12 items: hygiene, nutrition, elimination, exercise & activity, education & counseling, emotional support, communication & consciousness, treatment & examination, medication, measurement & observation, coordination of multidisciplinary team, admission & discharge & transfer management.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ntent validity index(above 0.75 in all 12 areas). Interraters' relia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patient classification between the two raters(A group 93.75%. B group 88.24%).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verified by the agreement of two tools(73.7%).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CS based on the nursing intensity were verified. These will use an data for nursing productivity in the future.

  • PDF

병원간호사의 업무강도와 신체적 불편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Intensity and Physical Discomfort on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 김효진;박순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2-372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was dependent on work intensity and whether physical discomfor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with a sample of 253 clinical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In the model, absolute work intensity, relative work intensity, and flexibility were considered as exogenous variables and physical discomfort as a mediating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measures such as the Labor Intensity Questionnaire,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nd the Index of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 that the higher scores on absolute and relative work intens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hysical discomfort but only relative work intens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Physical discomfor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bsolute work intensity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relative work intens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ree kinds of work intensity, only relative work intensity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 in relative work intensity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reasing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and a reasonable reward system considering relative work intensity could be necessary.

간호사의 업무 강도, 대인관계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 효과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Intensity, Interpersonal Conflict and Burnout among Nurses)

  • 백윤미;김숙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3호
    • /
    • pp.275-284
    • /
    • 2020
  • Purpose: For this stud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intensity,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nurses' burnout were investigated.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227 nurse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urveyed. The tool included nurses' objective work intensity, subjective work intensity,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ilience, and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in general hospitals in D city from July to August 201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Participants'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total clinical experience, position, work pattern, frequency of night shifts, work department, and salary. Participants' burnou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ork intensity and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subjective work intensity and burnout, an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urnout. Conclusion: 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ork intensity and burnout, an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urnout. Therefore, further efforts and diverse intervention measures are required to enhance resilience and reduce work intensity and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prevent burnout in nurses.

청소년의 생활습관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for Adolescents' Life Care)

  • 한근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7-138
    • /
    • 2019
  • 본 연구는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신체 활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이차분석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중1~고3 청소년 62,276명이다. 신체활동은 중강도 신체활동 및 고강도 신체활동 항목을 활용하였고, 건강행위는 흡연, 음주, 식생활, 좌식행동, 수면 시간 변수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행위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으며, 건강행위와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한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흡연, 현재 음주의 경우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하였다. 식생활의 경우 1일 1회 이상 과일섭취, 매일 3회 이상 채소섭취, 주 3회 이상 단맛음료섭취를 하는 경우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하였다. 주 5일 이상 아침식사는 높은 중강도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었으나 고강도 신체활동과는 관련이 없었다. 2시간 이상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감소하였다. 7시간 미만 수면을 취하는 경우 중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한 반면, 고강도 신체활동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신체활동은 서로 상호관련성이 있으므로, 청소년 신체활동 및 건강한 생활습관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 시 개별적인 접근보다는 다각적 측면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질환 (Psychosocial Stress and Stress Disease)

  • 정현숙;강규숙;황애란
    • 대한간호
    • /
    • 제26권5호통권143호
    • /
    • pp.25-28
    • /
    • 1988
  • 정신 사회적스트레스원 자체는 스트레스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아니다.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원인 자체보다는 그에 대한 인간의 능동적인 인지 과정이 중요한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실제로 인지된 스트레스가 개개인의 적응능력보다 그 강도가 너무 크거나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혹은 개체가 효율적인 대체 기전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최소화할 수 없을 때에는 개체의 적응력을 고갈시키게 되므로 유전적으로나 환경적 영향으로 취약해져 있는 장기에 스트레스 질환이라 불리우는 여러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기존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심각도를 가중시키게 될 것이다.

  • PDF

병원종사자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간의 인과관계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중심으로-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Factors of Hospital Workers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of Medical Administration and Nurses Jobs-)

  • 김운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151-15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병원조직에서 종사하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통해 이직 또는 잔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이직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표본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중소병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만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예측을 하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 사이에는 직무특성의 차이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직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두 직종의 감정노동 강도와 이직의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인관관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에 대한 실증검증을 통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에서 인지하는 직무요건 중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파악하고, 두 요인이 이직의도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두 직종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뇌졸중 전문치료실의 간호강도에 근거한 환자분류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ursing Intensity in Stroke Unit)

  • 김은정;김희정;김미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45-55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ursing care intensity for patients with acute stroke-related symptoms and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2013 and February, 2014. The verification for content validity of th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ducted by a group of seven professionals. Both interrater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verified at stroke units in tertiary hospitals. Results: The intensive nursing care for acute stroke patients consisted of 14 classified domains and 56 classified contents by adding 'neurological assessment and observation' and 'respiratory care': 'hygiene', 'nutrition', 'elimination', 'mobility and exercise', 'education or counselling', 'emotional support', 'communication', 'treatment and examination', 'medication', 'assessment and observation', 'neurological assessment and observation', 'respiratory care', 'coordin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discharge or transfer care'. Each domain wa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uch as Class I, Class II, Class III, and Class IV.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is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has satisfactory validity for content and concurrent and verified reliability and can be us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demand for nursing care for patients in stroke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