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생활교육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경북여성정책제언을 위한 기초 조사 -가족생활.경제활동을 중심으로- (A Pilot study of Kyongbuk Womens Policy Development)

  • 김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268
    • /
    • 2001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tent the investigation of the Kyongbuk Womens policy the area of family life and womens economic a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imary barriers of getting a job for married women was child rearing and the diffency of working information. On the family life, communication patterns were contributed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parent, and spouse relationship. And also, school violence was founded the hot problem.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hild rearing support system, and affirmative action in womens employment enviroment, Family Life Educator and Family Counselor.

  • PDF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Activation Plan for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Life-long Education Point of View)

  • 전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9-17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과 가정과 교육의 관련성 및 의의 고찰, 가정과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를 통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생교육 지도자로서 가정과 교사의 역할과 취득 가능한 자격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과 교육의 관점에서 평생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생 교육 관련 문헌과 전국 l6개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기본방향 및 활성화 방안의 6가지 측면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은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계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2. 프로그램은 기관별, 학교급별, 지역별로 특색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은 목적에 따라 분류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4. 프로그램은 주부나 성인여성만이 아닌 가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5. 가정과 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에 따르는 보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6. 가족생활교육사로서의 자격을 갖추고자 하는 가정과 교사에게 다양한 교육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PDF

우리나라 가족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a Management Plan for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in Korea)

  • 송현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2호
    • /
    • pp.51-64
    • /
    • 2016
  • Family education service for healthy families has increased steadily over the past ten years since the Healthy Family Act was en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such as family life educators and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also suggest a management plan for them. The data used was collected from literature regarding family life educators and healthy family specialists, reports and home pages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etc. The major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empowerment of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2)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for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3)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families, 4) improvement of the capability of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response to a low fertility-ageing society, 5) collaborative networking between family life educators and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insights on how to train and manage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