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초래 갈등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Byung-Jae;Jeong, Tae-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8
    • /
    • pp.75-93
    • /
    • 2013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work-family conflict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achievement, need for powe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work-family conflict has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work-family conflict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Need for achievement and need for power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Burnout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소진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Han, Jin-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0
    • /
    • pp.211-219
    • /
    • 2017
  • Currently, enterprises are in a rapid flow of comvergence of industries in the ea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 this circumstances, change of economic condition,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increase of women's advance into society. Based on such background of the tim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home conflict on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at relation. The research samples were obtained from nurses at hospitals in Daejeon-si, Sejong-si,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Total 360 copies of valid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Specific analysis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had positive (+) impact on physical burnout.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had no impact on physical burnout. Secondly, it was found that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had positive (+) impact on emotional burnout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had negative (-) impact on emotional burnout. Thirdly, self-efficacy had a buffer effect on the negative impact of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upon emotional burnout.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and emotional burnout. Therefore, it needs to consider a plan to reduc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according to the causes of conflicts and it also needs to consider relevant results.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일-가정 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 Han, Jin-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113-124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family confli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at rela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between burnout by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study samples, total 331 copies were collected from the members of hospitals and call centers in Daejeon, Sejong and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had negative (-)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FIW) had negative (-)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FIW)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proactive personality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burnout due to work-family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proved that the relation between burnout due to work-family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of members concerning the negative effect of burnout caused by the work-family conflict at the workplace can be reduced by the proactive personality.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proved the necessity of proactive personality of members in the work-family conflict. Therefore, more diverse pers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future.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Byeon, Sang-Hae;Park, Hui-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37-142
    • /
    • 2018
  • 본 연구는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요구도 조사를 위한 포커스 인터뷰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에 사는 부부이고 나이는 30세 이상에서 62세 미만을 선정하였으며, 재혼생활 기간이 1년 이상 6년 미만의 실질적 경험이 있는 부부를 선정하였으며, 부부 한쪽이라도 배우자가 전혼관계를 통해 자녀가 있는 복합가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5월 25일까지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회기에 100분씩 총 2회기로 개별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재혼부부들은 원가족에서 형성된 미분화로 역기능적인 습관들이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불안을 더욱 증폭시켰다. 부부가 문제해결을 하는 상황에서 낮은 자아분화 수준으로 표현하며 갈등을 더욱 고조시켰다.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갈등관계에서 자신을 이성과 감정을 분리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도 하며, 환경에 흡수되는 부정적 갈등 대처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재혼부부에게 가장 취약한 면이 부부간 친밀감이며 유대관계이다. 전혼에서 상처와 부정적 정서로 인해 부부 신뢰감이 취약하였다. 비교적 짧은 재혼기간의 영향과 여러 갈등 요소 인 경제적 갈등, 계부모-친부모의 갈등, 계부모-계자녀의 갈등, 전 배우자와의 갈등, 부부간 잠재적 갈등 등으로 인해 친근한 부부유대관계를 맺지 못하는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특히 전혼관계의 배우자에 대한 부정적 경험이 남아 있을 경우 현재 배우자를 신뢰하지 못하는 갈등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로 인한 부부갈등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를 돕는 자기분화,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통합적 프로그램을 구성하려고 하는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점진적으로 재이혼은 증가하여 부부 및 가족 구성원인 또 다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문제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방적 차원에서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Diabete Care: Zoom in -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콩팥병 환자 특성에 대한 이해

  • Park, Seon-A
    • The Monthly Diabetes
    • /
    • s.287
    • /
    • pp.49-51
    • /
    • 2013
  • 최근 만성콩팥병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환자들도 정상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병생활은 질병자체의 고통 뿐 아니라 지속적인 검사, 치료 그리고 잦은 입 퇴원으로 경제적인 부담감, 완치가 아닌 기계에 의존한 생명 연장의 수단이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불안과 위협, 가정 내역할과 책임의 변화로 가족갈등의 심화, 신체상의 변화로 원활한 대인관계 어려움, 사회적 고립 및 삶에 대한 의미상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렇듯 만성콩팥병 환자는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Work-Family Conflict (군 조직에서 조직시민 행동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g, Min-Cheol;Kim, Oh-Hyun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5 no.3
    • /
    • pp.119-138
    • /
    • 2009
  • Work and family are two major fields of one's life. In the past, the role of each gender has been separated, and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wo fields. However, the increasing rate of working woman and the mode of social change that the male has also responsible of caring family and individuals has more interested in their personal life make consider these two fields as a whole.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OCB contribute in important ways to organizational functioning and performance. Whereas citizenship behavior may affect organizations in several positive ways, it is also possible that engaging in such behaviors could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employees who do so. There may be other personal costs such as work-family conflict that accrue to individuals who engage in high levels of citizenship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 strategy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on the negative effects of OCB on Work-Family Conflict.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590 in different job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proved that the more OCB effect on the more Work-Family Conflict. it also was found that the SOC strategy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OCB and Work-Family Conflict. At the end of the paper,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The Custom of Bride Wealth in Africa: The Context of Change and Reconstruction (아프리카의 신부대(bride wealth) 관습: 변화와 재구성의 맥락)

  • Seol, Byung-Soo
    • Cross-Cultural Studies
    • /
    • v.50
    • /
    • pp.131-172
    • /
    • 2018
  • It is noted that nowadays, the bride wealth custom takes an extremely distorted form in African society. Such a phenomenon is a result that the male-dominant culture, Western religions, and capitalist economic system have been negatively combined into dynamic factors seen as bride wealth.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bride wealth has been incessantly reconstructed in the middle of clash and conflict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re is also little doubt that the practice is inextricably tangled with the common and current ways of livelihood, early marriage, polygyny, kinship/family structure, poverty, and migration labor. Bride wealth has become an increasingly commercialized element under a capitalist economic system. Accordingly, its traditional symbolism is seen to be subsequently weakening, whereas a tendency towards the reification of women is strengthening more in modern society that embraces modern customs bent on the protection of women's human rights. Its commercialization has produced a result, which instigates the noted violations of women's basic human rights, gender inequality, and promo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ways that people perceive bride wealth vary according to their own sex, generation, stratification, and ethnic background. Those people who negatively recognize bride wealth will increase with the deepening of its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apitalism. Its color and effect will deepen and depend on how its agents correspond to socioeconomic changes. They will constantly reinterpret and reconstruct it within their own environments, but the basic human rights efforts are constantly under review by concerned individuals seeking to promote equality for women as a global effort.

우리나라 직장 정신보건제도의 방향과 전망

  • Baek Do-My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5a
    • /
    • pp.73-83
    • /
    • 2002
  • 우리 사회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사회와 가정에서의 기능상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정신적 문제는 경제활동인구에 있어 가장 흔한 보건의료상의 문제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신보건제도 마련에 있어 가장 극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정신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위주로 수용시설과 지역사회에서의 재활과 관리에 그 초점을 두어 왔다. 즉 직업스트레스와 같은 일시적인 사회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신체증상의 호소나 알을 및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일생동안 관리되어야 하는 지능저하나 학습장애와 같은 만성적인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의 정신적 문제들 중 그 일부만이 제도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실제 그 동안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행정적 관심은 일부 장애인의 취업 문제를 제외하고는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산업구조와 경제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노동내용과 조건상 유연화의 증대가 많은 직장에서 노동강화로 이어진다는 점, 그리고 가족 및 교류집단을 비롯한 전통적인 사회적 지지구조가 와해되고 있다는 점과 정신적 문제로 인한 기능상 부적응의 척도가 한편으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계속 그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등에서 직장 내 정신보건 문제는 앞으로 더욱 그 비중이 커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검토 또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보건관리의 현황을 단편적으로 파악해 보았을 때, 단지 일부 기업에서 취업시 내지는 부서 배치시 성격검사를 비롯하여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윤리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적으로 사기앙양을 주목적으로 하는 집단적인 교육이나 단체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신심리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화된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 없다. 앞으로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하여 제도적인 접근을 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 번째로 문제점 그 자체의 내용과 그 규모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예측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제도 전체의 운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제가 함께 있어야 제도가 실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최소한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제점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내용 및 개입지점의 확보가 가능하여야 한다. 특히 직장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는 시범사업과 시장을 통한 소비자, 즉 사업주들의 자발적인 선택을 통하여 검토되고 걸려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제도 운영의 대상, 특히 정신보건문제를 안고 있는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동의가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정신적 문제가 안고 있는 편견과 그로 인한 차별이 가져다주는 문제를 함께 고려하면서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며, 이에 있어 제도 운영상 노동자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 고려되는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을 담기 위하여서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문가 집단의 양성과 같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과 이들의 인허가 및 사업화에 따른 적용기준 및 의무의 설정과 같은 제도적 접근에 그쳐서는 그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노사의 공감대를 이루어 내는 것이며,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바람직한 관리모습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을 도출해 내는 것이 제도적인 접근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 조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정신보건문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가치관이 부정적이고 고착화된 모습만을 강조하였으나, 이제는 점차 긍정적이 사회활동에 수반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서 비추어지는 것이 많아진다는 측면에서 그 전망을 밝게 하여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