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오리 어류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홍어류 (판새아강, 홍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현황과 국명검토 (A Review of Taxonomic Studies and Common Names of Rajid Fishes (Elasmobranchii, Rajidae) from Korea)

  • 정충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8-210
    • /
    • 1999
  • 한국산 홍어과(科) 어류(魚類)에 대한 분류학적(分類學的) 고찰(考察)과 국명(國名) 및 분포(分布) 범위(範圍)를 정리(整理)하기 위해 국내외의 표본(標本)과 문헌(文獻)을 통하여 재검토(再檢討)하였다. 그 결과 홍어과 어류는 4속(屬) 11종(種), 즉 Bathyraja bergi 바닥가오리, B. isotrachys 저자가오리, Dipturus kwangtungensis 광동홍어, D. macrocauda 도랑가오리, D. tengu 살홍어, Okamejei acutispina 무늬홍어, O. boesemani 깨알홍어, O. kenojei 홍어, O. meerdervoortii 오동가오리, Raja koreana 고려홍어 및 R. pulchra "참홍어" (국명개정(國名改稱)) 등으로 확인되었다. Dipturus속(屬)과 Okamejei속(屬)은 아속(亞屬)에서 속(屬)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각각 "살홍어속(屬)"과 "홍어속(屬)"으로 국명개정(國名新稱)하였고, Raja속(屬)은 "참홍어속(屬)"으로 국명개정(國名新稱)하였다. 분류학적 재검토의 결과 Bathyraja bergi 바닥가오리도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 홍어과 어류의 종(種) 목록(目錄)과 분포도(分布圖)를 제시하였다.

  • PDF

한국산 색가오리과(Dasyatidae) 어류 1미기록종, Pteroplatytrygon violacea (First Record of the Pelagic Stingray, Pteroplatytrygon violacea (Dasyatidae, Myliobat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4-118
    • /
    • 2018
  • 매가오리목, 색가오리과에 속하는 Pteroplatytrygon violacea 1개체(전장 1,058 mm)가 2017년 7월 6일 제주도 북서쪽 연안에서 처음으로 유자망에 의해 채집되었다. 이 종은 넓은 주둥이를 갖는 점, 5쌍의 아가미구멍이 있는 점, 꼬리에 1개의 가시가 있는 점, 꼬리의 배쪽에 있는 피습이 꼬리끝까지 이르지 않는 점, 꼬리의 등쪽에는 피습이 없는 점, 그리고 배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자주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서 이 종을 P. violacea로 동정하였으며, 표본의 COI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동정을 확인하였다. 이 미기록종은 배 표면의 체색으로 인해 기존에 붙여진 이름에 따라 종명과 속명을 각각 "보라색가오리"와 "보라색가오리속"으로 제안한다.

한국산 긴꼬리흰가오리과 (Plesiobatididae) 어류 1미기록종, Plesiobatis daviesi (New Record of the Deepwater Stingray Plesiobatis daviesi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6
    • /
    • 2016
  • 매가오리목, 긴꼬리흰가오리과 (신칭)에 속하는 Plesiobatis daviesi 1개체 (체반장 700 mm)가 2010년 10월 11일 제주도 동북쪽 연안 (해구번호 110)에서 저인망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5쌍의 아가미 구멍이 있는 점, 꼬리에 1~3개의 가시가 있는 점, 주둥이가 긴 점, 꼬리지느러미가 긴 점, 그리고 코 끝에 커튼 모양의 주름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형태적으로 흰가오리와 유사하지만, 흰가오리보다 꼬리지느러미 길이와 주둥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특징을 갖는다. 이 미기록종의 과명과 속명 그리고 종명은 "긴꼬리흰가오리과", "긴꼬리흰가오리속" 그리고 "긴꼬리흰가오리"로 각각 제안한다.

추진력 생성을 위한 가오리 날개 짓의 유체-구조연성 수치해석 (Analysis of Motion of Batoid Fins for Thrust Generation by Using Fluid-Structure Interaction Method)

  • 권동현;이종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1호
    • /
    • pp.1575-1580
    • /
    • 2010
  • 최근 수중 생물체의 특성과 운동성을 가진 생체 모방형 수중로봇의 모방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수중에서 기동성과 항해성이 우수한 가오리류 어류 움직임을 모방하여 날개 짓에 의한 속도 및 이동거리를 수치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유체-구조 연성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3 차원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날개 짓에 의한 큰 변형을 보정하고자 격자 재생성 기능을 사용하였다. 실제 가오리는 날개 진동수에 의해 추진력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가오리의 움직임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진동수 및 진폭의 변화에 대하여 최대의 추진력을 갖는 날개의 움직임을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 여수에서 채집된 매가오리과 (Myliobatidae) 어류 첫기록종, Mobula thurstoni (First Record of the Smoothtail Mobula, Mobula thurstoni (Myliobatiformes: Myliobatidae) in Southern Korea)

  • 명세훈;송영선;강충배;최홍인;김종관;윤문근;임재복;한동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8-154
    • /
    • 2021
  • 매가오리목 매가오리과에 속하는 Mobula thurstoni 2개체(1770~1850 mm 체반폭)가 2018년 9월 전라남도 여수시 연도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앞부분이 이중 굴곡이고, 등지느러미 바로 뒤 꼬리 시작부분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끝부분에는 흰색이고, 그리고 등쪽의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 Mobula kuhlii와 가장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 이중 굴곡을 가지고 있다는 점(vs. 직선이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진다)과 등쪽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는 점(vs. 회갈색)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이 종은 M. kuhlii와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에서 유전적 거리 0.030~0.069의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이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매끈꼬리쥐가오리'를 제안한다.

한국산 색가오리과(Dasyatidae) 어류 1미기록종, Hemitrygon izuensis (Nishida and Nakaya, 1988) (First reliable record of a stingray, Hemitrygon izuensis (Nishida and Nakaya, 1988) (Chondrichthyes: Dasyatidae) from Korea)

  • 장서하;김진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3호
    • /
    • pp.205-213
    • /
    • 2021
  • Two specimens of Hemitrygon izuensis (395.8-471.5 mm in disc width), belonging to the family Dasyatidae (Myliobatiformes),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north-eastern Jeju-do Island in June 2016 and Pohang in August 2019.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having no spots on dorsal side of disc, white ventral tail fold and short preorbital snout length (15.6-18.3% of disc width). This species is similar to H. akajei and H. sinensis reported in Korea, but differs in small denticles on mid-line of dorsal surface of disc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the length of ventral tail fold (28.1-31.0% in H. izuensis vs. 48.0-48.6% in H. akajei vs. 45.0% in H. sinensis), color of ventral tail fold (white in H. izuensis vs. black in H. akajei and H. sinensis) and small tubercles on the posterior part of tail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We suggest a Korean name for H. izuensis as "I-ju-gal-saeg-ga-o-li" following Kim et al. (2019).

남해 거문도 해역 어류의 출현종과 분포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in the Water off Geomun Island of the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8-178
    • /
    • 2010
  • 2006년 2월부터 10월까지 남해 거문도 연안의 암반초와 비 암반 정점의 어류 종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류자료는 밤에는 삼중자망으로 수집하였고, 낮에는 스쿠버 잠수관찰로 수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세 정점에서 삼중자망에는 총 40종, 380마리, 71,426.9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어획된 어종 가운데 전갱이가 최우점하였으며, 그 외 홍어, 노랑가오리, 쥐치, 전기가오리, 참돔, 볼락, 꼬치고기 등이 많이 채집되었다. 암반 초 정점에서는 26종, 264마리, 46,776.7 g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전갱이이었다. 다음으로 비 암반 정점 1에서는 17종, 45마리, 10,535.1 g의 어류가, 비 암반 정점 2에서는 19종, 71 마리, 14,11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스쿠버 다이빙에 의한 3정점 잠수조사에서는 13종, 1,749마리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주로 관찰된 어종은 자리돔이며, 기타 범돔, 쥐치, 망상어, 육동가리돔, 뱅에돔, 용치놀래기, 노래미, 쥐돔, 볼락, 혹돔 등이 관찰되었다.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어종수 7종, 개체수 1,739마리이며, 이는 전체의 99.4%를 차지하는 것이다. 거문도 해역에서 어류군집은 많은 암초성 어류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전갱이, 고등어 같은 회유성 어종들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다른 비암반 정점들에 비해 높았으며, 암초성 어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낮과 밤 간에 우점종은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거문도 해 역의 높은 어류 풍도는 암반초와 같은 물리적 구조물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암반초지역이 많은 어류에게 주요 서식처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