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열 감량

Search Result 34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도살체중이 부위별 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Yang, Jong-Beom;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1-265
    • /
    • 2005
  • 본 연구는 도살체중이 돈육의 등심, 목살, 삼겹살 및 햄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감량과 해동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등심 및 햄 부위가 목살 및 삼겹살보다 높았다. 팬에 의한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등심, 목상 및 햄 부위가 삼겹살보다 높았다. 열탕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의 영향은 없었으나 등심이 가장 높고, 목살이 가장 낮았다. 돈육의 $L^{\ast}$, $a^{\ast}$$b^{\ast}$값은 도살체중의 영향이 없었다. Hardness와 springiness는 도살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W110인 등심과 삼겹살의 cohesiveness가 SW90보다 높았으며, gumminess, chewiness 및 전단력가는 삼겹살이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도살체중이 높은 것이 높았다. 가열육의 맛은 SW110 삼겹살이 가장 높았고, 향기는 SW110 목살과 삼겹살이 가장 높았다.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도 삼겹살과 목살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육의 기호성은 도살체중과 부위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저염 재구성 햄의 제조시 식염감소를 위한 Microbial Transglutaminase와 우유단백질의 이용

  • Lee, Hong-Cheol;Hwang, Ji-Suk;Jin, Gu-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1-225
    • /
    • 2005
  • 본 연구는 식염첨가의 감소를 MTGase와 우유단백질을 첨가하여 보완하기 위하여 저지방 저염 재구성 햄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성상을 평가하였고, 1.5%의 식염이 첨가된 대조구와 기능성, 조직감 및 관능성을 비교하였다. 제조한 재구성 햄의 pH, 그리고 수분, 지방 및 단백질 함량은 각각 6.07-6.22, 68-72%, 2-5%, 18-22%였다. 색도와 보수력은MTGase와 우유단백질 첨가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다 (p>0.05). 반면에 가열감량은 식염첨가량과 우유단백질에 의해 차이를 보여 식염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열감량은 낮았고 카제인 염이 유청 단백질에 비하여 가열감량을 줄일 수 있었다 (p<0.05). 조직검사에서는 MTGase에 우유단백질 1%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교한 결과, 경도를 제외한 조직검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1.0% 식염에 0.3% MTGase와 1% 우유단백질을 첨가한 재구성 햄이 기능적에서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0.3% MTGase에 1% 우유단백질을 첨가하는 것이 식염감소에 의한 재구성 햄의 결점을 보완함을 시사하였고 카제인 염 단백질은 MTGase의 기질로써 유청 단백질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 PDF

감귤 부산물이 제주 재래돼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77-82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 재래돼지에게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고 몇 가지 특성 및 기호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돈육 등심과 급여하지 않은 돈육 등심 사이에 pH, VBN 및 일반 세균수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TBARS 값은 감귤을 급여한 돈육등심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TB-0구와 급여한 TB-1의 표면색도는 $L^*$$b^*$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값은 TB-0구가 TB-1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다. 보수력 및 팬 가열감량은 TB-0가 TB-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동결감량, 해동감량, 열탕가열감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탄성, 응집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감귤 부산물 급여의 영향이 없었지만 뭉침성은 TB-1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맛, 향기,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감귤 부산물 급여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나, 연도는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돈육 등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해조류 첨가가 돈육 패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Jeon, Mi-Ran;Choi, Seong-Hee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2 no.1
    • /
    • pp.77-83
    • /
    • 2012
  •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pork patties prepared with 3 levels (1%, 2%, and 4%) of seaweeds, sea mustard, green laver, and seaweed fusiform were studied. The addition of seaweed powders to pork patties increased crude ash content of the patties. When the patties were heated 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72^{\circ}C$ for 15 min, cooking loss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seaweed increased. Also, the addition of sea mustard showed the lowest cooking lo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of patties stored at $4^{\circ}C$ was lower in patties containing seaweed than in the control patties. Juiciness of the cooked patties was increased in patties with seaweeds, while springiness was decreased. The addition of seaweed did not affect flavor preference and overall acceptance scores in spite of sensing seaweed flavor. In summary, the addition of seaweed in preparation of pork patties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in supplementing minerals, a reduction in cooking loss, a decrease in VBN, and an increase in juicines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s of Ground Pork Hams Containing Salt and Fat (식염 및 지방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최종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근장단백질의 이용)

  • Kang, S.M.;Chin, K.B.;Cho, S.H.;Lee, J.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1
    • /
    • pp.83-90
    • /
    • 2004
  • Processed meals, such as a ground meat and hamburger patty, are required to ensure that no pathogens remain in the final products. However, there was no rapid method available to verify that the recommended end-point cooking temperature(EPT) was reach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apidly determine EPT of ground pork hams using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OS-PAGE), based on the disappearance of sarcoplasmic proteins after cooking. Fresh pork hams were added two levels of salt(0, 2%) and fat(15, 25%) combinations, and stored in refrigerator overnight, and cooked to internal cooking temperatures of $64^{\circ}C$ to $74^{\circ}C$ with $2^{\circ}C$ increments. Cooked pork hams were measured cooking loss(CL, %), protein solubility(PS) and SOS-PAGE. CL(%) was reduced with the addition of 2% salt, as compared to the control, regardless of fat contents. It wa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eooking temperature. Protein solubility was affected by the cooking temperature, resulting in reduced PS up to $64^{\circ}C$(P < 0.05), but remained constant higher than $68^{\circ}C$. In SOS-PAGE analysis, protein bands with the molecular weights of 36 and 66 kDa were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alt and fat combinations. regardless of treatments. These protein fractions were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ed cooking temperatures up to $68^{\circ}C$ ${\sim}$ $70^{\circ}C$ and might be good indicators for the determination of EPT in ground pork hams.

Effects of Wrap and Vacuum Packaging on Shelf Life of Chilled Pork (랩포장과 진공포장이 냉장돈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명수;양종범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3
    • /
    • pp.255-262
    • /
    • 2001
  • 랩포장 및 진공포장이 냉장 돈육이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돈육의 등심부의를 랩포장 및 진공포장한 후 냉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세균수,휘발성 염기질소, pH, 보수력 드립감량, 가열감량 및 경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랩포장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저장 10일에 2.0$\times$$10^{7}$ CGU/㎤의 수준에 달하였고,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저장 15d일에 26mg%로서 식육의 부패수준인 20mg%를 초과하였으며 , pH는 저장 7일 이후 급속하게 증가되어 저장 10일에 5.98의 수준이었다. 반면에 진공포장의 경우에는 일반세균수가 저장 30일에 7.7$\times$$10^{6}$ CGU/㎤의수준에 달하였고,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저장 30일에 19.8mg%로서 부패수준인 20mg%에 근접하였으며, pH는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우 완만하게 증가되어 저장 30일에 pH5.75의 수준이었다. 보수력은 저장 1일에는두 시험구가 75.0%의 수준으로 비슷하였으나,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랩포장이 진공포장에 비해 급속하게 증가되었다. 드립감량과 가열감량은 저장초기인 저장 7일까지는 진공포장이 랩포장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그 이후에는 랩 포장이 높은 수준이었다. 경도는 두 시험구 모두 저장 1일에 가장 높았고,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랩포장에 비해 전공포장이 비교적 완만하게 저하되었다.

  • PDF

Thermal Analysis of the Straight Permed Hair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열분석)

  • Rho, Jung-Ae;Lee, Gui-Young;Chang, Byung-Soo
    • Applied Microscopy
    • /
    • v.40 no.3
    • /
    • pp.163-168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burning process of the virgin hair and straight permed hair using thermal analys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the thermal analysis, we found that weight started to change from $100^{\circ}C$. Whereas straight permed hair has weight decrease rate of 2.6% higher than the virgin hair till $200^{\circ}C$, those were 64.9% and 64.4% for the virgin and straight permed hairs, respectively at $300^{\circ}C$. At $400^{\circ}C$, the weight decrease rate of the virgin hair became lower than the other; they were 32.3% and 33.4% for the virgin and straight permed hairs, respectively. Final values were 25.4% and 28.3% at $500^{\circ}C$, which showed that final weight of burnt straight permed hair was higher than the virgin hair by about 2.9%.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nges, the hair started to melt together with adjacent ones by burning till $300^{\circ}C$. The medulla and cortex were melt and the inside was empty like bamboo. The hair burnt till $500^{\circ}C$ was entirely carbonized and found as a clod. We found many blowholes at the surface of the hair clump.

Effect of Ag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Neck (숙성기간과 조리온도가 돼지 목심육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문윤희;김영길;정인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0 no.1
    • /
    • pp.70-74
    • /
    • 2001
  • The effects of aging time (1, 8 and 15 days) and endpoints cooking temperature (70, 75 and $80^{\circ}C$)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neck were evaluated. Pork neck was obtained from the carcass (live weight, 105~110 kg ; grade B) chilled for 24 hours after slaughter. As a aging period became longer, the pH, L value and drip loss became higher while its a value and shear force value (SFV) of raw meat became lower. As a aging period became longer, the cooking loss, hardness, chewiness, SFV became lower, and its tenderness, juiciness and taste became better.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roma, and the one aged for 8 days in the cooked meat showed the best palatability. Increasing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from 70 to $80^{\circ}C$ increased hardness, SFV and taste, and decreased chewiness, sensory tenderness and juiceness (p<0.05). However, it had no effect on the cohesiveness. Also, the one for which the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became $75^{\circ}C$ in the cooked meat showed the best springiness, aroma and palatability.

  • PDF

ISP, CSP의 대체제로서 Wheat Fiber 첨가가 Meat Batter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oe, Yun-Sang;Lee, Mi-Ae;Jeong, Jong-Yeon;Choe, Ji-Hun;Han, Du-Jeong;Kim, Hak-Yeon;Lee, Ui-Su;Kim, Jin-Man;Baek, Hyeon-Dong;Kim, Cheo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93-195
    • /
    • 2005
  • 본 실험은 ISP, CSP의 대체제로서의 wheat fiber첨가가 meat batter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eat batter에서 control은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열감량, 보수력, 유화안정성, 물성, 점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Meat batter에 wheat fiber를 첨가하였을 경우, ISP, CSP를 첨가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pH, 보수력, 육색, 유화안정성, springiness, cohesiveness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열감량과 점도, hardness는 다른 첨가제와 비교하여 wheat fiber가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ISP, CSP의 대체제로 wheat fiber를 첨가한다면 meat batter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집중탐구 - 냉동과 해동 방식에 따른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성상 조사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174
    • /
    • pp.32-33
    • /
    • 2017
  • 본 시험은 냉동 및 해동 방식에 따른 토종오리 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8주령 오리육을 대조구(Control)로 하고 처리구는 냉동방식 2가지(급냉, $-50^{\circ}C$; 완냉, $-20^{\circ}C$)과 해동방식 2가지(완해동, $4^{\circ}C$ 냉장해동; 급해동, $13^{\circ}C$ 유수해동;의 $2{\times}2$ 복합요인으로 하여 총 5처리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3점(2수/점)으로 나누었다. 공시재료는 각 처리구에서 발생된 8주령 토종오리 수컷을 처리구당 18수씩 선별하여 도압하고 1개월간 저장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명도는 완냉시키거나 완해동할 때에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가열감량과 보수력은 급냉시키거나 급해동시킬 때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전단력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가열감량, 전단력, 보수력은 냉동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열감량은 급해동과 완해동 사이에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수분, 지방, 단백질, 조회분의 함량은 냉동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수분함량은 급해동 처리구에서 완해동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단백질 함량은 완해동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P<0.05) 해동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과 단백질 함량은 해동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서는 냉동과 해동 방식에 따른 오리고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런 결과들은 토종오리 산업과 오리육 생산 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