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중첩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7초

우수관망 노선 결정에 따른 첨두유출량 변화 분석 (A Change of Peak Outflows due to Decision of Flow Path in Storm Sewer Network)

  • 이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51-5156
    • /
    • 2010
  • 우수관망의 설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관망의 노선은 최소의 건설비용을 목적으로 결정하게 되며,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관망의 노선 변경에 따른 관거 내 흐름의 중첩효과는 관망 노선 결정에서 고려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관망의 노선 결정에 있어서 관거 내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관망 전체의 흐름을 제어 및 분산시킴으로써 내수침수 위험도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이것은 관망 구성에 따른 관거 내 흐름의 중첩효과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러한 흐름의 제어를 통하여 우수관망에서의 내수침수 위험도가 저감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망에서의 노선 결정에 따라서 달라지는 관거 내 흐름의 중첩효과와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유출구에서의 첨두 유출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관망의 노선 결정은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목적함수는 유출구에서의 최소첨두유출량이 된다. 가상의 우수관망에 대하여 노선 결정에 따른 첨두유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10년 빈도의 설계강우량에 대하여 강우지속시간 30분의 경우 관망 노선에 따른 최대 및 최소 첨두유출량 차이는 약 5.6%이며, 초과강우에 대한 내수침수 발생 분석을 위하여 2002년에 발생한 태풍 '루사'에 대한 적용 결과 월류량이 약 31%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분지형 도시유역에서의 노면류를 고려한 침수모의 (Flood Simulation for Basin-Shaped Urban Watershed Considering Surface Flow)

  • 안정환;조원철;정재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841-847
    • /
    • 2014
  • 도시홍수에 대한 관심과 함께 도시유출모형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1차원 우수관망 해석 모형과 2차원 지표면 흐름 모형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지하 우수관으로부터의 월류량으로 인한 지표면 침수를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모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도시유출모형은 지하 우수관으로부터의 월류량으로 인한 침수만 해석할 수 있으며, 지하 우수관로 시스템으로 유입되지 못한 노면류에 의한 침수는 해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시유출모형 구성 시 지하 우수관로 시스템으로의 유입효율을 고려할 수 있는 가상의 1차원 우수관망 레이어를 추가하는 유역중첩법을 고안하였다. 도시유출모형으로는 XP-SWMM 2011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2011년 7월 27일에 급경사 분지지형인 서울시 사당천 유역에서 발생한 홍수사상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결과 유역중첩법으로 모의한 경우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모의한 경우에 비해 측정된 침수현상을 유사하게 구현하였다. 노면 유출수로 인한 침수를 저감하기 위해 배수시설 개선이 필요함을 밝혔으며, 분지형 도시유역의 치수계획규모 설정 시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복합현실 기반의 융합형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설계 (Design of Mixed Reality based Convergence Edutainment System using Cloud Service)

  • 김동현;김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03-109
    • /
    • 2015
  • 기존 이러닝 시스템의 실감형 교육 및 교육적 체감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 디바이스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실감형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의 경우 다중 마커 배열 및 회전 마커 배열의 미검출에 대한 문제점과 투명디스플레이를 투영한 현실 공간과 가상 객체간의 조명환경 차로 인한 부조화 현상에 대한 문제점과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회전 마커 검출이 가능한 향상된 마커 검출 기법을 통해 다수의 마커 배열과 회전 마커 배열을 인식하고 중첩 블록 레이어를 통해 현실 공간과 가상공간의 조명 환경을 통일하여 현실감 있는 융합형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콘텐츠 설계 및 구현 연구 (A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서동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20
    • /
    • 2019
  • 증강현실은 카메라에 보인 현재 모습에, 중첩된 대상의 정보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문화, 교육, 군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시나 어린이 교육 콘텐츠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갈기비AR'과 '장영실의 발명품AR'을 통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재를 눈앞 가까이에서 경험 하도록 해준다. '갈기비AR'은 3D 블록 형태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서 문화재 구조에 대해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장영실의 발명품AR'은 물체를 확대, 축소, 회전하며 함께 사진을 찍어 문화재를 보다 밀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을 인식하는 ARCore로 '갈기비 AR'는 증강된 화면 속에 비석을 위치하여 블록을 할 수 있게 한다.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앙부일구를 손앞에 바로 보는 것과 같이 구현하여 체험자에게 사실감을 더 주고자 하였다. 문화재를 널리 알리기 위한 콘텐츠이며 문화재의 체험 콘텐츠를 통해 문화유산의 향유를 증대하고자 한다. 문화재 정보가 대중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제작되는 콘텐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이길 기대한다.

가상 시험 모델을 이용한 군용 대형트럭의 내구해석 (Durability Analysi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Using Virtual Test Lab)

  • 서권희;송부근;임현빈;장헌섭;오철조;유웅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7-64
    • /
    • 2011
  • In general,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has been checked through a field durability test which required many man-hours and costs. To reduce these expenses, the durability analysis using a VTL(Virtual Test Lab) at an initial design stage was introduced recently. In this paper, the VTL with a multi-post testrig template for a large-sized truck was developed to compute the load histories transferred to cabin and chassis frame. The VTL consisted of trimmed FE models of cabin, chassis frame, and deck, dynamic models of front and rear suspensions, and a 8-post testrig templat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VTL were correlated with experimental results which had been extracted from actual driving test, modal test, and static weight test. The fatigue analysis using MSM(Modal Superposition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From a series of analytic methods, it is shown that the fatigue analysis process using the VTL could be a useful tool to estimate the fatigue lives and weak areas of a large-sized military truck.

접수 전선 모델을 이용한 장비 받침대 모빌리티 평가 (Mobility Assessment of Equipment Foundation using Fluid-loaded Whole Ship Model)

  • 이동섭;조대승;김국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179-183
    • /
    • 2014
  • The fluid loading effect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shipboard equipment foundation mobility with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purpose, two kinds of finite element models for 60m class ship have been developed: global and local model. The former is for low frequency range and the latter for middle frequency range. These finite element models contain added mass explaining fluid loading effect. Added mass has been implemented with virtual mass matrix derived from Laplace equation governing fluid surrounding ship hull. The mobility assessment result for diesel generator foundation of the objective model shows that the fluid loading effect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n low frequency range, to more accurately assess shipboard equipment foundation mobility.

기업의 수익 구조 변화와 기업 형태의 네트워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Company Revenue Structure And The Networking Between Corporate Structures)

  • 최원영;이춘열;전성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09-322
    • /
    • 2002
  • 본 연구는 증권사와 중대형 병원, 그리고 제조 및 유통 기업의 기능상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을 통하여 수익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을 살펴 본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가상사회, 정보중개업자로 거듭나는과정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슈프라 헙(Supra Hub) 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세가지 기업군(금응, 의료, 제조 및 유통)에 대하여 현재의 수익 구조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고 바람직한 수익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버트(1992)의 네트워크 조직 이론을 원용하여 미래의 기업 형태인 슈프라 헙(Supra Hub)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미래의 기업 네트워크는 중첩되지 않는 커뮤니티와의 접촉 기회를 최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따라서 각 업종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들을 다시 연결하는, 즉 업종별 헙(hub) 형태의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하는 헙(hub)의 헙(hub) 형태의 커뮤니티의 태동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 활동이 동해안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ult Failure with Time Difference on the Runup Height of East Coast of Korea)

  • 정태화;손상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223-229
    • /
    • 2020
  •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 활동은 지진해일의 초기파형 생성에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해안에서의 처오름 높이에도 변화를 준다. 이러한 단층파괴 활동이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본 서해역에 다수의 가상 단층파괴를 가정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소단층들이 해안선에 평행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시간차를 지닌 단층파괴가 처오름 높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으나, 해안선에 수직으로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초기파형의 중첩효과가 두드러지게 발생하여 해안선에서 처오름 높이가 증가하였다.

중첩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가우스-마코프 이동 모델 기반의 효율적인 새도우 클러스터 메카니즘 (A Novel Shadow Clustering Mechanism based on Gauss-Markov Mobility Model in Nested Heterogeneous Networks)

  • 박제만;김원태;박용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2B호
    • /
    • pp.143-150
    • /
    • 2009
  •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이동 시에도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즉, 단말의 이동 방향과 속력을 예측하여 핸드오버와 자원 예약 절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송 지연과 패킷 손실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사용자는 제한된 서비스 영역과 서비스 종류에 맞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우스-마고프 이동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의 이동 방향과 속력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다음 이동 정보를 예측하고, 단말의 요구 조건에 맞는 이종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새도우 클러스터(Layered Shadow Cluster)를 제안한다. 또한, 3개의 이종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모델에서 가상 시나리오에 따라 기존의 방안과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살펴본다.

웨이브릿 임계치와 자연관측필터를 이용한 파형의 변곡점 검출 (Detection of Inflection Point of Waveform Using Wavelet Thresholding and Natural Observation Filter)

  • 김태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4호
    • /
    • pp.127-132
    • /
    • 2005
  • 가상현실을 이용한 사람의 빠른 움직임을 추출하여 파형으로 나타내는 동작곡선이나 자연계에서 실제로 관측되는 대기 전기변동량과 같은 전자계 신호의 시간 변동량은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신호의 관측파형에 대하여 변곡점과 같은 신호의 특징을 정확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잡음이 신호에 중첩될 때 종래의 방법으로는 변곡점의 검출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에 잡음이 첨가될 때 웨이브릿 임계치 잡음제거와 정규형 자연관측필터를 적용하여 정확한 변곡점 추출이 가능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