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농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P2E형 가상 농장 영농체험이 잠재 영농인의 태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보시스템성공모델 중심으로 (The Effect of P2E-type Virtual Farm Experience on the Attitud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Potential Farmers : Focusing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 배수진;오현주;이영래;권오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80-691
    • /
    • 2022
  • 가상 농장은 교육훈련용 가상현실의 일종으로서 영농에 대한 태도 변화를 실현하고, 가상 농장 재방문을 통한 경제적 성과를 목표로 한다. 최근 P2E(Play to Earn) 유형의 가상현실이 도입되면서 가상 영농 체험이 실질적인 혜택으로 연결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 농장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eLone & McLean의 정보시스템성공모델(IS Success Model)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가상 농장 콘텐츠의 품질 및 시스템 품질이 가상 농장 체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또한 가상 농장에 대한 만족도가 영농에 대한 태도 변화에 유의미하게 기여하는지를 점검할 것이다. 그 외에 디지털 인센티브가 P2E 유형의 가상 농장의 활성화에 기여하는지도 실증하고자 한다.

농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농작물 NPC 모델링 (NPC Modeling of Plants for Farm Simulation Game)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39-948
    • /
    • 2020
  • 가상현실 기술을 농업 기술 교육에 접목하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기계 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게임을 이용한 간접 교육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상현실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사용자가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게 대상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농장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은 농장의 환경에 따라 동일한 영향을 받는다. 또한, 농작물은 각각 독립적인 특성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농작물 모델링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NPC 형태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개별 농작물이 날씨와 농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과 독립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현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농작물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여준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3D 가상공간 농업 시뮬레이션 게임 (3D Virtual Space Agriculture Education Game on Mobile Environment)

  • 유환수;김성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09-910
    • /
    • 2009
  • 본 논문은 모바일 단말 환경에서 3D 가상공간상에 접속하여 작물재배, 가축사육 등을 체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웹 형태를 통한 온라인 농작물재배/가축사육 시뮬레이션에서는 각종 자료와 정지화상(사진이미지)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웹 접속을 통하여 학습 및 게임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장소에서의 체험을 벗어나 이동환경인 모바일 단말에서도 3D 그래픽 기술을 통한 현실감있는 가상의 농장 환경을 제공하여, 작물재배에서부터 토지 환경까지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며, 농작물 재배가 실제 환경과 유사하도록 시뮬레이션 엔진을 구성하였다. 특히 Open GL 같은 범용 라이브러리가 탑재되지 못하는 저 사양의 모바일 단말을 위하여 3D 엔진을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범용성을 도모하였다.

동물복지법 발효후 외국산 케이지 A/S대란 올수도$\cdots$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34권11호통권397호
    • /
    • pp.101-106
    • /
    • 2002
  • 1980년대 산란 농가의 케이지는 대부분 A형이 주를 이루었으며, 1990년대에는 정부의 시설자금 지원이 본격화되면서 자동화$\cdot$대형화의 조류를 타고 외국산 직립식 케이지가 국내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초기 직립식 케이지 설치로 평당 사육수수 증가가 가능했지만 자동화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질병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역효과도 있었다. 10년 이상 직립식 케이지에 적응하다 보니 노하우가 축적되어 대형 농장 위주로 직립식 케이지 설치가 증가하였고, 관리면에서도 안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IMF이후 외국산 케이지를 설치하는 농가도 줄어들었고,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시설자금 지원도 중단된 상태여서 외국산 케이지 보급이 소강상태를 보이다 최근에 와서 다시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 보급된 케이지 관리실태와 A/S현황을 알아보았다.

  • PDF

가상치유농장시스템 설계를 위한 전문가 인식 조사 (Surveying Expert Perceptions for Designing an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 배승종;김수진;구희동;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29권4호
    • /
    • pp.211-219
    • /
    • 2023
  •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each design element was analyzed by surveying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experts content importance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consumer preferences in previous studies, such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s the main effect the importance of sight and hearing, a relatively short time of 30 minutes or less, a low price of 5,000 won or less, technical factors that can satisfy the five senses, and various contents. When the spatial elements of the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elements and equipment, lines and paths, and sites and spaces, 'flowers', 'playgrounds', 'paths', 'sidewalks', 'rest areas' and 'gardens' were found to be highly important. Among the components of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the usability was divided into eight major categories, including searchability, attractiveness, cognition, error handling, control, consistency, convenience, and feedback, and the importance was analyzed for each compon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design direction of virtual healing farm systems and provides effectiv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systems in the future.

우분뇨와 폐잔디의 단독 및 병합소화 잠재량 평가 (Biogas potential estimation for mono- and co-digestion of cow manure and waste grass)

  • 안종화;앤드류 질레스피;신승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15-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우분뇨와 폐잔디를 이용한 혐기소화 잠재성을 단독 및 병합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두 종의 유기성 폐자원은 휘발성고형분(VS) 기준 100:0, 75:25, 50:50, 25:75, 0:100의 다섯 가지 혼합비 조건에서 회분식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테스트를 통해 바이오가스 생산을 측정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3개의 온도조건(25℃, 30℃, 35℃)을 적용하여 총 15개 실험 조건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폐잔디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더 높은 메탄 수율과 최대 메탄 생산율이 관측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유효체적 240(농장규모) 또는 2,400(마을 규모) ㎥의 가상의 혐기소화조를 가정하여 서로 다른 조건에 따른 에너지 수지를 비교하였다. 예측된 에너지 생산량은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았으나 소화조 가온 등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고려한 에너지 순생산량은 30℃, 35℃, 25℃ 순으로 높게 예측되었다. 따라서 에너지 순생산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조건 도출을 위해서는 메탄 수율 등의 실험적 측정 외에도 구체적인 소화조의 설계 인자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응답자 특성을 고려한 가상 치유농장 시스템 개발요인 수요분석 (Demand Analysis of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 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 구희동;김수진;배승종;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28권1호
    • /
    • pp.1-15
    • /
    • 2022
  • A Care farm is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various people in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However, care farm services for the disabled,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and socially disadvantaged are limited.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AVRT) system. The respondents were the ordinary person(n=127) and the disabled person(n=72), and the survey items consisted of 4 categories and 20 items, including intention to use AVRT, requirements for us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system, and content and program preferences. The intention to use a AVRT was found to be at a high level of 80% or more by respond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imilar results were shown in all items such as virtual reality experience, willingness to use, appropriate use time, and willingness to pay by respondent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by item was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s for the conditions of use, both sides preferred rural types and were found to have the purpose of healing. However, there were concerns about dizziness in common between system use, and in the case of the disabled pers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purchasing expensive equipm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AVRT system, the part of sensory priority, important technology level, and color preference were evaluated, and the preference of content and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system was identified. Fruit, vegetables, flowers, and animals preferred mandarin, tomato, tulips, and dogs first, horticultural healing preferred harvest management for the ordinary person, plant cultivation for the disabled person, and forest healing and animal education preferred walking and dog-related programs. However, agricultural work was found to be a program with high preference for making processed foods for the ordinary person and creating an animal breed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pers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 data that can b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Agro-healing Virtual Reality Therap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