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기간

Search Result 4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저수지 가뭄감시를 위한 물공급능력지수의 개발)

  • Lee, Dong-Ryul;Moon, Jang-Won;Lee, Dae-Hee;Ahn,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3 s.164
    • /
    • pp.199-214
    • /
    • 2006
  • Th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reservoirs in periods of drought event are an essential element for drought planning. A Water Supply Capacity Index (WSCI) has been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and effective monitoring of the supply capacity of a reservoir during a drought event. The WSCI is a measure of the duration that a reservoir can supply a required demand under the worst drought condition. The WSCI is not only a useful standard to refer to when making decisions on reservoir operations in a period of drought, but it can be also applied for setting the drought trigger in water demand sites supplied from the reservoi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WSCI and existing drought indices such as PDSI, SPI and SWSI has been analyzed to the applicability of WSCI.

Adequacy assessment of the water supply adjustment standard for Hapcheon Dam operation in drought periods and proposal of an alternative (가뭄 기간을 대상으로 한 합천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의 가뭄대응 적절성 평가 및 대안 제시)

  • Kim, Kwanghoon;Lee, Sangho;Jin,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1-491
    • /
    • 2017
  • K-water에서는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해 '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만들어 전국 다목적 댐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가뭄 기간(2008~2009)에 대하여 합천댐의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이용해 저수지를 모의운영한 결과, 이 기준은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판단되었고, 그에 따라 대안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가뭄 대응 단계를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나누고 있으며, 순단위로 각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과 감량 공급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기준을 이용한 합천댐의 모의 운영 결과, 가뭄기간동안 용수공급에 실패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는 K-water의 합천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이 가뭄 대응에 적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대안은 이산화 용수 감량공급 기법에서 도출된 용수 감량공급 현 저수량 기준곡선이다. 과거 심각한 가뭄이 발생한 1994년과 1995년을 대상으로 하여 기준곡선을 도출하였으며, 각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은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해 결정하였다. 또한, 이 기준곡선을 이용하여 동일한 가뭄 기간 (2008~2009)에 대해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water의 합천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적용한 모의운영 결과에서는 용수공급 실패가 발생한데 비해 대안으로 제시하는 기준곡선을 적용한 모의운영 결과에서는 용수공급을 실패한 경우가 없었다. 이는 대안으로 제시한 기준곡선이 K-water의 기준곡선에 비해 가뭄 대응에 보다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로는 대안으로 제시한 기준곡선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이 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의 값들보다 커 미리 감량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PDF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using Effects of Dry Period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무강수와 선행강수효과를 고려한 개선된 표준강수지수 제시)

  • Lee, Jun-Won;Kim, Gwang-Seob;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1-701
    • /
    • 2012
  • 장시간의 강수부족으로부터 야기되는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하여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가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지수는 기후적 혹은 물리적 특성 등을 반영하여 가뭄을 평가하고 있다. 다양한 가뭄지수중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는 가뭄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강수를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고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계산되어지며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강수일수와 선행강수조건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개선된 SPI 지수를 제시하고 가뭄감지능력을 기존의 가뭄지수와 비교 분석 하였다. 무강수일수의 고려를 위하여 월 최대 무강수일수의 확률분포를 구하고 이를 다시 누적확률분포로 나타냄으로서 기존에 가뭄지수에 무강수일수의 영향을 추가할 수 있는 가중치를 생성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월 최대 무강수일의 시점을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간에 따라 가중치를 변환하여 수행하였다. 이전의 강수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15일 이전의 강수를 성수기와 비성수기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간에 강수량에 따른 가중치를 세분하여 기존의 가뭄지수에 추가하였다. 기존의 가뭄지수와 새롭게 제시된 가뭄지수의 평가를 위하여 ROC분석을 사용하였으며, ROC분석은 실제 발생했던 사실과 산정된 값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실제 방생한 가뭄기록과 산정된 지수의 수치를 4가지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가 기간은 1973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사용된 자료는 우리나라 기상청의 76개 지상관측지점 중 섬 지역 7개를 제외한 69개 지점의 정보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SPI3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향상된 가뭄감지능력을 보여주었다. 무강수일수와 선행강수효과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가중치 생성은 SPI3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수에 적용되어 사용성이 높아 뛰어난 가뭄감지능력을 가지는 가뭄지수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rought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treamflow Drought Index in Yeoncheon Region (연천지역의 표준 강수 지수와 하천 유량 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 평가)

  • Il Hwan Kim;Joo-heon Lee;Il-Moon Ch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2
    • /
    • pp.241-256
    • /
    • 2023
  • Long-term droughts and frequent spring droughts are causing damage to crops, which are the means of livelihood of residents of the Yeoncheon region. To analyze the degree of drought in Yeoncheon, the ratio of monthly precipitation and discharge was reviewed through observed data,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treamflow drought index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drought analysis using precipitation and discharge observation stations near the Yeoncheon basin, it was analyzed that the drought that occurred in 2014 was common to all drought indices and that drought occurred continuously until 2019, either large or small. In the case of drought indices with a duration of 12 months, it is expected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drought would be severe as the drought period lasted 24 months. In order to manage drought damag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current state of drought. In order to cope with drought in advance, it is urgent to implement an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rivers and waterwork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duration of drought.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in Korea - Focusing on Drought Frequency Analysis in the Five Major Basins -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5대강 유역의 가뭄빈도분석을 중심으로-)

  • Lee, Joo-Heon;Jang, Ho-Won;Kim, Jong-Suk;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2
    • /
    • pp.1011-102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roughts from the magnitude perspective based on the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the theory of runs applicable to quantitative analysis of drought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dry spel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rought history in the five major river basins of South Korea to obtain the magnitude, duration and severity of drought,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has been made on historical droughts by estimating the return period using the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 gained through drought frequenc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turn periods for droughts at the regional and major river basin scales were clearly identified. The return periods of severe drought that occurred around the major river basins in South Korea turn out to be mostly 30 to 50 years with the years of the worst drought in terms of severity being 1988 and 1994. In particular, South Korea experienced extremely severe droughts for two consecutive years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4 and 1995. Drought in 2014 occurred in the Han River basin and was evaluated as the worst one in terms of severity and magnitude.

Drought assessment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precipitation deficit: focused on Han river basin (표준강수지수와 강수 부족량을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Kwon, Minsung;Sung, Jang Hyun;Kim, Tae-Woong;Ahn,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0
    • /
    • pp.875-886
    • /
    • 2018
  • This study evaluated drought severity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drought magnitude and precipitation deficit. A drought event was defined b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recipitation deficit was estimated using reference precipitation corresponding to the SPI -1. In previous studies, drought magnitude and duration were used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However, since these two variables have a largely linear relationship, extensibility of drought information is not great compared to the univariate frequency analysis for each variable. In the case of drought in 2015, return periods of 'drought magnitude-precipitation deficit' in the Seoul, Yangpyeong, and Chungju indicated severe drought over 300 years. However, the result of 'drought magnitude-du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valuating the return period of about 10, 50, and 50 years. Although a drought including the rainy season was seriously lacking in precipitation, drought magnitude did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severity of the absolute lack of precipitation. This showed that there is a limit to expressing the actual severity of drough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for 'drought magnitude-precipitation deficit' include the absolute deficit of precipitation information, so which could consider being a useful indicator to cope with drought.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roughts in Korea: Construc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 Kim, Bo Kyung;Kim, Sang Dan;Lee, Jae Soo;Kim, H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B
    • /
    • pp.69-78
    • /
    • 2006
  • The 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which is used to characterize precipitation extremes for specification of so-called design storms, provides a basis for evaluation of drought severity when storm depth is replaced by an appropriate measure of drought severity. So we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in this study. Monthly precipitation data over the whole Korea are used to compute SPI. Such SPIs are abstracted to several independent spatial components from EOF analysis. Using Kriging method, these spatial components are used to constitute grid-based SPI data set over the whole Korea including Jeju island with $6km{\times}6km$ resolution. After identifying main drought events, the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for these events over 32-year period of record are finally constructed. As a result, such curves show the similar shape with storm-based curves in the sense that the drought severity (or rainfall dept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drought area from the curves, but drought-based curves are different from storm-based curves in the sense that the drought severity decreasing rate with respect to drought area is much less than depth decreasing r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Hidden Markov Chain Model and Bivariate Copula Function (Hidden Markov Chain 모형과 이변량 코플라함수를 이용한 가뭄빈도분석)

  • Chun, Si-Young;Kim, Yong-Tak;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2
    • /
    • pp.969-979
    • /
    • 2015
  • This study applied a probabilistic-based hidden Markov model (HMM) to better characterize drought patterns. In addition, a copula-based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was employed to further investigate return periods of the current drought condition in year 2015. The obtained results revealed that western Kangwon area was generally more vulnerable to drought risk than eastern Kangwon area using the 40-year data. Imjin-river watershed including Cheorwon area was the most vulnerable area in terms of severe drought events. Four stations in Han-river watershed showed a joint return period exceeding 1,000 years associated with the drought duration and severity in 2014-2015. Especially, current drought status in Northern Han-river and Imjin-river watershed is most severe drought exceeding 100-year return period.

A Study of Drought and Climate Change Effect Based on Copula (코풀라 기반의 가뭄분석 및 기후변화 영향)

  • Kwak, Jae-Won;Kim, Duck-Gil;Noh, Hee-Seo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92-392
    • /
    • 2012
  •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재해는 수자원 관리 및 계획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나, 아직까지 가뭄 특성의 정량적인 거동 분석이나 기후변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뭄변수 분석을 통해 결합확률을 이용한 가뭄분석이 타당함을 보이고, 코풀라 이론에 의해 결합확률을 이용한 가뭄빈도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가 유역단위의 수문학적인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뭄 사상에 대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의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Clayton 코풀라 함수를 적용하여 가뭄의 결합확률을 고려한 빈도분석을 수행해 기존의 단변량 기반의 빈도분석 방법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결합확률을 이용하여 가뭄의 재현빈도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뭄의 심도-지속기간-빈도 곡선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IPCC의 SRES A1B 시나리오와 KMA RCM 기후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가뭄 시계열을 산정하고, 미래 가뭄에 대한 결합확률 빈도해석과 미래 가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까운 미래에 짧은 지속기간을 가진 심한 가뭄이 다발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SWAT Model Parameterization on the Predic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Including Flood and Drought Years (홍수 및 가뭄년의 유출특성이 SWAT 모형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 Kim, Da Rae;Lee, Ji Wan;Ahn, So Ra;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1-151
    • /
    • 2016
  • 하천 유역의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홍수 및 가뭄 기간에 유출의 규모와 빈도와 같은 유출특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문모형은 이러한 유역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예측을 위해 이용되며, 수문모형의 결과물은 수문순환 과정의 공간적 표출이나 매개변수 추정방법 등 다양한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영된다. 대부분의 수문모형 매개변수들은 해당 유역의 특성이나, 홍수 및 가뭄과 같은 극단적 유출상황에 따라 설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이는 모형의 신뢰성 있는 보정 및 유출량 모의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하천 유출량을 모의함에 있어서 홍수 및 가뭄년, 평년의 유출특성이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안성천 유역($1,658.7km^2$)을 대상으로 유역 내 3지점의 기상관측소(이천, 수원, 천안)를 대상으로 40년(1976~2015)동안의 일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다. 홍수년 및 가뭄년, 평년을 포함하는 선별된 기간에 대하여 다양한 목적함수($R^2$, NSE, RMSE, PBIAS)를 활용하여 각각의 조합된 기간의 극단적 유출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홍수년 및 가뭄년, 평년을 포함하는 선별된 기간에서의 유출량의 규모와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도출하고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