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동범위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1초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후방보행 재활운동이 관절의 가동범위 및 통증점수,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ward Walking Exercise on ROM, VAS score and Proprioception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atients)

  • 문대형;오두환;장석암;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22-529
    • /
    • 2016
  • 본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방보행을 포함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환자의 통증지수와 ROM, 고유수용성감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14명으로 하였으며 후방보행 집단(n=7)과 통제집단(n=7)으로 무선배정 하였고 4주간 각각의 재활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굴곡 관절가동범위는 운동 전 후, 후방보행 집단(p<.001)과 통제집단(p<.01)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신전 관절가동범위에서는 후방보행 집단(p<.05)에서만 운동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변인 모두 집단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통증지수에 대한 결과에서는 운동 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01) 집단 간 차이에서는 운동 후, 후방보행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고유수용성감각에서는 후방보행 집단(p<.001)과 통제집단(p<.05)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후방보행의 재활운동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의 가동범위 확보와 고유수용성감각을 회복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가 등 가동운동이 어깨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Shoulder Pain and Function)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6-403
    • /
    • 2020
  • 본 연구는 자가등 가동운동(STME,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이 어깨 기능장애 환자에게 어깨통증과 장애정도, 어깨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 기능장애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STME와 대조군으로 할당하였으며, 시각 상사척도와 어깨기능장애, 어깨의 가동범위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6명의 STME 중재 그룹은 폼롤러를 활용하는 방법과 네발자세에서 이용하여 굽힘, 폄을 자가로 실시하였고, 16명의 대조군은 전기치료 패드를 이용한 플라세보 효과를 활용하였다. 두 집단은 20분 동안 주당 3회를 4주간 실시하였다. STME군이 대조군 보다 통증과 기능장애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05), 어깨의 가동범위는 STME을 이용한 그룹이 플라세보 그룹 보다 굽힘, 벌림, 가쪽 돌림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하지만 폄과 안쪽돌림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p>0.05). 따라서 STME은 어깨통증과 기능장애 해결에 효과적이며, 향후 어깨 통증 환자에게 보다 쉬운 접근방법의 중재방법을 교육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회적 치료비용 또한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동영상 운동교육이 견관절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deo Exercise Education on Range of Motion, Pain and Quality of Life for Shoulder-joint Patients)

  • 임세미;염영란;이정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43-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견관절 환자를 대상으로 동영상 교육을 개발하고 관절가동범위,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G시 소재 대학병원의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한 견관절 환자 중 실험군 30명, 대조군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두 그룹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은 𝑥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는 관절가동범위의 내회전 정도와 통증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절가동범위의 굴곡, 외전 정도와 삶의 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영상 교육의 임상 적용은 외래 뿐만 아니라 병동에서도 간호사의 환자교육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간호 실무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Balance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 김두미;김보경;권오윤;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며 무릎 통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21)에게는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9)에게는 테이핑 적용을 하지 않았다. 두 군의 무릎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를 중재 전, 중재 1시간 후, 중재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받은 실험군에서 무릎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34.03, p<.001),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3, p=.006).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에 적용 가능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아급성 편마비환자의 어깨관절 Scapular Taping적용이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Muscle Activity, Pain,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이재남;임재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89-5697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아급성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거상 시 scapular taping 적용이 견갑골 상방 회전근과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눠 테이핑 전과 후의 상승모근, 하승모근, 전거근 그리고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견관절 관절가동범위와 통증,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근 활성도는 하승모근과 전거근에서 scapular taping 적용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 결과 견관절을 거상하는 동안 아급성편마비 환자들에게 적용한 scapular taping은 견갑골 상방회전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부가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관절 가동범위 향상을 위한 원격 모션 인식 재활 시스템 (A Home-Based Remote Rehabilitation System with Motion Recognition for Joint Range of Motion Improvement)

  • 김경아;정완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51-158
    • /
    • 2019
  • 재해로 인한 부상 및 만성 질환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신체적 장애를 가진 환자, 혹은 신체의 노화로 인하여 몸의 움직임의 범위가 제한된 노인과 같은 경우, 치료의 일종으로 병원에서의 재활 프로그램의 참여를 권장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신체의 거동이 불편하므로 보호자의 동행 없이 재활 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한 이동이 쉽지 않다. 또한, 병원에서는 각각의 환자 및 노인들에게 재활 운동을 지도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논문에서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집에서도 타인의 도움 없이 재활 운동이 가능한 원격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사용자 집의 스테레오 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으며, 모션 인식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재활 운동에 참여하는 동안, 시스템은 사용자의 특정 부위의 관절가동범위(Joint ROM; Joint Range of Motion)를 저장하여 신체 기능의 향상도를 확인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총 4명의 실험군이 참여하였으며, 총 3종류의 운동을 각 9회씩 반복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시작 및 마지막 운동의 관절가동범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12주의 어깨 안정성 회복 프로그램이 견관절 불안정성 야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12-week Shoulder St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nstability)

  • 윤진호;오재근;송기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77-286
    • /
    • 2021
  • 이 연구는 12주간 재활 운동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을 가진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어깨 불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재활 운동군 12명과 정상 운동군 13명을 선정하였다. 12주간 재활운동 참가 전·후 내·외회전 관절가동범위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등속성 근력은 이원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과 비-우위측 어깨의 경우 재활운동 전·후 내회전 ROM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Total ROM의 경우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 어깨에서 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등속성 근력의 경우 재활운동 후 내회전 근력이 각속도 180°/sec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2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 환자의 ROM, 근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한적 결과에 미루어 재활기간의 연장을 전제로 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손목 · 손가락 관절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 연구 (Reliability Study of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Program for Wrist and Finger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 박선하;박지혁;김종배;정영진;이주현;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1호
    • /
    • pp.79-92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손목과 손가락 관절가동범위 측정에 대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정상인으로 손목과 손가락의 움직임에 제한이 없는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각기와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총 11항목의 손목과 손가락 관절가동범위를 각각 1회씩 측정하였다.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값의 일치도와 불일치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44개의 항목 중 38개 측정항목에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측정값의 불일치 양상을 분석한 결과 3가지 항목에서 불일치 양상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관절가동범위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측정의 편리성, 정확성의 장점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martphone Inclinometer를 이용한 엉덩관절 가동범위 측정 신뢰도 연구 (Reliability Study on Hip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by Smartyphone Inclinometer)

  • 배세현;김기도;이영신;황진아;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9-400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폰 Inclinometer와 수동 고니오미터를 사용하여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엉덩관절 운동범위를 검사자 6명이 측정하여 검사자간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결과 높음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신뢰도가 보여, 스마트폰 Inclinometer를 이용한 관절 운동범위 측정값은 수동 고니오미터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of Movable Weir for River Safety Management)

  • 김필식;권형중;이재혁;최범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8-558
    • /
    • 2015
  • 하천 시설물은 홍수시 혹은 비상시 운영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이나 관리지침 등의 마련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가동보 시설물에 대한 비상시 운영 메뉴얼 및 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정비사업과 같은 대표적인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하천 이 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 설치 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각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며, 적절한 지침 없이 관행적인 가동보 방류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나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11월에는 하천 제수변 공사를 위해 전주천에 설치한 가동보를 임시적으로 방류하였는데, 하류측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가동보를 방류하였고, 경보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가동보 하류측 징검다리를 건너는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4년 5월에는 수원시에 위치한 원천저수지 여수로 둑에 설치된 가로 34m 높이 1.6m 크기의 가동보가 공기압축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보 높이가 낮아지면서 약 30분 원천저수지 하류의 원천리천에 갑자기 무리 불어나 산책로가 침수되고 인근에 산책하던 주민들이 휩쓸려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외에서도 가동보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 2008년 11월 호주에서는 하류측 상황 점검이나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시켜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상류측 홍수 수위나 하류측 역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단순한 수위조절 기능으로서 가동보의 방류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동보를 운영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은 국내의 경우, 조작실의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기립/도복 조작이나 원격 조작 기능과 같은 단순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가동보 방류시 하류측의 범람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 가동보 도복에 의한 방류량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2) 방류량에 따른 하류측 수위상승 범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3) 가동보 도복 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4)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