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는잎향유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ffects of Cultural Conditio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lsholtzia angustifolia Kitag.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Kitag.)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육에 미치는 재배조건의 영향)

  • Jeong, Eun-ah;Jeon, Ki-beom;Choi, Hye-min;Moon, Sang-a;Yeon, Su Ho;Lee, Seong Yeon;Kwon, Soon-tae;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6-56
    • /
    • 2018
  • 가는잎향유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꽃이 아름답고 향이 좋아 관상 및 약용으로 사용되나, 무분별하게 남획되기도 하여 자원의 보호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는 잎향유의 종 유지 및 재배방법 확립을 위하여 종자를 이용한 육묘조건을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은 파종용기, 파종립수, 토양종류, 추비농도 및 차광정도 등을 각 처리별로 2017년 6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8주간 수행되었다. 가는잎향유의 종자를 162, 200, 288구 트레이 및 사각분에 파종한 처리 중, 162구 트레이 처리구에서 엽면적과 지하부 생체중이 가장 넓거나 무거웠으며, 파종립수는 한 cell당 2립 처리구에서 초장이 안정적이고 엽면적이 넓었다. 파종용 상토로는 피트모스:펄라이트(3:1) 처리구가 코코피트:펄라이트(3:1) 처리구보다 생육에 효과적이었으며, 비료는 혼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발아율, 마디수, 엽록소 지수 등이 우수하였다. 재배관리는 추비는 hyponex를 농도별로 시비하였으나, 무처리구보다 생육에 효과적이지는 않았다. 또한, 재배시 차광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가는잎향유의 실생육묘에 유리하였다. 따라서, 가는잎향유의 육묘를 위해서는 피트모스:펄라이트(3:1) 혼용토에 비료를 $300-200-200mg{\cdot}L^{-1}$를 첨가한 토양을 162구 트레이에 충진하여, 한 cell에 2립씩 파종하고 무차광 조건에서 재배하며, 추비는 처리하지 않는 것이 생육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everal Treatments of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for Pot Cultivation (가는잎향유의 분화 재배를 위한 몇 가지 처리)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5-85
    • /
    • 2019
  •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는 꽃이 원줄기와 가지 끝에 조밀하고 아름답게 달리며, 전초에 함유된 정유성분의 향이 우수하여 관상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상소재로 이용가능한 가는잎향유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2018년 7월 2일에 유묘(4월 3일~5월 31일 육묘)를 포트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 트레이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이용하였다. 기비처리는 싱싱코트를 0, 10 및 20알로 처리하였고, 추비처리는 정식 후 4주 간격으로 hyponex (4-6-6)를 0, 1000 및 $2000mg{\cdot}L-1$로 3회 엽면시비 하였다. 차광정도 실험은 0, 55 및 75%로 광량을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왜화제는 diniconazole과 daminozide를 각 0, 1000 및 $2000mg{\cdot}L-1$로 정식 후 4주차에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비와 추비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생육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절간장은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억제되었으며,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측지수 및 엽수는 기비 처리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며, 추비는 측지수와 엽수가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기비와 추비 처리는 개화율을 비교적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차광정도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경직경, 화서수, 화서장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무차광과 차광처리 간 측지수와 엽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왜화제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절간장을 감소시켰다. Daminozide 처리시 측지수와 엽수는 무처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지상부의 생체중은 엽수와 측지수에 비례하여 무거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2000mg{\cdot}L-1$ 농도 처리시 개화율이 100%에 도달하였다. Diniconazole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는잎향유를 분화재배를 하기 위해서는 기비와 추비는 처리하지 않고, 무차광 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왜화제는 daminozide $2000mg{\cdot}L-1$로 처리하는 것이 측지수, 엽수 및 개화율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분화 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Jang, Chang-Seok;Yang, Sun-Gyu;Jang, Hyun-Do;Lee, Ro-Young;Park, Min-Su;Kim, Ki-Hong;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8 no.1
    • /
    • pp.35-63
    • /
    • 2015
  • A florist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12 the Woraksan National Park (N $36^{\circ}46^{\prime}{\sim}36^{\circ}59^{\prime}$, E $128^{\circ}02^{\prime}{\sim}128^{\circ}19^{\prime}$) to characterize the flora of the region. Especially, we divided the surveyed region into nine representative collection areas based on floristic compon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The 41 survey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 815 taxa: 116 families, 429 genera, 717 species, 4 subspecies, 78 varieties and 16 forms. In this study, 80 taxa were firstly recorded from this region.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2 taxa, and the fifteen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as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the taxa with the higher rank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one and 56,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s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Spiraea trichocarpa, and Aster tataricus at a latitudes higher than that of Woraksan National Park. Moreover,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Woraksan National Park is the species diversity center for Asarum koreanum, Elsholtzia angustifolia, and Allium linearifolium in the central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In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54 taxa were recorded.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nd Classification Type of Flora in the Bongamsa(Temple) Area, Mungyeong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 Oh, Hyun-Kyung;Han, Yun-Hee;Choi, S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4
    • /
    • pp.447-469
    • /
    • 2011
  • The flora of Bongamsa (Temple) area, Mungyeong were listed 552 taxa; 99 families, 303 genera, 468 species, 1 subspecies, 70 varieties and 13 forms. Based on the rare plants (IUCN), total 12 taxa; Crypsinus hastatus (Polypodiaceae), Eranthis stellata (Ranunculaceae), Cnidium tachiroei (Umbelliferae), Monotropa hypopithys (Pyrol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Ericaceae), Salvia chanroenica (Labiatae), Gastrodia elata (Orchidaceae), etc. Based on the endemic plants, total 11 taxa; Asarum chungbuensis, Aconitum pseudolaeve, Corydalis maculata, Lonicer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Saussurea seoulensis, etc. Based 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8 taxa (8.7% of all 552 taxa of vascular plants); 2 taxa in class V, 5 taxa (Cimicifuga heracleifolia, Wistaria floribunda, Elsholtzia angustifolia, etc.) in class IV, 10 taxa (Betula davurica, Spiraea chinensis, Acer barbinerve, Vaccinium koreanum,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etc.) in class III, 7 taxa (Potentilla dickinsii, Viola orientalis, Ostericum melanotilingia, Melica nutans, Veratrum parulum, etc.) in class II, 24 taxa (Camptosorus sibiricus, Cephalotaxus koreana, Betula schmidtii, Ilex macropoda, Tilia amurensis, Triadenum japonica, Lobelia sessilifoli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naturalized plants, total 21 taxa (Silene armeria, Oenothera lamarckiana, Symphytum officinale, Erechtites hieracifolia,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3.8% of all 552 taxa of vascular plants. The flora of importance in the Bongamsa, rare plants were Crypsinus hastatus, Eranthis stellata, Gastrodia elata, Monotropa uniflora, Monotropa hypopithys, Rhododendron micranthum and Cnidium tachiroei, Iris ensata var. spontanea in intermediate marsh and alien species classify into planted species of Bongamsa, area for investigation of afforestation and artificial forests, introduced of naturalized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