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越境

Search Result 75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lin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cne Distribution in the Jaw and Emmeniopathy (월경병과 하악부 면포 발생과의 관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Yu Hyun-jung;Lee Seung-deok;Choi In-hwa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17 no.2
    • /
    • pp.87-93
    • /
    • 2004
  • Objective: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cne distribution in the jaw and the emmeniopathy. Methods: The clinical studies were made on 43 cases of acne vulgaris who visited to Department of Dermatology, Dongguk University Gangnam Oriental Medical Hospital during from August, 2002 to July, 2004.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 group had the emmeniopathy. B group didn't have the emmeniopathy. In the acne grade and the number of acn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A and B group statistically. We used the statical methods of student's t-test on the number of acne and wilcoxon rank sum test on acne grade. Results: The mean age was 25.8${\pm}$4.80 in A group and 27.6${\pm}$5.68 in B group. There were painful menstruation, quality of thickness, menstrual cycle disorder, menstrual amount disorder, dark purple color, premenstrual acne in A group with the emmeniopathy. The acne grade was 1.69${\pm}$1.28 in A group, 1.43${\pm}$1.28 in B group. The number of acne was 3.66${\pm}$3.15 in A group, 4.36${\pm}$4.07 in B group. P-value was 0.52 in acne grade and 0.25 in the number of acne. We investigated no difference between A and B group statistically on acne grade and the number of acne. Conclusions: We needed the further study about the factor which affect on acne distribution and emmeniopathy.

  • PDF

Correlation between Salix Communities and Water level in Namgang-Dam (남강댐의 운영수위와 버들류 군락의 상호관계)

  • Jung, Hea-Reyn;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7-771
    • /
    • 2012
  • 남강댐은 평지에 위치하여 댐 높이가 낮고 댐운영 수위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계획홍수위 아래 완경사 비탈면이 갈수기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장기간 노출되어 5월 전후에 발아하는 식생 특히, 버들류가 이입, 성장하여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현재 형성된 대규모의 버들류 군락은 댐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솎음질(self-thinning)에 의해 고사한 버들류의 유목으로 인하여 댐운영에 많은 애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들류 군락 형성과 댐운영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버들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남강댐 건설 직후인 1979년, 2003년 2010년의 항공사진과 수심측량에 의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버들류 군락의 확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방형구를 설치하여 버들류의 밀도 및 흉고직경을 조사하고, 성장추에 의한 수령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는 총 17종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선버들(Salix nipponica), 버드나무(Salix nipponica), 왕버들(Salix gracilistyla), 등으로서 선버들(Salix nipponica)이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약 9년~10년, 흉고직경 10~15cm, 수고 7~8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댐운영수위와 버들류의 수령을 분석한 결과 2002년 5월 댐수위 38.5~41.0m 일 때 연안대의 수면부근에서 1단계로 이입,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및 2005년 5월경에 댐수위 36m일 때 2단계로 이입, 정착하여 현재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강댐 버들류 군락의 형성은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수위 부근의 습지에서 발아환경이 최적인 온도와 저토환경에서 일시에 이입,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강댐과 같이 평야부에 위치한 댐에서 댐운영 및 댐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버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운영 수위를 최대한 높여 현재의 버들류 군락에 의하여 발아, 성장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댐운영 수위를 낮추어 발아해도 홍수기 동안 장기간의 침수에 의하여 고사되도록 하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한국근해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연령과 성장)

  • CHA Byung-Yul;PARK Yeong-Chull;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1 no.4
    • /
    • pp.529-534
    • /
    • 1998
  •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Vertebrae of the fish had relatively clear annuli on their surface. The opaque zone of vertebrae was formed once a year between March and April. The oldest fish observed in this study was 8 years old for females and 5 years old for m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us (R) of vertebral centrum and total length (L) was as follows: L=12.7+4.8R for females and L=9.8+5.6R for m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W) was as follows : $W=0.0089L^{3.0311}$ for females and $W=0.0329L^{2.7752}$ for males. Growth in length of the fish was expressed by the von Bertalanffy's equation as $L_t=127.60(1-e^{-0.1228(t+0.3851)})$ for females and $L_t=82.23(1-e^{-0.1832(t+0.6431)})$ for males.

  • PDF

Cymbidium 'Honey Girl' with White Color and Medium Plant Size (중형 백색계 다화성 심비디움 'Honey Girl' 육성)

  • Kim, Mi-Seon;Cho, Hae-Ryong;Lee, Hye-Kyung;Lim, Jin-Hee;Choi, Sung-Yul;Kim, Young-Ji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291-294
    • /
    • 2008
  • Cymbidium 'Honey Girl' was developed in 2005 by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is cultivar came from cross between Cym. 'Yakoto' and Cym. 'Marian Simplicity' in 1995. Fifty seven seedling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1999, a line was selected by its performance such a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th which was named 'Wongyo F1-13'. The line code '9521928'($V_2$) had uniformity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The selected line was named as 'Honey Girl' after second characteristics test. This cultivar had white color ('WN 155B') and medium sized leaves and flowers (average leaf length is about 57 cm and width of flower is about 7.7cm) with many flowers and erect flower stalks. Blooming begins from the end of November to December under the normal culture conditions.

A New Cultivar Cymbidium 'White Princess' with White Color and Vigorous Growth (생육이 강한 대형 백색계 심비디움 'White Princess' 육성)

  • Kim, Mi-Seon;Cho, Hae-Ryong;Lee, Hye-Kyung;Lim, Jin-Hee;Choi, Sung-Yul;Kim, Young-Ji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295-298
    • /
    • 2008
  • A new Cymbidium cultivar 'White Princess'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05. 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Cymbidium 2113', light purple colored petal and medium plant sized variety, and 'Lucky Rainbow Randevous', a dark purple petal with red lip and large type variety. The ninety progenie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2000, a line (9526747) was selected and multipliticed after test of it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ing habit. After evaluation trial for two growing seasons, the selected line was named as 'White Princess'. The 'White Princess' has white petals (WN 155A) with red lip (RP59D) color and large sized leaves, and flowers (leaf length is about 88 cm and flower diameter is about 8 cm) with semi-erect flower stalks. Blooming started from December to January in optimal culture conditions. High temperature (more than $30^{\circ}C$) and low light intensity(less than 10,000Lux) should be avoided for the appropriate grow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potranspiration data in Muan Flux tower (무안 증발산량 관측소 운영 결과 비교 분석)

  • Oh, Sung Ryul;Son, Kyung hwa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4-244
    • /
    • 2017
  • 2015년 국토교통부(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는 물 순환 과정의 규명에 이용되는 증발산량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무안지역에 플럭스 타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무안 플럭스 타워는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 자료를 관측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안 관측소에서 생산된 자료의 정상성 검토를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운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무안관측소의 2015년도 연 증발산량은 615.8mm(연 강수량 대비 56.0%)로 나타났으며, 2016년도 연 증발산량은 721.5mm(연 강수량 대비 49.5%)로 나타났다. 연 증발산량은 전년대비 약 100mm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강수량 대비 비율은 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 대비 2016년 무강우일수는 6일 증가 하였으나, 실제 순복사에너지는 $18,320w/m^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 차이는 2개년 평균치의 약 2% 내외 수준으로 예년대비 순복사에너지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적 요인에 의해 정량적 크기가 결정되는 증발산량의 특성상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2016년의 경우 전년대비 증가한 강우의 영향이 지배적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2015강수량 : 1,099mm, 2016강수량 : 1,457mm). 월별 증발산량 비교 분석결과 정량적인 차이는 존재했으나 전년과 마찬가지로 1월부터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8월에 최대 증발산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5월과 6월이 증발산량이 역전되는 양상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부지역 모내기 시기인 5월경 관개용수(Irrigation water) 공급에 따른 유입원의 증가와 함께 5월 대비 6월(장마철) 흐린날(Cloudy condition) 증가에 따른 상대적인 순복사에너지(5월: 약20만$w/m^2$, 6월: 약17만$w/m^2$)의 감소가 주 원인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무안 증발산량 자료는 추가적인 경년변화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국가통계자료로써 유의미한 자료로 판단되며, 향후 증발산량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관측망의 확대를 통해 국가 이수관련 정책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ainfall-Distribution-Runoff Rate During the Flood Gate Outflow Period After Completion of Daecheong Dam Construction Project (대청댐 준공이후 수문방류기간중 강우량-강우분포-유출율 분석)

  • Kang, Kwon-Su;Lee, Kyu-Ta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8-358
    • /
    • 2018
  • 대청댐은 준공이후 현재까지 37년의 수문자료가 축적되었으며 총 43회의 수문방류를 하여 연간 1.16회의 수문방류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수문방류와 지속적으로 최신화한 K-water 저류함수법을 이용하여 수문방류기간중 총강우량 현황과 강우량에 따른 11개의 강우분포형(증가, 감소, 증가감소, 균일, 감소증가, 증가계단, 감소계단, Huff1, Huff2, Huff3, Huff4)의 현황분석, 강우량별 분포형별 유출율을 분석하여 금년도 및 향후 발생이 예상되는 홍수시 수문방류결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홍수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홍수기 초반에는 장마전선으로 인한 강우가 원인이며, 장마가 끝난 7월말~8월경에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최근 엘리뇨 및 라니냐 현상의 출현에 따른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돌발호우의 증가로 홍수관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가뭄발생이 잦아 우리나라 전역에 가뭄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홍수기에도 많은 강우가 내리지 않아 2013년 이후에는 수문방류 실적이 전무한 편이다. 홍수로 인한 재해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동반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재해중의 하나이며, 재해예방을 위한 홍수예보는 강우예측과 유출해석으로 나뉠 수 있다. 강우예측은 정교한 강우모형과 기상전문가의 몫이며, 정확한 유출해석은 수문학자들에 의한 연구과제였다. 우리나라 홍수유출해석에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저류함수법이며, 1961년 일본의 Kimura에 의해 창안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한 다각도의 모형개선을 통해 수차례 모형 성능 향상이 되었다. 그동안 축적된 홍수수문자료를 바탕으로 대청댐 준공이후 수문방류기간중 강우량-강우분포-유출율 관계를 통해 강우량별, 강우분포별, 매개변수별, 유출율, 홍수조절율에 대한 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향후 발생가능한 홍수관련 업무에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수문방류기간중 호우원인(장마전선, 태풍, 국지성홍수 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호우사상별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해당 호우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GnRH Analogues in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자궁내막증환자에 투여된 GnRH Analogues의 치료효과 및 부작용)

  • Cho, Soo-Hyun;Kim, Sun-Haeng;Lee, Yu-Il;Park, Ki-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4 no.2
    • /
    • pp.179-185
    • /
    • 1997
  • $23{\sim}40$세 (평균 연령 31.6세)의 자궁내막증 환자35명 (1기 7명, 2기 7명, 3기 14명, 4기 7명)을 대상으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oserelin) 3.6 mg을 한달 간격으로 6개월 복부의 피하에 이식한 후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달 호르몬 검사와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투여 1개월 후 혈청 estradiol농도는 30 pg/mL이었고 이후 치료중 $10{\sim}20$ pg/mL를 유지하였으며 투여를 중간한 1개월 후 50 pg/mL로 증가하였다. 혈청 LH농도는 치료 중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투여를 중단한 후 증가하였다. FSH는 투여 1개월 후 감소하였으나 2개월후부터 계속 치료전과 같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혈청 CA-125치는 19명중 10명에서 치료전에 35 mIU/mL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치료 2개월 후부터 모두 정상으로 감소되었다. 월경곤란증은 치료 3개월째 완전히 소실되었고 성교통은 치료가 끝날 때까지 20%의 환자에서 지속되었다. 백혈구수, 혈색소, 전해질, 단백질, 빌리루빈 및 간효소는 치료 중 모두 정상이었다. 혈압과 체중도 치료전, 치료중에 변화가 없었다. 투여후 86%의 환자가 안면홍조를 63%에서 질건조증을 20%가 두통, 우울을 호소하였다. 이와 같은 부작용은 투여를 중단한 1개월 후 모두 소실되었으며 부작용 때문에 투여를 중단한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GnRH-a는 난소의 estradiol생산을 완벽하게 중단시키고 골반증상을 완하시켜 자궁 내막증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안면홍조와 같은 부작용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향후 호르몬 보충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사료된다.

  • PDF

The Research of Corel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through Clinical Research of the Patients of Menstrual Pain (임상연구를 통한 월경통 환자의 사상체질, 변증간의 상관성 연구)

  • Kang, Seok-Hwan;Jeon, Soo-Hyung;Lee, In-Seon;Kim, Kyu-Kon;Na, Young-Ju;Kim, Jong-Won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28 no.4
    • /
    • pp.320-329
    • /
    • 2016
  • Objective We research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menstrual pain and Korean medical diagnosis - Sasang constitu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 through clinical research of the patients of menstrual pain. Method Trial gruop who consists of women with menstrual pain is 193 people, and control group who consists of women without menstrual pain is 101 people. We producted analyzing of their Sasang Constitution and symptom with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DSOM). This study used chi-square test, two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Wilcoxon's rank sum test, Kruskal-Wallis test,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In trial and control group, Soeumin was the largest and Soyangin was the least. There was'n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rial and control group. 2) In DSOM, deficiency of blood, stagnation of qi, blood stasis, coolness, spleen, kidney and phlegm pathogenic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menstrual pain and Korean mdical diagnosis - Sasang constitu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Correlations of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s between Menstrual Symptoms and Whole Body Symptoms (월경통(月經痛) 증후(證候)와 전신 증후(全身 證候)의 허실(虛實) 상호 관련성 연구)

  • Hwang, Jae-Ho;Jeong, Hui-Jin;Lee, Geon-Seok;Yun, Yo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5 no.1
    • /
    • pp.47-55
    • /
    • 2012
  • Purpose: Dysmenorrhea mostly depends on the causative factor, which usually falls under the categories of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al theories and diagnosis. Thus, we investigated menstruation symptom and sign related to dysmenorrhea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Methods: We investigated menstruation symptom and sign related to dysmenorrhea in total 14 gynecology-medical books including the book ${\ll}$Exemplar Of Korean Medicine (Dongui Bogam)${\gg}$ and whole body symptom and sign identifying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at the same time. A survey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argeting women of childbearing age. Results: Total of 14 gynecology-medical books have mostly narrated pre-menstrual and mid & post-menstrual pelvic pain depending on the time of its manifestation for identifying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Dysmenorrhea in pre-menstrual period belonged to Excess pattern and dysmenorrhea in mid & post-menstrual period belonged to Deficiency pattern. Among a total of 343 women, 196 subjects suffered from dysmenorrhea. The number of dysmenorrhea in pre-menstrual period (Excess pattern) was 116 people and in mid & post-menstrual period (Deficiency pattern) was 80 people.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of dysmenorrhea in menstrual perio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of whole body symptom and sign in the statistics(P-value < 0.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e-menstrual and mid & post-menstrual pelvic pain depending on the time of its manifestation is preferentially utilized as symptom and sign related to dysmenorrhea identifying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