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新宗教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aesoonjinrihoe in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한국 신종교 운동으로서 대순진리회)

  • Kim, David W.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4_1
    • /
    • pp.145-208
    • /
    • 2014
  • 아시아 국가들은 근대사에 들어 서양 제국주의와 식민지주의로 인해 정치·사회적 과도기를 경험하였다. 지역종교들도 이러한 영향에서 예외는 아니었는데 19-20세기에 나타난 신종교들이 그 좋은 사례들이다. 한국도 이러한 지구적인 현상에 포함되었다. 주변국들의 문화적 계몽주의와 조선왕조의 쇄국정책 사이의 정치적 혼란은 방향 감각 없는 국가적 위기를 초례했고, 정치·사회적 부패와 국가적 불안정은 중·하류층 시민들로 하여금 고통스러운 삶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진리나 믿음을 찾게 동요하였다. 근대사에 근원을 둔 대순진리회는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성공적인 신종교일 뿐 아니라 현대사회의 기존 종교들에게도 많은 도전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이 신종교운동의 근원은 어디에 있을까? 그들의 교리나 가르침은 어떤 것일까? 다른 신종교적 현상들과 어떻게 구별될까? 이 논문은 창시자인 강증산의 역사적인 출현과 업적을 "성취관념"에서 분석해 볼 뿐 아니라 대순진리회가 기존의 유교, 불교, 도교의 가르침을 단순히 혼합한 것이 아니라 음양합덕, 신인조화, 해원상생, 도통진경의 특유한 가르침들은 미륵사상, 천지공사, 인존사상과 함께 그들의 최고신인 구천상제가 후천세계를 위해 성취한 완전한 미션을 반영하는 창조적인 사상임을 논증할 것이다.

Typology and the Features of Films about New Religious Movements (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

  • Park, Jong-ch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179-218
    • /
    • 2019
  • This article examines some important issues in films about new religious movements (NRMs) that express and represent NRMs in sensationalistic ways and criticize them as immoral and antisocial cults. I presented a typology to analyze films about NRMs from the perspective of marginalized religions separated from established religions and also as alternative religions that replace the established religions. In recent times, films about NRMs have changed from being social criticisms that represents NRMs as perpetrators of brainwashing and the need for deprogramming to that of faithful participation and empathetic reflection. Films about NRMs that utilize empathetic reflection, including Wild Wild Country (2018), go beyond the normative, single-perspective formula to enable insiders to conduct self-reflection and outsiders to empathize through openness, varied perspectives with multi-faceted composition and polyphony. In contrast, films about NRMs that adopt the perspective of faithful participation, including The Road to Peace (1984), present a new visual way to unravel the voices of silenced subalterns with alternative religious visions and those who needed relief from the marginalization due to alienation or exclusion from established religions. In the Korean context, these visions are expressed as 'the great transformation into the creation of a paradise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or a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Sangje and Samkye: The Cosmology of Daesoonjinrihoe in East Asian New Religions (상제와 삼계: 대순진리회의 우주론과 동아시아신종교)

  • Kim, David W.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5_1
    • /
    • pp.189-229
    • /
    • 2015
  • 동아시아의 19세기는 근대화 물결 안에서 변화의 시대였다. 중국, 한국, 일본은 식민지적 압박가운데 정치적 위기를 대면하였고 선진 문물과 기독교는 사회, 문화, 종교, 사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신종교운동도 각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와 철학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의 근본적인 사상은 일반적으로 불교, 유교, 도교, 신교, 샤머니즘과 연관되어 있었다. 근대한국이 정치적 혼란을 겪을 때 여러 신종교들이 1860년을 전후로 나타났다. 나중에 천도교가 된 동학, 증산계, 대종교, 원불교 가운데 증산계 계통의 대순진리회는 사회-종교적인 영향력 차원에서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신종교 운동이다. 그들은 상제가 스스로 구천에서 혼탁한 삼계를 회복하기 위해 직적 내려왔음을 따르고 있다. 그렇다면, 구천상제에 대한 가르침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을까? 대순진리회의 근본적인 우주관은 무엇일까? 또, 이것이 일본의 유명한 천리교와 중국(대만)의 대규모 일관도와 어떻게 구분될까? 이 논문은 청계탑의 상직적인 콘셉트 안에서 대순의 상제관과 우주관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대순의 경전격인 전경, 현무경, 예화들인 심우도, 사신도, 12지신도 등을 탐구할 것이면 이 한국의 대표적인 신종교의 우주관을 천지공사와 후천의 가르침과 연관하여 논리적으로 접근해석 할 것이다.

Comparison of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증산계 신종교와 유교, 도교의 죽음관 비교)

  • Shin, Jin-si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8
    • /
    • pp.201-243
    • /
    • 2018
  • Understanding the theory of how a religion accepts the perspective on death is a prerequisite to grasp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such religion. Furthermore, contemplating the perspective on death, itself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contemplation provides an insight on how religion has, currently is and how it would influence the practical life of the human race. This current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By comparing the perspectives on death, this study seeks to conclude the similarity and discrepancy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and identity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and the social role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How does New Religions of Jeungsan preach afterlife? This question implies varieties of questions including: In what shape or form does human exist in afterlife?; Does human maintain their original identity in afterlife?; What happens to relations with family members in afterlife?; What is one's role in afterlife, and what would one experience in afterlife? or Does soul transmigrate or are reborn? This current study compare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one by one with Confucianism and Taoism.In general, this current study was conducted with a non-religious methodology. Death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domains: the psychological domain explaining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awareness upon encountering death; the philosophical-religious domain explaining the death through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ncept; and the socio-cultural domain explaining death through the social ceremonies upon death.This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domain of the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with a comparison of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t is indispensable to explain the five key elements of Hon(魂), Baek (魄), Shin(神), Young(靈) and Seon(仙) that construe death.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mposes a multi layer of acceptance and overcoming. This current study complements the problems and limits of previous studies by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and Taoism. Throughout this process, this current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key elements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Deasunjinrihoe, and identify the aspects of each key element. With the sophisticated discussion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ovid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with clarity, this current study will provide grounds for future studies to extract, in detail, the aspects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n further subjects including: discussions on death such as rituals for death, treatment of bodies, funerals, educating death, euthanasia, or suicide; discussions on the existence of hell; discussions on psychological aspects of ones who encounter death; or discussions on rebirth of those who died during the creation era. This current study will provide an overview on what kind of perspective on death does those who are faithful to New Religions of Jeungsan have and currently are living their life with.

日本の新宗教運動におけるヒーリングとスピリチュアリティ -<いのち>のコノテーションとその現代的限界性-

  • 樫尾直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203-216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근·현대의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치료문화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일본의 영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마음과 영혼에 상당한 비중을 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마음의 회복'이라고 불리는 일정한 의식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자아의 변화이다. 본인은 일본의 치료문화의 배경 안에서 그 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일본의 전통적인 치료문화를 계승하여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일본 영성의 특징은 자아와 훌륭한 삶 사이의 연계감이며, 일본의 치료문화의 특징은 바로 그 영성에 바탕을 둔 신념과 의식에의 관심을 통한 삶과의 교섭에 중점을 두며, 일본과 같이 풍부하고 포스트모던한 사회 안에서 삶의 활력을 느끼기에 불가능하고 일본의 보통의 삶 안에서의 죽음에 대한 경험의 부재라는, 그래서 그것이 없이는 생동감 있고 명랑하게 살 수 없는 그것의 현대적 한계성을 지적하면서 결론을 위해 이 주제를 세 가지 점에서 다룬다. 1.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역사 2. 그 치료와 영성 3. 생기 있는 영성

  • PDF

A Comparative Study on a New Religion, the Idea of the Gaebyok (신종교의 개벽사상 비교)

  • Shin, Jin-si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6
    • /
    • pp.81-1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overall features and its meaning of the Gaebyok(開闢) through the intercomparison of the Gaebyok idea that is the core idea of a newly risen modern religion in Korea. Limitation of most studies so far is that they have stayed in the fragmentary study on the Gaebyok idea of each new relig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first of all, the Gaebyok idea was studied from a philosophical point encompassing the cosmological view of time in the book of changes. And based on this methodological foundation, with organizing the existing result of study,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in the Gaebyok idea of a posteriori Donghak(東學), Right I Ching (正易), Won Buddhism(圓佛敎), and Kangjeungsan(姜甑山) was investigated respectively. An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Gaebyok idea,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were organized. The founders of new religions thought that a great change in the universal and natural luck was made before and after the point of their living.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of revolution theory is the concept to explain the aspect of trans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revolution(運度) of the cosmological nature that returns to the beginning, and in the idea of the posterior Gaebyok, this content and concepts is contained as it wa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of revolution theory in an apriority and a posterior like those becomes appeared in some preaches of Suun, Ilbu, Sotaesan and Jeungsan. An apriority in the Gaebyok idea of new religion is the world of crisis that represents the limited condition of human being, and a posterity means the religious ideal world realized through the power of the absolute being or a dramatic universal change from that limited circumstances. So the Gaebyok ida is a kind of an universal eschatology and religious view that expects the coming of ideal worl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 universal eschatology is a kind of a view of time, it inevitably has an issue how long time apriority and a posterity included in it have. And especially, it becomes to premise the content how the social condition and human condition change in an apriority and a posterity. According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iew of time in the cosmological level, the content of answers that each newly risen religion discloses was listed and analyzed with comparison. It can be considered that Suun took charge of a mission to deliver the message through being possessed of a god in heaven who is able to be called a transcendental existence, Ilbu disclosed the coming of the world of a posterity beyond an apriority through the Book of Changes(易學), Jeungsan proclaimed himself as the absolute being who could make such a posterity and bring it, and Sotaesan proposed the Gaebyok of mind in order to meet with the world of a posterity and to live in that era.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ew Religious Thought Generated by Indigenous Korean Religions from a Subaltern Perspective: Focusing on Choi Je-woo, Kang Il-sun, and Park Jungbin ('서발턴(subaltern)'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생 신종교 사상 - 수운, 증산, 소태산의 비교를 중심으로 -)

  • Park, Jong-ch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7
    • /
    • pp.141-190
    • /
    • 2021
  • In early modern Korea, the founders of three main-stream indigenous new religions, Choi Je-woo (崔濟愚), Kang Il-sun (姜一淳), and Park Jungbin (朴重彬), were all ruined yangban, who could no longer maintain the social dignity of yangban. Prior to their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they earned livings as rural teachers, peasants, merchants, and fortune-tellers. They were marginalized for having declined from upper-class nobles to lower-class people. Due to their subalternal status, they religiously represented the inexpressible aspirations and resentments held by various subalterns. The millennial movements of marginal relig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posed and deviated from the fetters of the established order, but they did not propose a new alternative order to replace it. Unlike these millennial movements, Choi Je-woo, Kang Il-sun, and Park Jungbin all proposed utopian visions of post-subalternal alternative religions that systematically presented and practiced new alternative worldviews characterized by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The world they longed for was one wherein anti-subalternal social regulation were overthrown, the oppression of various subalterns end, and the established social order was replaced. In this article, I have argued that three main-stream indigenous Korean new religions, Donghak (Eastern Learning), the Jeungsan-inspired religious movements, and Wonbulgyo (Won Buddhism) are utopian alternative religions. I made this argument by analyzing some aspects by which they represented subalterns and offered subalterns a new religio-social status.

대순사상의 종교 문화 조화정신

  • 왕쭝위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2
    • /
    • pp.87-131
    • /
    • 2014
  • 한국은 백 년 이래로 군사적 침략과 경제적 대변혁을 맞았으며, 또한 종교와 문화적 측면에서 전통의 중흥기와 서학의 유입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주변 국가의 국민들이 배울 만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연관하여 대순진리회가 역사를 계승하고 창신을 이루어나가는 측면의 문제는 정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지는 '음양합덕, 신인조화, 해원상생, 도통진경'이다. 특히 대순진리회는 해원상생 사상으로 조화정신을 집중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해원은 고대 단주로부터의 원을 푸는 것에서 시작되며, 인류가 근본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원한을 풀어야만 행복하고 안락한 시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역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해원을 푸는 방책으로 제시하는 상생은 당시의 갑오동학혁명이나 역사상 많은 종교에서 원한을 해결하는 방법과 구별되는 것이다. 과거에 있어서는 상극의 방법으로 원한을 해결하여 왔으나, 상극의 방식은 오히려 새로운 원한을 더욱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현대에 있어 원한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악을 선으로써 대하는 것이라고 한다. 증산 성사 및 그 후학들은 사회의 질서를 새롭게 세우는 문제와 전통사회에서 인간 간의 조화를 방해하고 원한을 용인하는 구습을 개조하고 원을 소멸하는 문제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러한 변혁은 평등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다. 증산께서는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민족과 국가 그리고 종교 간의 조화를 실현해야 할 것을 강조하셨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는 매우 폐쇄적인 상황에서 서양 국가의 침략을 받던 시기였는데, 증산 성사께서 미래의 세계는 마땅히 화합을 이루고 서로의 장점을 배우는 세계가 될 것임을 예견하셨다는 것은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증산의 후천개벽사상 역시 조화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후천개벽사상은 전통적 참위를 현대적으로 개조한 것으로 민중을 적극적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증산께서는 각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표하셨고, 또한 매우 진지한 태도로 타 종교로부터 자신이 주창하는 사상과 관련한 자원을 흡수하셨다. 동양의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를 가장 중요한 종교와 문화형태로 인정하시고, 그 삼교의 내용을 두로 포용하셨으며, 심지어 예수교와 서양문화까지 모두 아우르는 태도를 보여주셨다. 서양의 문화 역시 증산께서 추구하시는 신세계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증산께서 당시 세계의 역사적 방향에 대해 통찰하고 있었고 이 통찰 속에서 종교 간의 관계가 조화롭게 되어야 함을 주창했음을 말해 준다. 대순사상에는 민간 무교의 내용 역시 풍부하게 들어있다. 부뚜막신, 사명, 아표신, 마장군, 백의군왕, 황천신 등 민간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신령숭배의 내용을 흡수했을 뿐만 아니라, 주문과 부를 태우는 법술로 신명과 관련된 내용을 표현하고 있으며, 칠성과 관우의 신앙까지 수용하고 있다. 또한 증산 성사는 동학과 같은 신종교까지 받아들이셨다. 증산께서는 동학혁명의 비참한 최후를 완화시켰던 위대한 역사적 공적을 이루셨으며, 신종교 운동의 사회적 형태를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내력을 지닌 교도들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였다. 이로 볼 때 결국 증산께서 주창한 대순사상은 사람들 간의 충돌과 모순을 소멸시키고, 조화와 상생의 사회 환경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