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宗教多元主義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oward An Integrative Pluralism of Religions: Embodying Yijing, Whitehead, and Cobb

  • Cheng, Chung-ying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7
    • /
    • pp.239-279
    • /
    • 2004
  • 이 글에서 나는 세 단계의 다른 종교이해 방식을 구분하여 세 가지 형태의 종교다원주의 정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그 첫째는 차별적 다원주의인데, 현존하는 혹은 앞으로 그 모습을 드러낼 종교들 사이의 차별성을 그대로 인정하는 형태이다. 둘째는 상보적 다원주의로써 현존하는 또는 앞으로 출현할 종교들은 각각의 종교적 실천과 그 믿음이 그 내용상 상호보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는 통합적 다원주의이다. 이 관점은 모든 종교를 인류와 인간의 세계이해의 전체론적 발전 과정의 필수적 부분들로 보는 것이다. 이 가운데 통합적 형태의 다원주의가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관점은 각각의 다른 종교들에게 그것 고유의 이질적 역사적 관점에 의한 하나의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관점은 또한 각기 다른 종교들의 차이점들을 창조적 전체와 연관시켜보는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통찰력을제공함으로써 그 종교들이 인간의 앎과 실천에 가장 중요한 비젼과 관련하여 각각이 궁극적으로 적절한 위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에 배우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존재로 서로 이해되고 격려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교적 통찰력의 면에서 나는 상호보충적인 다원주의 이론을 발전시킨 존 콥과 데이비드 그리핀의 업적에 심심한 고마움을 전한다. 그러나 동시에 각 종교의 독특성은 유지하면서도 상대주의는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이 상호보충적인 다원주의가 화이트헤드의 창조성 철학의 관점에 의해 부분의 개성을 유지하면서도 전체를 감싸 아우르는 통합적 다원주의로 반드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하는지를 강조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나는 또한 통합적 다원주의 관점의 종교적 진리와 믿음의 고양이 중요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로 연관된 네 가지 주제를 논한다: (1) 지역적으로 상대적인 인류의 필요에 동시에 응하고자 하는 동서의 세계종교의 목표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화이트헤드적 사유의 틀과 역경의 철학이 보여주는 사유의 틀이 어떻게 통합되어야 하는가 (2) 어떻게 상대주의의 내적 논리에 의해 제기된 논쟁점들이 세계종교 안에서 동시에 극복되고 고려되어 종교가 계속 발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3) 어떻게 인류가 창조성의 또는 창조자로써의 신의실존-우주론적 견해의 풍부함으로 인도 되는 신적 개별화의 근본 은유적 존재로 역할을 해왔는지 (4) 유가와 도가의 통합적 조화의 역사적 모범에 기초해 볼 때, 기독교와 불교 이 두 세계종교의 통합적 조화가 가능한지, 그리고 왜 이 두 종교가 세계의 종교들이 서로 다른 종교적 믿음과 행위의 통합적 조화의 상태로 나아가는 미래의 변화를 이루는데 유효한 종교가 되는지.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piritual Humanism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영성인본주의 비교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4
    • /
    • pp.141-175
    • /
    • 2023
  • This comparative study combines the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Daesoon Thought. Comparative religious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does not presuppose an a priori framework of the essence of religion because it targets various aspects of religion which are revealed within a historical field. However, it does not decompose and return to psychological or social phenomena like social sciences. In addition, with the emergence of religious pluralism, the climate of focusing on similarities between religions has already been accomplished to some degre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many spiritual movements in modern spirituality reveal mixed or amorphous characteristic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specific religious membership. It is time to overcome instrumentation and restore the transcendence of its original appearance even in secular humanist reasoning. It can be said that this reveals the perception that the ills and crises of modern civilization should be overcome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acquired world of Daesoon Thought. It could further be said that the main culprit of evil behavior is instrumental reason or degenerated reason rather than spirituality. Religion is the intellectual crystalline body of humankind and aims at human perfection and salvation. However, extremists in previous times amplified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formed ideas suitable for their specific regions through different experiences. This generated mental rifts that proved greatly influential. At the time of initial inception, each religion confronted and fought other ideologies, but whe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began, the necessity for inter-spiritual communication became urgent. It could be said that happiness is the realization of human spirituality by exploring the vision of humanism. In that case, the combined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reveal that the spirituality of Daesoon Thought would enable a humanism based on human dignity. This would be a path for seeking spirituality through human life and living as a true human being. Spiritual humanism as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aims to share the problems of modern civilization and provide a critical view of modern civilization that shows the roots of prevailing thought are stuck in a Cartesian dualistic view of humanity and the world. The type of spiritual humanism to examined here focuses on a cosmotheandric vision by considering the spiritual return to Daoism via Daesoon Thought. This would treat human beings like heaven in alignment with Donghak ideology and honor the human dignity proposed by Daesoon Thought. It would also deliver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and to bliss in accordance with the aims of faith in Maitreya Buddha, and it would implement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n fulfillment of Daesoon Thought.

Christian Teachers in Tense Situation: Performative Dialogue Stimulating Normative Professionalism (긴장의 시대 속에서 규범적 전문주의를 촉진하는 기독교교사의 수행적 대화에 관한 연구)

  • Avest, K.H. (Ina) ter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9-35
    • /
    • 2020
  • In the second half of the previous century the composition of the teacher population - and the composition of the pupil and parent population - in the Netherlands gives rise to the name change 'age of secularisation' to 'age of pluralisation'. In previous centuries the (religious or secular) worldview identity of the parents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school were attuned to each other, and merged into a mono-cultural perspective on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upils. The basis for both - the upbringing by the parents and the socialisation in the family on the one hand, and the teachers' efforts to enculturate the students at the school on the other - was a similar life orientation. The school choice of the parents was predetermined by their commitment to a particular (religious) worldview, very often inspired by Christianity.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ir children developed in a clear-cut context. However, in contemporary society plurality dominates, at home and at the school, both in case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A direct relationship with a community of like-minded believers is no longer decisive for parents with varying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Instead, a good feeling upon entering the schoolyard or the school building is a convincing argument in the process of school choice. Th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of teachers and the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of children takes place in a plural context. Our question is: what does this mean for the normativ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o answer this research question we make use of the resources of the Dialogical Self Theory (DST) with its core concepts of 'voice' and 'positioning'. After presenting the Dutch dual education system (with public and denominational schools) we provide a lively description of a Dutch classroom situation occurring in a public school, 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The focus in this description is on performative dialogue as a 'disruptive moment' and on its potential for the hyphenated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of teachers, which makes up a part of their normative professionalism.

  • PDF

대순사상에 있어서 종교다원주의 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 Kim, Seung-Cheol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4_1
    • /
    • pp.1-42
    • /
    • 2014
  • この論文は, これまで主にキリスト教神学を中心にして展開されてきた宗教多元主義をめぐる議論を批判的に考察し, 真の諸宗教対話に基づく宗教多元主義の新しいパラダイムを模索したものである。周知の通り, キリスト教においては, バチカン第二公会議の 『非キリスト教についての教会の態度』(Nostra Aetate)が宣言された以来, 諸宗教についての対話的·開放的理解を目指してきた。こうした意味で, 『非キリスト教についての教会の態度』がもたらした画期的意義は, 十分認められるべきである。しかしながら, その宣言が含んでいる神学的パラダイムについても, また, キリスト教中心的な諸宗教対話については, 多くの批判が寄せられているのも事実であろう。というのは, 宗教多元主義が本来の意味で議論されるためには, 諸々の宗教自らが諸宗教についての理解を積極的に表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からである。この論文は, 上記のような歴史的·宗教的問題意識に着目して, 韓国の新宗教としての大巡思想の諸宗教観について検討し, その思想が昨今の宗教多元主義をめぐる議論に積極的に貢献できるかについて論じたものである。大巡思想は, 旧韓末という歴史的·社会的·宗教的文脈の中で生まれた宗教として, 現代社会においても, 人々の宗教的ニーズに応えられる宗教思想を露呈していると思われる。とりわけ, 大巡思想が宗教的理念として教える 「解冤相生」 の概念や, 歴史を 「天尊時代」 から 「地德時代」 を経て 「人尊時代」 への動きとして解く歴史観は, 新たに注目される必要がある。なぜならば, 諸方面における葛藤や対立の解決を課題としている現代社会においてこそ, 多元化された生き方や考え方を切実に要求するからである。さらに, こうした大巡思想の 「解冤相生」 の教えは, 宗教多元主義のための新しいパラダイムを提供する可能性をもつと同時に, 韓国の伝統的な宗教理解として言われる 「宗教の円融」 という思想にも, 新たな解釈の道を与えていると思われる。

Language of Hope in Europe (유럽의 관점에서 조망하는 희망의 언어)

  • van Dijk-Groeneboer, Monique;Opatrny, Michal;Escher, Ev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5
    • /
    • pp.29-54
    • /
    • 2021
  • In Europe, the diversity in religions, cultures, languag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is enormous. World War II and the Soviet Regime have played a large part in this and the flow of refugees from other continents increases the pluralism. How can religious education add to bridging between differences? The language across European countries is different, literally between countries, but also figuratively speaking and even inside individual countries. These differences occur in cultural sense and across age groups as well. Secondary education has the task to form young people to become firmly rooted people who can hold their own in society. It is essential that they learn to examine their own core values and their roots. Recognising their values should be a main focus of religious education. However, schools are currently accommodating increasing numbers of non-religious pupils. What role do religious values still play in this situation? How do pupils feel about active involvement in religious institutions, and about basing life choices on religious beliefs? Can other, non-religious values be detected which could form the basis for value-oriented personal formation? Research of these subjects has been ongoing in the Netherlands for more than twenty years and is currently being expanded to the Czech Republic and(former East) Germany. These are also secularized countries but have a very different history. Does the history and context of these countries play a role, and does this show in the values that are important to pupils? A comparative pilot study is being conducted as start of this broadening perspective geared towards greater insight into the values of pupils in these three European countries. This information helps to design appropriate new forms of religious value-oriented worldview educ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and Democracy in Argentine (아르헨티나 보수 개신교의 정치 참여와 민주주의)

  • Kim, Hang-Seob
    • Iberoamérica
    • /
    • v.23 no.2
    • /
    • pp.55-91
    • /
    • 2021
  • This article dealing wit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Argentine Conservative Protestants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h political participation on democratic values and order. To this end, it focused on the subject of religious equality and freedom, and issues of same-sex marriage and sex education. First, the demands of the Protestants, who insisted on the equal treatment of all religions by correcting the religious discrimination policies, a legacy of the colonial era and the military regime, are very natural and self-evident, when we presuppose the value of a democratic society based on political equality and human rights. It can be said that it has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society by aiming to solve the old problems of society. But when it comes to same-sex marriage and sex education, things are quite different. Without considering the social situation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or minorities, or the legislative purpose of defending their rights, they insist on only their teachings of scriptures or ethics, even within Protestantism, there is a disagreement on interpretation. These theocratic views and exclusivist attitudes can seriously infringe on the human rights or freedoms of people of different religions, or different choices about marriage or sexuality, among other things. It can be a serious threat to democratic order and values.

A Criticism of John Hick's Copernican Revolution (존 힉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비평)

  • Je, Hae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8
    • /
    • pp.494-504
    • /
    • 2014
  • This is a study of Hick's self-described Christological 'Copernican revolution.' Since Hick as a former Christian theologian did not want to reject one of the core Christian doctrines(incarnation), he presented his copernican revolution in terms of Agape Christology, an inspiration Christology and myth Christology through his Christological reinterpretation. Thus Hick's Christologies that are developed gradually are discussed and evaluated chronologically. First, agape Christology understands that the incarnation is taking place all the time in different degrees everywhere. As a result agape Christology makes Jesus as a mere human being. Second, an paradox of grace or inspiration Christology views the incarnation as the Spirit of God enabling people to fulfill the will of God by their free responses. This Christology assumes that divine incarnation can occur anywhere and anytime in any person. Thus, according to this, Jesus is not literally God incarnate as Christian claims. Third, myth Christology views that the incarnation is not literal but mythological. Though he prefers to use metaphor in his later writings because it has a more positive connotation than myth, myth and metaphor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re neither literal nor historical. Hick's mythological Christology implies the denial of Jesus Christ as God incarnate. Accordingly, the researcher must conclude that Hick's Christology as copernican revolution cannot said to be a perfect solution for today's religious situation, even though it was a sincere try to communicate with pluralistic world.

The Meaning of Children's Worship as a Liturgy for Person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인격발달을 위한 예전으로서의 어린이예배의 의미)

  • Kim, Eun-Ju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8
    • /
    • pp.279-306
    • /
    • 2021
  • This paper intends to say that children's worship as a liturgy for children living in modern society is an important place to support children's person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of coziness necessary for their personal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thesis first regards modern society as an unstable society, analyzes fluid society and individualism as the causes, and deals with changes in educational style accordingly. In a fluid society, children are not provided with a solid form and last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 styl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 and pluralism requires a heavy task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one's life and constantly making choices and decisions. Therefore, children need rules and forms that help them live together, and they need a space that can give them comfort that helps them develop their personality. As an argument for this, second,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litur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ship of children as the liturgy. The third deals with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that can be experienced in children's worship. First, it deals with the meaning of religious, aesthetic, and communal driving forces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in children's worship, focusing on Eberhard's research. In addition, it deals with the meaning of language and expression methods provided in children's worship, and finally, it says that children's worship can be a space where you can experience stability and coziness. Through this, it is emphasized that children's worship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personal development of children living in modern times.

A Study on the Presence of Post-Miesianism and Its Future (Post-Miesianism의 실체와 미래에 대한 연구)

  • Lee, Sang-Jin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10 no.4 s.28
    • /
    • pp.77-92
    • /
    • 2001
  • 현대의 건축시기는 다원성의 시기 또는 복합성의 시기라고 불리운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를 거치며 다양한 형태적 실험의 과정을 겪었고 수많은 이데올로기와 이론들로 무장된 논쟁의 역사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현대건축의 다양성은 건축디자인이라는 전문직의 사회에 기여하는 역할을 반추(反芻)함과 동시에 다변하는 인간사고의 역동성을 반영하고 있다. 건축관련 책자나 저널 등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Neo-Classicism, Deconstructivism, Minimalism, High-Tech, New Moderns 등등의 건축양식들은 스타일을 지칭하는 언어라기보다는 건축적 사고를 지칭하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건축디자인이라는 작업은 인간을 둘러 싼 건조환경의 생성에서 출발하는 것이므로 건축적 사고방식은 그 시기의 사회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20세기 말부터 불어닥친 디지털 문화의 사회변혁은 전 세계를 하나의 채널로 엮게 되었고, 이러한 영향들은 지역과 민족, 그리고 종교적인 요소들까지도 혼합하여 국경을 초월한 미래의 새로운 이상들을 꿈꾸게 되었다. 19세기 산업혁명과 함께 급속히 벨라진 인류문명의 진보는 필수적으로 세계화를 동반하는 것이고, 세계화와 지역성사이의 괴리를 통해 나타나는 문화적 비판과 충돌은 아직도 진행상태인 것이다. 세계화라는 통염은 문명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전통문화의 파괴가 뒤따를 수밖에 없는데, 현재와 같이 IT혁명을 통해 급속도로 빨라진 세계문화의 교류는 한 국가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문화적 유산이라는 토양을 포기하여야 할 단계에 와 있다고 논평할 정도이다. 여기서 건축은 문화적 상징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그것이 심미적이든 관습적이든 또는, 경제적이든 건축가는 해답의 제시라는 임무에 직면하게 된다. 20세기에 진행된 모더니즘의 건축은 구조와 공간에 대한 고전건축의 숙원을 고덕건축이 이룬 것처럼 15세기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진행된 형태와 공간, 기능, 그리고 아름다움과 기술(technology) 또는 경제성 등에 대한 건축적 의문과 탐구를 일단락지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한복판에 Mies van der Rohe라는 거장이 깊은 발자국을 남기며 한 시대를 이루었고 그가 남긴 시대정신의 이념과 가치를 Miesianism이라고 부른다. 실용성과 도덕성을 근본으로 하는 Miesianism은 대중에 호소하는 미적 표현주의를 부정하고 지역정서를 중시하는 문맥적 접근방식을 경시함으로써 보편화라는 현상을 불러일으킨 국제주의 양식의 한 부류로 비판을 받아왔다. 즉, Miesianism의 단순하고 강렬한 외형적 요소는 그것이 내포하는 기술적 합리성이나 공간적 완결성을 무시한 채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지역적 저항을 받게 되었다. 시카고 및 전 세계의 Miesian들, 즉 Mies van der Rohe의 제자들이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수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며 새로운 사고의 시대적 요구 앞에 고뇌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1978년 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이 미국에서 서울로 돌아와 '서울건축컨설탄트'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Miesianism의 규범적 건축론을 설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시카고 국제주의학파의 건축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건축컨설탄트'를 통하여 배출된 김종성의 제자들은 명쾌하고도 간결한 건축해법의 경험을 토대름대로의 정체성을 갖고자 노력하였으나 결국 다원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Miesianism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실수와 오류를 밝힘과 동시에 현대의 여러 가지 건축유형들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Post-Miesianism의 실체와 그 미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미스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Miesianism의 요체는 첫째, Schinkel로부터 이어받은 시대정신의 사명감, 둘째, Berlage가 전해준 전문가로서의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기술적 합리성의 실현,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당시의 추상예술에 대한 이해로써 받아들인 nee-Suprematism의 아방 가르데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을 전파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미스적인 단순하고 명쾌한 외관이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기게 되었고 또한 미스가 현대성의 본질이라고 믿는 기술의 전수는 모든 외관을 동일하게 만드는 International Style로서의 보편적 획일성을 초래하였다. Mies van der Rohe의 강력하고 규범적인 dogma는 그의 제자들에게는 강렬한 카리스마로 각인되었고, Mies가 원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을 하나의 틀 속에 가두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2세대이든 3세대이든 기술적 합리성과 추상적 단순미라는 믿음을 맹목적으로 추종할 때 그들은 Miesian으로 남아있게 되며, 거기서 벗어났을 때 non-Miesian, 또는 배신자로 취급하기까지 하였다. 이것은 미스의 제자들에게 강한 족쇄가 되어 형태적 또는 개념적 변화의 시도를 어렵게 하였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평가에 이르게 되었다. 문화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Miesianism에 대한 새롭고 시대에 적합한 해석을 기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대 속에서 우리는 Post-Miesianism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엿볼 수 있게 된다. Post-Miesianism의 징후를 현대의 다양한 건축유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High-Tech의 구축적이고 정밀한 건축 기술적 해법과 Minimalism의 반복성을 통한 추상미의 표현 등에서 뿐만이 아니라 Post-Modernism의 인간성의 추구나 문맥적 고려, 또는 해체주의의 형이상학적이고 아방가르데적인 실험주의 정신까지조차 Post-Miesianism이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미스의 영향이 2세대, 3세대의 건축가들에게 미치면서 여러 방향으로 변질되어 가는 것을 우리는 발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시대성에 적응하는 시도들이야말로 새로운 미래를 향한 Post-Miesianism의 실체인 것이다. Mies가 말하였듯이 한 시대의 끝은 그 시대가 완전히 이해되었을 때이며, 모더니즘의 숙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Miesianism의 탐구는 Post-Miesianism이라는 새로운 주제로 계속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21세기 디지털 문명의 시대 속에서 현대건축이 안을 수밖에 없는 보편성과 지역성의 충돌이라는 문제의 해결에 한 발걸음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