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α-glucosidas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2초

약용식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김현숙;김태우;김대중;이재성;김경곤;최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7-203
    • /
    • 2013
  • We studi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Total polyphenol contents ranged from 10.0 (Coix lachryma-jobi L, CL) ~ 279.7 (Perilla sikokiana, PS)mg/g. The water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for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compared with a commercial antioxidant, ascorbic ac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yrus pyrifolia (PP), Chamaecyparis obtusa L. (COL), Chamaecyparis obtusa F. (COF), and PS were higher than positive control. High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hown in Acanthopanax senticosus (AS) and Cordyceps militaris (CM) than the other plants. The highest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in Cornus officinalis (CO)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PSA) water extracts. PSA showed not only the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also the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The results of our study that PP, COL, COF, PS, AS, CM, CO and PSA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찰녹미 첨가 발효음료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Rice Beverage Prepared with Green Glutinous Rice)

  • 조민정;정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1-353
    • /
    • 2023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fermented green rice beverage with a unique flavor and physiological function activity. With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as independent variables, we modeled the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α-glucosidas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glutinous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to verify its significance.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elected as Quadratic model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elected as linear models. Fo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sweetness, sourness, savory taste, bitterness, throat feel, nuruk scent,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in preference as the amount of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increase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center point (p<0.01). A blending ratio of 180.00 g of glutinous green rice and 400.00 g of rice nuruk ha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all the sensory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with unique flavor and physiological function activity of rice using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and the optimal blending ratio was determined to be 164.04 g of white rice, 195.96 g of glutinous green rice, and 414.61 g of rice nuruk.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의 in vitro에서의 안전성 및 탄수화물 소화 저해 효능 평가 (In vitro safety and efficacy of probiotics mixture on carbohydrate digestion inhibition)

  • 서은솔;우장빈;서민영;우정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38-545
    • /
    • 2023
  • 본 연구는 probiotics mixture(Lactobacillus acidophilus PBS066(DSM 24936),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PBS067(DSM 24937), Limosilactobacillus reuteri PBS072(DSM 25175))의 안전성 및 탄수화물 소화 효소 저해 효과를 in vitro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균주는 유럽식품안전처(EFSA) 지침에서 권장하는 항생제 내성 프로필을 충족시켰으며, 모든 균주는 용혈 활성 및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robiotics mixture, L. plantarum PBS067 그리고 L. reuteri PBS072는 α-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biotics mixture와 이의 균주 3종 모두 α-glucos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 사용한 probiotics mixture 및 이의 단일 균주 3종의 안전성과 탄수화물 소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probiotics mixture 이의 단일 균주 3종은 섭취하여도 안전하며 섭취 시 체내 탄수화물 대사를 잠재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 (Inhibition of α-Glucosidase by a Semi-Purifie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 정관주;문연규;권정민;안채린;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79-1585
    • /
    • 2011
  • ${\beta}$-Glucan 분획을 제거한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액(${\beta}$-glucan-free HEAB)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소재를 개발하였다. ${\beta}$-Glucan-free HEAB를 용매분획하여 10 mg/ml 농도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A분획이 가장 강한 활성(61.6% 저해)을 나타내었고, 경구혈당강하제인 acarbose (5 mg/ml; 39.5% 저해) 보다 강하였다. EA분획을 더 분획하여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80.4%인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에는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갖는 daidzin 및 genistin과 같은 isoflavone과 isoflavone의 sugar conjugate된 물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beta}$-glucan-free HEAB나 EA분획물은 인체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잎으로부터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 Hyperoside와 Isoquercetin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Hyperoside, and Isoquercetin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Leaves)

  • 이기연;홍수영;정혜정;이재형;임상현;허남기;김성문;김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58-1864
    • /
    • 2014
  • 가시오갈피 잎에 함유된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가시오갈피 잎 80%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층을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EtOAc 층이 68.05%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EtAOc 분획층을 MPLC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directed isolation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3.60%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EAHC 분획물을 얻었다. EAHC 분획물을 prep-LC/MS로 분석하여 EAHCA와 EAHCB로 분리 정제하였다. EAHCA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hyperoside로 확인되었다. EAHCB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iso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갈피 잎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hyperoside와 isoquercetin은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을 가진 화합물로 향후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몽골산 Iris bungei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Mongolian Iris bungei extract)

  • 정윤희;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9-884
    • /
    • 2017
  • 몽골산 I. bungei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총 페놀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148.7{\pm}1.6{\mu}g/mL$으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I. bungei의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27.8{\pm}0.9{\mu}g/mL$의 매우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였고,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활성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값은 $4.6{\pm}0.1{\mu}g/mL$의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acarbose의 $IC_{50}$ 값인 $473.2{\pm}5.5{\mu}g/mL$과 비교했을 때 매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화합물이 함유된 상태의 추출물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활성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향후 이들 추출물의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로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 활성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 박성익;손호용;이창일;황희영;박승우;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분획물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90.8%, 야관문 91.2%로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분석 결과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6.1%로 가장 높았고 야관문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95.6%로 가장 높았다. FRAP assay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360.1 mg TE/g, 야관문 239.2 mg TE/g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이 어성초 13.2%, 야관문 35.2%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56.3%, 야관문은 water 층에서 93.6%로 가장 높았다. 어성초와 야관문에서 확인한 개별성분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페놀산 개별 성분의 활성은 caffeic aicd가 93.4%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개별 성분의 활성은 quercetin이 96.3%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침엽수 잎과 구과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oftwood needles and cones)

  • 강소담;임상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200-206
    • /
    • 2023
  • 침엽수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한정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침엽수 간의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침엽수 4종을 선정한 후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침엽수 간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앞서 소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의 잎과 구과를 채취하였고 7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실험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TEAC, FRAP), α-glucosidase, elastase, tyrosinase 효소 저해 활성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에서는 편백나무와 삼나무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에서는 편백나무 잎의 활성이 가장 높아 항당뇨 제품으로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과 구과, 구상나무구과에서 높게 나타나 주름개선 화장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미백실험인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우리나라는 침엽수를 가로수와 방풍림 조성 등의 목적으로 대량 식재하고 있고, 매년 가지치기 작업을 해주기 때문에 원료 수급에 있어서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제품, 당뇨 제품, 주름 및 미백 화장품 등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STZ에 의한 당뇨 유발 마우스에서 betulinic acid의 식후 고혈당 개선 효과 (Betulinic Acid Amelior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 이정경;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589-594
    • /
    • 2022
  • 이 연구에서 베툴린산이 STZ에 의해 유발된 고혈당 쥐에서 탄수화물 소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식후 고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베툴린산이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 활성에 강력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에 대한 베툴린산의 IC50는 각각 12.83± 6.81 및 18.32±3.24 μM으로, 이는 경구 혈당강하제인 acarbose의 IC50 보다 값이 낮아 베툴린산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당뇨쥐와 정상쥐에서 증가된 식후 혈당은 베툴린산을 투입한 고혈당군, 정상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식후 혈당이 억제되었습니다. 30, 60, 120분에 각각 혈당을 측정하였을 떄, 당뇨쥐에서 베툴린산을 투여한 군의 혈당은 23.22±1.1, 24.38±1.31, and 21.05±1.36 μM 으로 대조군의 혈당인 24.64± 1.7, 27.22±1.58, and 26.36±1.40 μM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뇨쥐에서 베툴린산 투여한 군의 AUC도 대조군 쥐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acarbose를 투여한 군에 비해서는 더 많이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베툴린산이 탄수화물 소화 효소의 강력한 억제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당뇨병 쥐의 식후 고혈당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Effect of pH values and inoculation amounts fo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mulberry leaf fermentation

  • Kwon, O-Chul;Ju, Wan-Taek;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4권2호
    • /
    • pp.38-44
    • /
    • 2017
  • Mulberry leaves containing 1-deoxynojirimycin (DNJ) have been recognized as a potentially important source for prevent or treat hyperglycemia. However, DNJ content of natural mulberry leaf are as low as 0.1%. Thu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ith the DNJ high-production is need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pH values (6-9) and inoculation amounts (0.1-0.5%) when Bacillus subtilis cultured on mulberry leaf powder media. We confirmed tha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difference according to culture conditions of different pH values, inoculation amounts, and fermentation times. The results of mulberry leaf fermentation according to pH values and inoculation amounts were shown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defined as pH 7 and 9, inoculation amount 0.4%, and incubation until 2 to 4 days. These results can be provided a basic data for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increasing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mulberry leaf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