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s}\

검색결과 71,010건 처리시간 0.088초

灌漑用水路의 水路損失率 算定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Watter Loss Rates in Irrigation Canals)

  • 구자웅;이기춘;김재영;이재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6-66
    • /
    • 198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water losses in irrigation canals,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the water requirement for irrigation projects. The conveyance losses were measured by the inflow-outflow method, the seepage losses were measured by the ponding method, and the operation losses in the course of irrigation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two kinds of loss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Conveyance losses per unit area of wetted perimeter by the main irrigation canal, the secondary irrigation canal and the tributary irrigation canal, were 1.399${\times}10^{-5}m^3/sec/m^2$, 5.154${\times}10^{-5}m^3/sec/m^2$, and 2.67${\times}10^{-5}m^3/sec/m^2$ respectively in the Goong-sa area. And they were 1.934${\times}10^{-5}m^3/sec/m^2$, 2.149${\times}10^{-5}m^3/sec/m^2$, and 4.558${\times}10^{-5}m^3/sec/m^2$ respectively in the Seong-dug area. 2. Seepage losses per unit area of wetted perimeter by the secondary irrigation canal and the tributary irrigation canal, were 2.180${\times}10^{-6}m^3/sec/m^2$ and 2.168${\times}10^{-6}m^3/sec/m^2$ in the Goong-sa area, 1.150${\times}10^{-6}m^3/sec/m^2$ and 1.084${\times}10^{-6}m^3/sec/m^2$ in the Seong-dug area respectively. 3. Operation losses per unit area of wetted perimeter by the secondary irrigation canal and the tributary irrigation canal, were 4.936${\times}10^{-5}m^3/sec/m^2$ and 2.453${\times}10^{-5}m^3/sec/m^2$ in the Goong-sa area, 2.034${\times}10^{-5}m^3/sec/m^2$ and 4.450${\times}10^{-5}m^3/sec/m^2$ in the Seong-dug area respectively. 4. Conveyance, seepage and operation losses in the Goong-sa area were 6.7%, 94.6%, and 14.0% more than those in the Seong-dug area. Operation losses amount to about 17 times as much as seepage losses in the Goong-sa area and about 29 times in the Seong-dug area. 5. The seepage losses depend much on the soil texture, ranging from 7.437${\times}10^{-7}m^3/sec/m^2$ to 2.430${\times}10^{-6}m^3/sec/m^2$. 6. Water loss rates in the main irrigatin canal, the secondary irrigation canal and the tributary irrigation canal, were estimated as 8.49%, 37.27% and 9.81% respectively in the Goong-sa area. And they were estimated as 15.10%, 32.67% and 13.78% respectively in the Seong-dug area.

  • PDF

京畿一圓 乳牛의 乳房炎 感染率과 原乳의 細菌 및 體細胞數 測定에 따른 乳質 汚染度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stitis Infection Rate and Investigation of Milk Contamination Level by Measuring the Bacteria and Somatic Cell Counts in Gyunggi Area)

  • Eu, Byung Woo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1-54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improvement of milk quality and milk hygiene in public health point of view. Investigation of mastiris infection rat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ausative microorganisms in CMT positive milk, investigation of milk contamination level by measuring the bacteria and soma tic cell counts and investigation of dairy management in farms were performed on 1.605 quarters milk of 434 cows of 20 dairy farms in Gyunggi-area from September 1983 to March 1984.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ixteen (3.7%) of 434 cow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clinical mastiris. 234 (53.9%) of 434 cows and 608(37.9%) of 1, 605 quarter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subclinical mastiris. 2.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isolated were Staphylococcus aureus (38.3%), Staphylococcus epidermidis(21.0%), Micrococci(13.6%), Streptococcus spp. (12.3%), E. coli (7.4%), Fungus & Yeast (1.6%) and others (5.8%). 3. Total numbers of bacteria were $9.2{\times}10^6$ to $1.21{\times}10^7/ml$(av. $1.805{\times} 10^7/ml$), numbers of coliform bacteria were $4.1{\times} 10^5$ to $9.4{\times} 10^5$/ml(av. $7.05{\times} 10^5$/ml) and somatic cell counts were $4.8{\times} 10^5$ to $1.52{\times} 10^6$ cells/ml (av. $9.5{\times} 10^5$cells/ml) in bulk milk. 4. As comparing with CMT score of +, ++ and +++, somatic cell counts were $3.4{\times} 10^5$ to $1.64{\times} 10^6$ cells/ml (av. $6.41{\times} 10^5$cells/ml), $5.4{\times} 10^5$ to $2.75{\times} 10^6$ cells/ml(av. $1.762{\times} 10^6$cells/ml) and $1.97{\times} 10^6$ to $9.75{\times} 10^6$ cells/ml(av. $7.781{\times} 10^6$cells/ml), respectively. 5. In investigation on dairy management, performance of dry cow therapy, teat dipping after milking, disinfection of milking machine at every milking, replacement of milk liner within 6months and opportunity of acquirement for the mastiris control techniques by dairy education were 65%, 40%, 45%, 55% and 50% in 20 dairy farms, respectively.

  • PDF

개에서 Hamster test의 이용을 높이기 위한 정액처리조건 (Semen treatment to enhance the use of hamster test in the dog)

  • 김용준;이해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7-343
    • /
    • 1993
  • To determine the test conditions to enhance the use of hamster test in dogs, semen were collected from four dogs which had been proven to be fertile in the past and then preserved in BWW (Biggers, Whitten, Whittingham) medium for about 20 hours. The semen were given each differe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and coincubated with zona-free hamster ova for 5 hours. The ova were stained by lacmoid and examined under phase contrast microscope to investigate the rates of ova bound with sperm(sperm binding) and ova penetrated by sperm (penetration), and also numbers of both bound and penetrated sperm per ovum. In comparis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nine sperm, the rate of sperm binding was higher in $1.5{\times}10^8$, $1{\times}10^8$, and $5{\times}10^7$ sperm concentrations than $5{\times}10^5$ concentration(p<0.01), and also than $5{\times}10^6$ concentration(p<0.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bound sperm per ovum was considerably higher in $1.5{\times}10^8$ sperm concentration than $5{\times}10^7$, $1.5{\times}10^6$, and $5{\times}10^5$ concentrations(p<0.01). The rate of penetration was considerably higher in $1.5{\times}10^8$ and $1{\times}10^8$ sperm concentrations than $5{\times}10^5$ concentration,(p<0.01), and also the higher result of penetration was shown in $5{\times}10^7$ than $5{\times}10^5$ (p<0.05). The number of penetrated sperm per ovum was considerably higher in $1.5{\times}10^8$ sperm concentrations than $5{\times}10^5$(p<0.01), and also the higher number was shown in $1{\times}10^8$ than $5{\times}10^5$ (p<0.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t preincubation period of canine spermatozoa, no difference was obtained in the results of hamster test among the preincubation periods of 4 hours, 18~24 hours and 48 hours. The canine spermatozoa in BWW medium with $Ca^{2+}$(1.3mM) and without FCS(fetal calf serum), with both $Ca^{2+}$(1.3mM) and FCS, with $Ca^{2+}$(2.6mM) and without FCS, and with both $Ca^{2+}$(2.6mM) and FC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hamster test.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sperm should be given in hamster test for dog sperm.

  • PDF

벼에 대한 $^{54}Mn,\;^{57}Co,\;^{85}Sr,\;^{103}Ru,\;^{134}Cs$의 직접오염 경로분석 실험 (Experimental Studies for Analyzing Direct Contamination Pathway $^{54}Mn,\;^{57}Co,\;^{85}Sr,\;^{103}Ru$ and $^{134}Cs$ in Rice)

  • 최용호;임광묵;박효국;이원윤;이창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21-30
    • /
    • 2000
  • 벼의 방사성 핵종 직접오염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동위원소 실험온실내에서 $^{54}Mn,\;^{57}Co,\;^{85}Sr,\;^{134}Cs$의 혼합용액을 벼의 생육중 여섯 차례에 걸쳐 작물체 지상부에 처리하였다. 작물체 차단계수는 핵종 간에 차이가 없었고 처리시기가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증가하여 최고 약 0.94에 달리하였다. 작물계에 침적한 각 핵종의 수확시 잔류율은 방사능 붕괴가 없다고 가정할 예 처리시기에 따라 각각 $19{\sim}47%,\;17{\sim}43%,\;19{\sim}42%,\;23{\sim}61%,\;11{\sim}69%$였다. 종실 전류계수는 처리시기에 따라 각각 $6.9{\times}10^{-4}{\sim}3.8{\times}10^{-2},\;3.6{\times}10^{-3},\;1.6{\times}10^{-1}{\sim}5.8{\times}10^{-4}{\sim}3.2{\times}10^{-2},\;1.6{\times}10^{-4}{\sim}7.6{\times}10^{-5},\;3.2{\sim}10^{-2}{\sim}2.0{\times}10^{-1}$의 범위였고 모두 종실의 발육성기 처리시 가장 높았다. 강우 빈도의 차이가 2배 이내일 때는 강우빈도가 잔류율과 전류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벼의 생육중 사고침적시 쌀알 내 핵종농도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의 결정화 및 입도분포 특성 (Reactive Dye(RB-8, RB-49, RR-218) in Crystallization and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Density)

  • 한현각;이종훈;인대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198-203
    • /
    • 2012
  • 염석결정화 방법으로 염료용액으로 부터 염료를 결정화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의 모액의 용해도와 결정화 속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속식 결정화기에서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에 대한 결정화 속도식 RB-8에서 결정성장 속도 $G=7.1{\times}10^{-4}{\Delta}C^{0.67}$와 핵생성 속도 $B^0=3.1{\times}10^{15}{\Delta}C[1.2{\times}10^{-8}+{\Delta}C^{0.7}M_T{^2}]$이고 RB-49는 결정성장 속도 $G=5.2{\times}10^{-4}C^{0.3441}$와 핵생성 속도 $B^0=7.2{\times}10^{15}{\Delta}C[3.3{\times}10^{-8}+({\Delta}C)^{0.7}M_T{^2}]$, RR-218의 결정성장 속도 $G=4.4{\times}10^{-4}C^{0.2361}$와 핵생성 속도 $B^0=6.3{\times}10^{15}{\Delta}C[7.9{\times}10^{-8}+({\Delta}C)^{0.7}M_T{^2}]$의 실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특성 곡선 법을 적용하여 입도분포를 계산한 결과 실험식과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딸기 교잡육종 시 품종적 성능에 미치는 자방친의 효과 (Effect of Seed Parents on Varietal Performance in Strawberry)

  • 노일래;조용섭;정재완;정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4-380
    • /
    • 2010
  • 딸기의 우수한 교배친을 선발하기 위해 11품종의 자방친을 자식시켜 후대실생 개체들의 성능 검정한 결과 초세, 내병성, 수량성 등이 우수한 '아키히메', '매향', '설향' 등 3품종을 자방친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3품종에 대하여 조합능력 검정을 한 결과 초세는 '아키히메'가 자방친인 조합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성숙기는 '설향'이 자방친인 조합에서 빠른 경향이었다. 그리고 '설향' ${\times}$ '도치오토메', '설향' ${\times}$ '금향', '설향' ${\times}$ '원교3111호', '아키히메' ${\times}$ '원교3111호'등의 조합은 18 g 이상의 대과종의 개체 비율이 높았다, 당도는 조합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경도는 '매향'조합에서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매향' ${\times}$ '도치오토메' 조합에서 높았다. 수량은 '아키히메' ${\times}$ '원교 3111호' 조합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설향' ${\times}$ '금향', '매향' ${\times}$ '금향', '아키히메' ${\times}$ '도치오토메' 순으로 높았다.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 이성득;이영기;김무상;박석기;김연선;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387
    • /
    • 2012
  • 시중에서 유통 중인 환제 31종 93건을 수집하여 유해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고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비소는 Microwave dirgestion system를 이용하여 질산 분해 후 ICP-MS를 사용하였고, 수은은 시료를 수은분석기에 직접 주입하여 측정하였다.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하여 %PTWI를 산출하였고 또한 참고섭취량(RfD)과 발암잠재력(SF)을 이용하여 비발암위해도와 발암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전체 시료의 중금속의 평균 함량(mg/kg)은 납 0.87, 카드뮴 0.08, 비소 2.87 및 수은 0.16이었고, 재료별 평균 함량(mg/kg)은 표피 0.63, 열매 3.94, 잎 1.42, 뿌리 1.05, 종자 0.16, 해조류 22.31 및 기타 10.17이었다. 납은 전체 시료인 31개 중 28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으며 카드뮴은 31개 중 24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고, 비소는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수은은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시료 중 석류환과 칡환은 납의 함량이 높았고, 톳환은 수은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시마와 톳환은 비소의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위해지수 (비발암위해도)는 표피 0.09, 열매 0.51, 잎 0.33, 뿌리 0.21, 종자 0.02, 해조류 4.84, 기타 0.05이었다. 납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77로, 국제식품 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의 3.1% 수준이었으며, 납의 초과발암위해도는 표피 $1.95{\times}10^{-7}$, 열매 $1.45{\times}10^{-6}$, 잎 $2.14{\times}10^{-7}$, 뿌리 $6.27{\times}10^{-7}$, 종자 $1.99{\times}10^{-8}$, 해조 $3.61{\times}10^{-7}$, 기타 $9.64{\times}10^{-8}$이었으며, 전체 시료에서는 $4.24{\times}10^{-7}$로 산출되어 평생 동안 섭취할 경우 천만명당 4명의 비율로 암이 발생하는 수준이었다. 카드뮴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0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7과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001 mg/kg/day의 0.9%이었다. 비소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2.14이었으나, 비소의 %PTWI는 2010년 비소 독성에 대한 기존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값의 유지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140)의 판단 하에 폐지되어 비교할 수 없었고,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3 ${\mu}g$/kg/day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참고섭취량(RfD)의 98.3%이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발암 잠재력(SF)값을 적용하여 시료 중의 비소종이 모두 무기비소일 경우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한 결과 표피 $1.54{\times}10^{-5}$, 열매 $7.24{\times}10^{-5}$, 잎 $1.23{\times}10^{-4}$, 뿌리 $2.02{\times}10^{-5}$, 종자 $3.25{\times}10^{-6}$, 해조 $2.18{\times}10^{-3}$, 기타 $5.67{\times}10^{-6}$이었고, 전체 시료에서는 $3.38{\times}10^{-4}$이었으나, 농산물 중의 무기비소 비율 약 23%를 감안하면 $7.78{\times}10^{-5}$이었으며, 비소 함량이 높게 나타난 해조류를 제외한 다른 시료들의 초과발암위해도는 $9.20{\times}10^{-6}$이었다. 수은의 주간 평균섭취량(${\mu}g$/kg/week)은 0.02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 섭취허용량(PTWI) 5의 0.5%의 수준이었다. 유통 환제에서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중금속이 비교적 높게 검출된 일부 시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에서 자연 함량의 수준으로 측정되어,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바이칼 호 Sponge에 서식하는 세균 군집 구조의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the Bacteria in Sponges of Lake Baikal by FISH Method)

  • 서은영;김미리;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18
    • /
    • 2007
  •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있는2속(genus Baikalospongia와 Lubomirskia)(5.13)의 해면 내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군집 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방법을 적용하였다. Baikalospongia와 Lubomirskia 속에 속하는 해면에 서식하는 총세균수는 각각 $7.2{\times}10^{7}-4.2{\times}10^{8}\;cells/ml$$1.2{\times}10^{8}-1.6{\times}10^{8}\;cells/ml$였다. 인근 호숫물의 총세균수는 $2.3{\times}7.7{\times}10^{5}\;cells/ml$ 범위로 해면에 서식하는 총세균수가 약 $10^{3}-10^{4}$배 더 높았다. 총세균수에 대한 세균군집 구조의 비율은 ${\alpha}-,\;{\beta}-,\;{\gamma}-Proteobacteria\;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외 다른 세균군이 genus Baikalospongia는 42.0-60.3%, Lubomirskia에서는 40.7-51.9%로, 호수물에서는 22.6-46.3%와 같이 나타났다. 이는 일반 담수에서 특정 군집이 우점하는 경향과는 다른 것으로써, 바이칼의 호숫물과 해면에 있는 세균들은 독특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마의 재식밀도별 섬유수량 및 성발현 비율 (Fiber Yield and Sex Ratio of Hemp in Different Planting Density)

  • 권병선;정동희;문윤호;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30-235
    • /
    • 1996
  • 재식밀도가 대류의 자웅성의 발현과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1995년 3월부터 1995년 8월 까지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특작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재식밀도 60$\times$20cm(8,333주/10a)의 소식에서 가장 길었고, 경태는 재식밀도 40$\times$20cm:12,500주/10a)에서 가장 굵었다. 2. 피마율은 재식밀도 40$\times$5cm(50,000주/10a)의 최다 밀식구에서 가장 높았고, 섬유수량 역시 가장 높았다. 3. 자웅성비의 변화는 40$\times$5cm(50,000주/10a)에서 자성의 비율이 가장 높아서 밀식으로 인한 자성의 비율을 높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 PDF

Effects on Rice Growth of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under No-till Paddy in Korea

  • Meas, Vannak;Shon, Daniel;Lee, Young-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97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on early growth,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under Chinese milk vetch residue-mulched no-tillage cropping systems at silt loam soil. The field was prepared as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consisted of Dongjinbyeo, and Sobibyeo as a cultivar, and subplots consisted of $10{\times}10$ cm, $20{\times}20$ cm, and $30{\times}30$ cm as a planting density. Weed infestation during rice growing season was more severe in wider planting density $30{\times}30$ at 35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and $20{\times}20$ cm at 95 DAT in both Sobibyeo and Dongjinbyeo. The maximum plant height was recorded in Sobibyeo compared with Dongjinbyeo, $10{\times}10$ cm and $20{\times}20$ cm planting density compared with $30{\times}30$ cm from 20 DAT until 60 DAT. Among the three planting densities, SPAD valu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planting density of $20{\times}20$ cm both in Sobibyeo and Dongjinbyeo followed by $30{\times}30$ cm compared with closer planting density of $10{\times}10$ cm. The lowest grain yield was observed in wider planting density of $30{\times}30$ in both Sobibyeo and Dongjinbyeo due to lower number of panicle per unit area. Our findings suggest that optimum planting density for SRI in no-tillage paddy was $20{\times}20$ cm and it should be useful the systems to small-scale rice farmers in Korea as a sustainable farm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