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

검색결과 44,198건 처리시간 0.051초

한국인 상용식품 중 30종류 식품의 망간 함량 분석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s in 30 Korean Common Foods)

  • 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408-1413
    • /
    • 2003
  • 골격 건강과 동시에 항산화 기능을 하는 망간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그 영양이 강조되어야 하며, 다양한 영양평가나 관련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 식품 중 망간함량에 대한 분석자료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 건강ㆍ영양조사에서 전체 식품 섭취량의 77%에 이르는 섭취 량을 보여 다소비 식품으로 조사된 30 종류의 식품 중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소비 식품 순위별로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가식부 100g당 망간 함량은 쌀은 949.6 $\mu\textrm{g}$이었으며, 배추김치 236.1 $\mu\textrm{g}$, 굴 27.2 $\mu\textrm{g}$, 우유 2.6 $\mu\textrm{g}$, 무 214.6 $\mu\textrm{g}$, 사과 40.0$\mu\textrm{g}$, 감 60.4 $\mu\textrm{g}$, 돼지고기 13.9 $\mu\textrm{g}$, 쇠고기 9.50$\mu\textrm{g}$, 두부 638.3 $\mu\textrm{g}$, 무김치 184.0 $\mu\textrm{g}$, 배 56.0$\mu\textrm{g}$, 맥주 18.4$\mu\textrm{g}$, 계란 11.3 $\mu\textrm{g}$, 탄산음료 9.5 $\mu\textrm{g}$, 빵 345.0 $\mu\textrm{g}$, 소주 50.7 $\mu\textrm{g}$, 감자 270.3 $\mu\textrm{g}$, 고구마 236.1 $\mu\textrm{g}$, 라면 91.2 $\mu\textrm{g}$, 양파 32.5$\mu\textrm{g}$, 물김치 58.0 $\mu\textrm{g}$, 콩나물 538.2 $\mu\textrm{g}$, 파 112.5 $\mu\textrm{g}$, 떡 336.7 $\mu\textrm{g}$, 배추 589.9 $\mu\textrm{g}$, 국수 430.4 $\mu\textrm{g}$, 호박 144.3 $\mu\textrm{g}$, 요구르트 3.0 $\mu\textrm{g}$, 시금치는 614.4 $\mu\textrm{g}$이었다 1998년도 국민 건강ㆍ영양조사에서 보고된 다소비 식품의 섭취량에 따라 망간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 하루 동안 쌀을 통해서 는 2330.3 $\mu\textrm{g}$을 섭취하였으며, 배추김치 197.9 $\mu\textrm{g}$, 귤 19.9 $\mu\textrm{g}$, 우유 1.8 $\mu\textrm{g}$, 무 86.9 $\mu\textrm{g}$, 사과 16.0 $\mu\textrm{g}$, 감 24.0 $\mu\textrm{g}$, 돼지고기 3.9 $\mu\textrm{g}$, 쇠고기 2.5 $\mu\textrm{g}$, 두부 155.1 $\mu\textrm{g}$, 무김치 44.7 $\mu\textrm{g}$, 배 13.1 $\mu\textrm{g}$, 맥주 4.1 $\mu\textrm{g}$, 계란 2.5 $\mu\textrm{g}$, 탄산음료 2.1 $\mu\textrm{g}$, 빵 63.5 $\mu\textrm{g}$, 소주 8.7 $\mu\textrm{g}$, 감자 44.6 $\mu\textrm{g}$, 고구마 38.3 $\mu\textrm{g}$, 라면 14.4 $\mu\textrm{g}$, 양파 4.8 $\mu\textrm{g}$, 물김치 9.2 $\mu\textrm{g}$,콩나물 72.1 $\mu\textrm{g}$, 파 14.9 $\mu\textrm{g}$, 떡 43.8 $\mu\textrm{g}$, 배추 75.5 $\mu\textrm{g}$, 국수 31.2 $\mu\textrm{g}$, 호박 15.6 $\mu\textrm{g}$, 요구르트 0.3 $\mu\textrm{g}$, 시금치를 통해서 는 59.0 $\mu\textrm{g}$ 섭취하였다. 이와 같은 30가지 다소비 식품을 통해 섭취한 1일 망간 섭취량은 3420.7 $\mu\textrm{g}$이었다. 30가지 다소비 식품에서 가식부 100 g당 망간 함량이 높은 식품은 쌀, 두부, 시금치, 배추, 콩나물, 국수, 빵, 떡, 감자, 배추김치, 고구마, 무, 무김치, 호박, 파, 라면, 물김치, 감, 배, 소주, 사과, 양파, 귤, 맥주, 돼지고기, 계란, 쇠고기, 탄산음료, 요구르트, 우유 순이었다. 30가지의 식품 중 가식부 100 g당 100 $\mu\textrm{g}$ 이상의 망간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은 쌀 두부, 시금치 등 총 15가지였다. 1998년도 국민 건강ㆍ영양조사에서 보고된 다소비 식품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망간 섭취량이 높은 순위를 살펴보았을 때 쌀, 배추김치, 두부, 무, 배추, 콩나물, 빵, 시금치, 국수, 무김치, 감자, 떡, 고구마, 감, 귤, 사과, 호박, 파, 라면, 배, 물김치, 소주, 양파, 맥주, 돼지고기, 쇠고기, 계란, 탄산음료, 우유, 요구르트 순이었다. 30가지 식품중 1일 100 $\mu\textrm{g}$이상의 망간을 공급하는 단일 식품은 쌀, 배추김치, 두부의 3종이었다. 특히 쌀은 30 가지 다소비 식품을 통한 총 망간 섭취량의 60.1%를 차지하여 망간의 주요 급원 식품이면서 동시에 주요 공급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蔚山市 土砂中의 多環芳香族의 鹽化水素의 含量에 關한 硏究 (Studies on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in Soils of Ulsan City)

  • 孫東憲;金正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30
    • /
    • 1990
  • The contents of benzo(a)pyrene (Bap.), Pyrene(Py) and Perylene(Pery) were determined by one-dimensional dual band thinlayer chromatogragphy and spectrofluorophotometer in soil samples from road at 36 places of Ulsan and 6 places of Seoul from April to May, 1984. The concents were as follows: 1. Ulsan city : Bap. 0.05-3.66 $\mu$g/g ; mean 1.07 $\mu$g/g Py. 0.60-11.01 $\mu$g/g ; mean 4.34 $\mu$g/g Pery. 0.94-5.48 $\mu$g/g ; mean 1.83 $\mu$g/g 1) Industrial area : Bap. 0.03-3.66 $\mu$g/g ; mean 5.28 $\mu$g/g Py. 2.34-9.07 $\mu$g/g ; mean 5.28 $\mu$g/g Pery. 1.01-3.69 $\mu$g/g ; mean 2.09 $\mu$g/g 2) Commercial area : Bap. 0.15-2.27 $\mu$g/g ; mean 0.29 $\mu$g/g Py. 0.06-11.0 $\mu$g/g ; mean 4.04 $\mu$g/g Pery. 1.03-5.48 $\mu$g/g ; mean 1.84 $\mu$g/g 3) Residential area : Bap. 0.05-0.05 $\mu$g/g ; mean 0.29 $\mu$g/g Py. 1.34-5.53 $\mu$g/g ; mean 2.74 $\mu$g/g Pery. 0.94-2.15 $\mu$g/g ; mean 1.18 $\mu$g/g 2. Commerical area in Seoul : Bap. 0.35-1.01 $\mu$g/g ; mean 0.74 $\mu$g/g Py. 9.37-24,44 $\mu$g/g ; mean 18.64 $\mu$g/g Peay. 1.47-2.24 $\mu$g/g ; mean 1.87 $\mu$g/g 3. The areas that had high contents of Benzo(a)pyrene had also high contents of Pyrene and Perylene. 4. The industrial area had the highest contents of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followed by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5. The contents of Bap. and Pery. in the commercial area were similar in Seoul and Ulsan, while the content of Py. in Seoul was 4 times higher than in Ulsan.

  • PDF

한국 연안산 해산 무척추동물의 중금속 함량 (Contents of Heavy Metals in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Korean Coast)

  • 목종수;이가정;심길보;이태식;송기철;김지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94-9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동해, 서해 및 남해 연안에서 채취하여 위판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연안산 패류(복족류 및 이매패류), 두족류, 갑각류 등의 해산무척추동물 52종 239개체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을 사용한 각 중금속에 대한 회수율은 평균 86.3~104.6%로 Codex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준에 부합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산 복족류의 중금속 함량은 아연 $21.471{\pm}10.794\;{\mu}g/g$, 구리 $4.115{\pm}2.565\;{\mu}g/g$, 망간 $0.868{\pm}0.593\;{\mu}g/g$, 니켈 $0.254{\pm}0.418\;{\mu}g/g$, 납 $0.238{\pm}0.220\;{\mu}g/g$, 카드뮴 $0.154{\pm}0.170\;{\mu}g/g$, 크롬 $0.110{\pm}0.082\;{\mu}g/g$ 순이었고, 이매패류의 경우는 아연 $35.655{\pm}46.978\;{\mu}g$, 망간 $5.500{\pm}9.943\;{\mu}g$, 구리 $3.129{\pm}5.979\;{\mu}g$, 카드뮴 $0.423{\pm}0.345\;{\mu}g/g$, 니켈 $0.402{\pm}0.379\;{\mu}g$, 크롬 $0.233{\pm}0.234\;{\mu}g/g$, 납 $0.232{\pm}0.216\;{\mu}g/g$ 순이었다. 또한, 두족류는 아연 $18.380{\pm}5.479\;{\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3.594{\pm}1.823\;{\mu}g/g$, 망간 $0.630{\mu}g0.630\;{\mu}g$, 크롬 $0.150\;{\pm}0.115\;{\mu}g/g$, 납 $0.068{\pm}0.066\;{\mu}g/g$, 카드뮴 $0.034\;{\mu}g{\pm}0.046\;{\mu}g/g$, 니켈 $0.030{\pm}0.047\;{\mu}g/g$ 순이었고, 갑각류의 경우 아연 $25.333{\pm}9.608\;{\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9.042{\pm}8.895\;{\mu}g/g$, 망간 $0.659{\pm}0.412\;{\mu}g/g$, 크롬 $0.592{\pm}2.172\;{\mu}g/g$, 카드뮴 $0.207{\pm}0.204\;{\mu}g/g$, 납 $0.126{\pm}0.094\;{\mu}g/g$, 니켈 $0.094{\pm}0.110\;{\mu}g/g$ 순이었다. 따라서 카드뮴, 납 등 유해 중금속의 함량은 이매패류>갑각류=복족류>두족류 순으로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수산물을 통한 중금속의 1일 섭취량은 각각 카드뮴 $6.88\;{\mu}g$, 크롬 $19.13\;{\mu}g$, 구리 $137.02\;{\mu}g$, 망간 $156.13\;{\mu}g$, 니켈 $11.39\;{\mu}g$, 납 $7.01\;{\mu}g$ 및 아연 $1,025.94 {\mu}g$이었다.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와 비교해 보면, 카드뮴의 11.47%, 구리의 0.46%, 납의 3.27% 및 아연의 1.71%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수산물을 통하여 섭취하는 카드뮴 및 납 등 유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금호강 오염의 종합적 조사 (A Survey of the Kumho River Pollution)

  • 배준웅;이상학;이성호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54-66
    • /
    • 2002
  • 금호강 수계의 수질판정과 낙동강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00년 5월부터 2001년 2월까지 5월, 8월 및 12월 3회에 걸쳐 16개 지점에서 BOD 등 총 24개 항목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각 지점별 항목별 대표적인 특징을 조사기간 전 3년간의 연구결과("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다으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기간의 금호강 전 지점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수온 $17.71^{\circ}C$, pH 8.06, BOD $2.26{\mu}g/mL$ COD $5.58{\mu}g/mL$, DO $7.13{\mu}g/mL$ SS $4.73{\mu}g/mL$ 전기전도도 $570.0{\mu}S/cm$ 유지류 $0.20{\mu}g/mL$ ABS $0.016{\mu}g/mL$ Phenol $0.29{\mu}g/mL$ 영양염류인 Total-N $5.03{\mu}g/mL$ Total-P $0.27{\mu}g/mL$ 이 었다. 중금속류인 Cu $0.005{\mu}g/mL$, Zn $0.007{\mu}g/mL$ Fe $0.044{\mu}g/mL$, Mn $0.001{\mu}g/mL$ 이었다. 한편 As, Cd, Cr 및 Pb는 불검출되었다. 금호강 전 지점에서 평균값으로 "전 연구결과" 와 비교할 때에 오염이 증가된 항목은 페놀 $NH_3-N$$NO_2-N$이며, 감소된 항목은 BOD, COD, SS, 유지류 ABS 등이고, 기타 항목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금호강 수질이 낙동강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금호강 하천수의 유입 전 지점 14와 유입 후 지점 16의 평균값으로서 BOD 1.07 에서 $1.42{\mu}g/mL$ COD 1.99에서 $2.44{\mu}g/mL$ 전기 전도도 221에서 $392{\mu}S/cm$ 총질소 2.21에서 $2.81{\mu}g/mL$ 총인 0.08에서 $0.19{\mu}g/mL$ 유지류 0.15에서 $0.16{\mu}g/mL$ ABS 0.006에서 $0.015{\mu}g/mL$ 페놀 0.06에서 $0.07{\mu}g/mL$으로 변화를 보였다.

RP4::Mu cts 및 RP4::mini-Mu Pseudomonas sp.로의 전달 (Transfer RP4::Mu cts and RP4::mini-Mu from E. coli to Pseudomonas sp.)

  • 고윤원;허연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3-180
    • /
    • 1988
  • 염색체 유전자를 전달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RP4 :: Mu cts와 RP4 :: mini-Mu 잡종 플라스미드를 접합에 의하여 E.. coli로 부터 Pseudomonas로 전달시켰다. RP4::Mu cts와 RP4:: mini-Mu의 수용세포는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아니하는 Pseudomonas 균주들의 항생세 내성, 탄화수소 자화능 등의 유전적 지표를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RP4::mini-Mu는 1$10^{-2}$ - $10^{-4}$의 빈도로 전달되었으며 RP4:: Mu cts는 Pseµdomonas aeruginosa KU557로는 $10^{-2}$의 빈도로, 그 이외의 수용세포로는 10?7의 빈도로 천달되었다. 접합체에 전달된 플라스미드의 존재는 암피실린, 카나마이신, 테트라싸이클린에 대한 내성과 전기영돔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특히 RP4::Mu cts는 $43^{\circ}C$에서의 플라크 행성으로도 확인하였다. 접합체들로 부터 생성된 Mu 파아지는 약 $10^{5}$의 P.F.U.를 나타냈으며 전달된 RP4:: Mu cts와 RP4:: mini-Mu는 접합체들에서 비교적 안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항원성에 관한 연구 (Immunotoxicity Study of Separated Antigen from Helicobacter pylori.)

  • 박창호;배만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4-50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anti-H. pylori 항체를 함유한 면역우유 생산용 백신개발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H. pylori의 면역성과 면역독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백신을 반복해서 투여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알레르기 및 과민반응을 예측하고, 페니실린 쇼크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 및 독성유발 가능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백신의 면역독성을 평가하였다. 전신성 anaphylaxis 쇼크반응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각 군당 5마리의 guinea pig에 감작투여한 후 최종감작 1주와 2주째에 귀정맥(ear vein)으로 야기항원을 투여하였다. anaphylaxis 쇼크 반응 시험에서 5마리 중 1마리가 양성반응을 나타낸 경우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라는 관점에서는 양성으로 판정한다[11]. H. pylori의 WC항원에 대한 1차 및 2차 야기항원 투여 후 전신성 anaphylaxis 쇼크반응에 대한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H. pylori의 WC에 대한 anaphylaxis 쇼크반응은 WC (H) $60\;{\mu}g/100\;{\mu}l$의 항원농도에서 1차, 2차 야기항원 투여 모두 경증의 증상을 나타내었고, WC (L) $20\;{\mu}g/100\;{\mu}l$의 항원농도에서는 아무런 anaphylaxis 쇼크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crude urease에 대한 anaphylaxis 쇼크반응은 항원농도가 $20\;{\mu}g/100\;{\mu}l$의 urease (L)와 $60\;{\mu}g/100\;{\mu}l$의 urease (H) 모두에서 아무런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Guinea pig-rat를 이용한 PCA 시험에서는 WC (H), WC (L), urease (H), urease (L) 투여군 모두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는 항원농도에 따라 각각 $80\;{\mu}g/100\;{\mu}l$, $40\;{\mu}g/100\;{\mu}l$, $20\;{\mu}g/100\;{\mu}l$, $20\;{\mu}g/100\;{\mu}l$ 일 때 피부이상 증상 즉,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 최고의 항원농도는 $40\;{\mu}g/100\;{\mu}l$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항원성 시험에서 H. pylori로부터 분리된 urease 항원이 WC 항원보다 면역독성 측면에서 좀 더 안전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씨스트선충과 (Nematoda: Heteroderidae)의 한국 2 미기록종 Globodera hypolysi와 Sarisodera hydrophila의 기재 (Two Unrecorded Species, Globodera hypolysi and Sarisodera hydrophiza (Nematoda: Heteroderidae) from Korea)

  • Park, Young-Eoun;Kim, Sae-Eon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13
    • /
    • 2001
  • 씨스트선충과의 한국 2 미기록속 및 종, Globodera hypolysi, Sarisodera hydrophila를 팔공산에서 채집하였다. 한국산 G. hypolysi는 원 기재와 비슷하나 유충의 구침 길이가 약간 짧고 (21-24 vs.24~25$\mu$m); 씨스트 항문에서 탕까지 거리가 약간 짧았다 (23~54 vs.25~80$\mu$m).한국산 S. hydrophila는 모든 측정치가 원 기재에 비하여 약간 짧았다; 암컷 체장(367.2~597.6$\mu$m vs 359~ 688 mm); 구침장 (37~44$\mu$m vs 38~46$\mu$m); 수컷 체장 (662~1198$\mu$m vs 579-1,405$\mu$m); 구침장 (37~ 43.8$\mu$m vs 38~46$\mu$m). 제2령유충: 체장 (460~536$\mu$m vs 466~558$\mu$m); 구침장이 짧았다 (32~38$\mu$m vs 39~43$\mu$m).

  • PDF

한국(韓國)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Buxaceae Growing in Korea)

  • 최태기;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93-201
    • /
    • 1991
  •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의 3속(屬) 2종(種) 4변종(變種) 1품종(品種)의 화분형태(花粉形態)를 광학(光學) 현미경(顯微鏡)과 주사형전자(走査型電子) 현미경(顯微鏡)을 이용(利用)하여 관찰(觀察)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화분형태(花粉形態)에 의(依)하여 속(屬) 수준(水準)의 화분(花粉) 검색표(檢索表)를 만들수 있었다. 2. 화분립(花粉粒)의 길이는 회양목속은 $21.9{\mu}m-28.3{\mu}m$, 수호초속은 $34.9{\mu}m-43.0{\mu}m$, Sarcococa는 $27.2{\mu}m-39.6{\mu}m$이었으며, Muri의 폭과 길이는 $0.3{\mu}m-4.6{\mu}m$, $0.9{\mu}m-4.3{\mu}m$, Lumen의 길이는 $0.4{\mu}m-2.4{\mu}m$이었다. 3. 표면(表面)무늬 형태(形態)는 회양목속(屬)은 망상(網狀), 수호초속(屬)과 Sarcococa는 사슬상(狀)이었다. 4. 발아구(發芽溝)는 3속(屬) 모두 다산공구형(多散孔溝型)이었다.

  • PDF

무의 자엽과 하배축에서 ABA 처리동안 Polyamine 농도 변화의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of Polyamine during the ABA Treatment in Radish Young Cotyledons and Hypocotyls)

  • 조봉희;박선영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458-463
    • /
    • 2001
  • 자엽에 ABA를 처리하면 세포내에 있는 유리 PA은 1시간 이내에 $500{\mu}mole$에서 $290{\mu}mole$로, SPD는 $153{\mu}mole$에서 $79{\mu}mole$로, SPM은 $69{\mu}mole$에서 $20{\mu}mole$로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2일동안 지속적으로 ABA를 처리하면 PUT는 $290{\mu}mole{\sim}234{\mu}mole$ 사이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증감의 변화만을 보였다. 하배축에다 ABA를 처리하면 자엽에서와 같이 유리 PUT는 1시간 이내에 $160{\mu}mole$에서 $9{\mu}mole$까지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2일동안 지속적인 ABA 처리동안 하배축에 있는 유리 PUT과 다른 PA들은 $5{\mu}mole$ 정도로 존재하였다. ABA처리는 생체내에 존재하는 유리 PA의 농도를 감소시켜 직접적으로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생체가 미리 준비하도록 생리 및 생화학적인 변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의 정자유입에 따른 정소상체 상피세포의 형태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Epithelial Cells of the Epididymides by Sperm Entrance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1호
    • /
    • pp.49-62
    • /
    • 1998
  •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pithelial cells of ductus epididymides by sperm entrance,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was studied with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1. The diameters of the caput epididymis (Cp) and its lumen were $135\sim145{\mu}(140{\pm}0.5{\mu})$ and $115\sim120{\mu}m(117{\pm}0.1{\mu}m)$. The length and width of the epithelium were $27.0\sim28.5{\mu}m(28.0{\pm}0.1{\mu}m)$ and $4.8\sim5.4{\mu}m(5.1{\pm}0.2{\mu}m)$. 2. The diameters of the corpus epididymis (Cr) and its lumen were $160\sim170{\mu}m(166{\pm}0.2{\mu}m)$ and $140\sim150{\mu}m(145{\pm}0.3{\mu}m)$. The length and width of the epithelium were $17.4\sim18.0{\mu}m(17.6{\pm}0.5{\mu}m)$ and $8.8\sim10.4{\mu}m(9.5{\pm}0.2{\mu}m)$. 3. The diameters of the cauda epididymis (Cu) and its lumen were $270\sim280{\mu}m(275{\pm}0.2{\mu}m)$ and $265\sim275{\mu}m(268{\pm}0.3{\mu}m)$. The length and width of the epithelium were $11.2\sim13.4{\mu}m(12.3{\pm}0.3{\mu}m)$ and $9.2\sim11.2{\mu}m(10.0{\pm}0.2{\mu}m)$. Therefore, the size of diameter and lumen of the ductus epididymides and the width of the epithelium increased from Cp and Cr to Cu, but the length of epithelial cells decreased from Ca and Cr to Cu.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pithelial cells of the ductus epididymides may be the results of the sperm entr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