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H$]spiperon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Haloperidol 투여후 금단기간에 따른 백서 선조체의 [$^3H$]Spiperone 결합 및 Dopamine 대사물질의 변화 (Time-Course of [$^3H$]Spiperone Binding and Dopamine Metabolism in the Rat Striatum after Withdrawal from Haloperidol Ttreatment)

  • 이중용;공보금;김용관;정청;김선희;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51-56
    • /
    • 1996
  • The effects of 3 week treatment with haloperidol(2mg/kg/day, i.p.) on dopamine(DA) D2 receptor and DA metabolism in rat striata were studied at various time points after withdrawal from the drug treatment. Striatal DA D2 receptor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radioligand 0.5nM [$^3H$]Spiperone. Dopamine(DA), homovanillic acid(HVA),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DOPAC) in rat striatum were measured with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rug withdrawal for 1 week induc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2 receptor in striatum after withdrawal for 1 week(p<0.05), and then this change was restored to control level during the withdrawal time of 2 and 4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iatal concentrations of DA and its metabolites among the groups. In conclusion, one-week withdrawal from chronic haloperidol treatment induced DA D2 receptor supersensitivity in the striatum, and that was normalized rapidly. Though this adaptive change in DA receptors, it may not affect the metabolism of DA in striatum.

  • PDF

Risperidone의 급성 및 만성 투여가 흰쥐 뇌의 Serotonin과 Dopam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te and Chronic Treatment with Risperidone on the Serotonin and Dopamine Receptors in the Rat Brain)

  • 최윤영;손혜경;김창윤;이철;이희경;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8
    • /
    • 1997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자가방사선사진법을 이용하여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하나인 risperidone 이 백서 뇌의 신경수용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투여군은 백서 30마리를 6군으로 나누어 0, 0.1, 0.25, 0.5, 1, 2mg/kg의 risperidone을 복강내 투여하고 2시간후에 단두하였고, 만성투여군은 0, 0.1, 1mg/kg의 risperidone을 21일간 복강내 투여후 단두하여 정량적자가 방사선사진법으로 $5-HT_2$$D_2$ 수용체에 대한 [$^3H$]spiperone 결합을 측정함으로써, 선조체, 측좌핵, 전두엽피질 각각의 $5-HT_2$$D_2$ 수용체의 분포변화를 측정하고 투여량에 따른 수용체의 영향을 AN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투여군에서 $5-HT_2$ 수용체는 전두엽 피질에서 risperidone 투여후 0.1-2mg/kg의 투여 범위전체에서 [$^3H$]spiperone 결합이 대조군에 비하여 32%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조체와 측좌핵의 피질하 수용체에서는 거의 결합을 보이지 않았다. $D_2$ 수용체는 risperidone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선조체와 측좌핵의 [$^3H$]spiperone 결합이 감소하였으며, 1-2mg/kg의 투여량을 준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57%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투여군에서는 피질의 $5-HT_2$ 수용체가 대조군에 비하여 저용량투여군과 고용량투여군에서 각각 51%와 46%로 감소하였다. 결론 : Risperidone은 $D_2$ 수용체를 약하게 차단하며 $D_2$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양보다 적은 양을 투여해도 $5-HT_2$ 수용체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5-HT_2$ 수용체에 강력히 작용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Haloperidol 및 Sulpiride 투여후 백서 뇌내 Dopamine 수용체 결합력의 변화 (Alterations of Binding Capacities of Dopamine Receptors After Treatment with Haloperidol and Sulpiride in Rat Brain)

  • 한규희;안윤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1호
    • /
    • pp.63-69
    • /
    • 1995
  • 흰쥐에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과 sulpiride를 장기간 투여한 뒤 줄무늬체와 후결절조직에서의 DA 수용체 의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apomorphine 투여에 따른 상동행동점수도 평가하였다. 흰쥐에 haloperidol(0.5mg/kg/day) 이나 sulpiride(40mg/kg/day)를 4주간 투여하고, 3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거친 후에 apomorphine(0.5mg/kg)을 투여하여 상동행동점수를 평가하였다. Haloperidol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이나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상동행동에 대한 접수가 높게 나타났고,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의 상동행동을 나타내었다. 한편 줄무늬체 조직의 [$^3H$]spiperone의 결합에 대한 포화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haloperidol이나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서 최대결합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해리상수는 sulpiride투여시 줄무늬체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Sulpiride를 투여했을때 haloperidol 투여 시와 마찬가지의 DA수용체의 증식이 일어나지만, sulpiride 투여군에서만 상통행동 접수가 낮은 것으로 볼 때, 뇌의 DA계에서 sulpiride가 haloperidol과는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후결절에서는 sulpiride와 haloperidol을 투여한 양군에서 모두 최대결합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또한 해라상수도 양군의 후결절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더욱이, 대조군은 후결절에서의 해리상수가 37.5pM, 줄무늬체에서는 86.2pM로 나타나, 후결절에서 줄무늬체에서보다 친화도가 두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sulpiride는 후결절에서 DA수용체의 증식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높은 친화력을 가진 몇몇 DA수용체 아형과도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조군에서 줄무늬체와 후결절에서의 친화도가 다른 점은, [$^3H$]spiperone에 반응한 DA수용체 아형은 줄무늬체와 후결절에서 각기 다르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저용량의 Haloperidol투여에 의해 유발된 백서 뇌내 Dopamine $D_2$양 수용체증식 (Proliferation of Dopamine $D_2$-Like Receptors after Treatment with Low Dose Haloperidol in Rat Brain)

  • 김황진;한규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40-244
    • /
    • 1996
  • 흰쥐에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을 장기간 투여한 뒤 줄무늬체와 후결절 조직에서의 DA $D_2$양 수용체의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약물투여군 4군에게 haloperidol을 각기 0.05, 0.15, 0.5, 1.5mg/kg/day이 되게끔 4주간 투여하였다. DA수용체의 변동은 [$^3H$]spiperone을 이용한 결합반응법을 통해 알아 보았다. 정상대조군에 비해 4주 동안 haloperidol을 투여받은 군 모두에서 줄무늬체에서의 DA 수용체의 최대 결합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한 용량보다 대단히 낮은 0.05mg/kg/day을 투여받은 군 역시 유의한 증가를 보여 낮은 용량의 haloperidol이 DA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결절조직의 최대결합치는 haloperidol투여군 모두에서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1.5mg/kg/day투여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본 실혐의 결과로 미루어 낮은 용량의 haloperidol을 장기간 투여했을 때 뇌내 DA계에 수용체증식이 나타나며 항정신병 효과의 발현과도 관련성이 시사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거론되고 있는 항정신병약물의 저용량투여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DA계의 연동을 알리는 다른 생물학적 지표와의 관련성을 살피면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 on Morphine-induced Alterations in Brain Opioid and Dopamine Receptors

  • Kim, A.-Y.;Lee, S.-Y.;Kim, Y.-R.;G.-S. Yoo;D.-K. Lim;K. W. Oh;Kim, K.-M.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1995
  • Several behavio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ginseng total saponin (GTS) antagonizes morphine action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conducted biochemical studies to elucidate the cellular mechanism of GTS actions. morphine hydrochloride (10mg/kg, sc) and/or on (400mg/kg, oral ) were administered to mice for 14 consecutive days. Ligand binding studies were conducted from striatal membranes. For opioid receptors, morphine increased the affinity but decreased the maximal binding sites for $^3$H naloxone. GTS partially recovered it. In case of dopamine receptors, morphine increased affinity and maximal binding sites for 3H spiperone. and GTS partially blocked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phine affects cellular events by modulating opioid receptors and that opioid receptors interact with dopamine receptors to change the mental status. GTS could be helpful for the treatment of morphine- induced mental disorders.

  • PDF

Effect of ${\gamma}$-mangostin through the inhibition of 5-hydroxytryptamine$_{2A}$ receptors in 5-fluoro-${\alpha}$-methyltryptamine-induced head-twitch responses of mice

  • Nattaya Chairungsrie;Furukawa, Ken-Ichi;Takeshi Tadano;Kensuke Kisara;Yasushi Ohizum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70-170
    • /
    • 1998
  • In order to discover new types of 5-hydroxytryptamine antagonists, we have devoted our attention to investigating naturally occurring compounds having anti-5HT activity in vitro. Recently, ${\gamma}$-mangostin [1,3,6,7-tetrahydroxy-2,8-bis(3-methyl-2-bytenyl)-9H-xanthen-9-one] from the fruit hull of Garcinia mangostana Linn has been shown to be a selective antagonist for 5-hydroxytryptamine$_{2A}$ receptors in smooth muscle and platelets. It is of interesting that y-mangostin which does not have a nitrogen atom, possesses marked 5-$HT_{2A}$ receptor blocking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ma}$-mangostin on central 5-HT receptors by using animal behavioural models. Intracerebronventricular injection of ${\gamma}$-mangostin (10-40n mol/mouse) inhibited 5-fluoro-${\alpha}$-methyltryptamin (5-FMT) (45 mg kg$^{-1}$, i.p.)-induced head-twitch response in mi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italopram (5-HT-uptake inhibitor). Neither the 5-FMT- nor the 8-hydroxy-2-( di-n-propylamino )tetralin (5-HT$_{1A}$-agonist)-induced 5-HT syndrome (head weaving and hindlimb abduction) was affected by ${\gamma}$-mangostin. The locomotor activity stimulated by 5-FMT through the activation of at-adrenoceptors did not alter in the presence of ${\gamma}$-mangostin. 5-HT-induced inositol phosphates accumulation in mouse brain slices was abolished by ketanserin. ${\gamma}$-Mangostin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the inositol phosphates accumulation and the binding of [$^3H$]-spiperone, a specific 5-$HT_{2A}$ receptor antagonist, to mouse brain membranes. Kinetic analysis of the [$^H3$]-spiperone binding revealed that ${\gamma}$-mangostin increased the $_{d}$ value without affecting the $B_{max}$ value, indicating the mode of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inhibition by ${\gamma}$-mangost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ma}$-mangostin inhibits 5-FMT-induced head-twitch response in mice by blocking 5-$HT_{2A}$ receptors not by blocking the release of 5-HT from the central neurone. ${\gamma}$-Mangostin is a promising 5-$HT_{2A}$ receptors antagonis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m.

  • PDF

변이 도파민 2 수용체와 나트륨 옥소 공동 수송체 이입유전자의 이중 리포터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ual Reporter System of Mutant Dopamine 2 Receptor ($D_2R$) and Sodium Iodide Symporter (NIS) Transgenes)

  • 황도원;이동수;강주현;장영수;김윤희;정재민;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4-299
    • /
    • 2004
  • 목적 : 현재 생체 내로 이식된 세포를 추적하는데 여러 가지 리포터 유전자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람 나트륨 옥소 공동 수송체 (hNIS)와 도파민 2 수용체($D_2R$)를 이중 리포터 유전자로 사용하여 각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hNIS와 $D_2R$의 발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IRE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로 연결된 재조합 플라스미드(pIRES-hNIS/D_2R)를 제조하였다. $pIRES-hNIS/D_2R$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SK-Hep1에 lipofactamine을 이용하여 형질을 도입시킨 후, 항생제(G418)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주간 선별하였다(HEP-ND). hNIS와 $D_2R$발현 유무와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각 형질 도입세포군에서, hNIS의 활성은 $^{125}I$ 섭취율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D_2R$의 활성은 $[^3H]spiperone$을 리간드로 이용하여 수용체 결합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선별된 HEP-ND세포에서 hNIS와 $D_2R$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하였을 때 IRES로 연결된 hNIS와 $D_2R$의 발현 정도는 서로 비슷하였다. HEP-ND세포의 $^{125}I$ 섭취율은 대조군인 SK-Hep1세포에 배해 30-40배 증가되었고, $KClO_4$에 의해 $^{125}I$ 섭취가 저해되었다. $D_2R$의 발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용체 결합 분석법을 통해G418 농도별로 나눈 두 종류의 세포주에서, $[^3H]spiperone$을 이용한 해리상수 ($K_d$)와 최대결합 부위농도 ($B_{max}$)는 각각 2.92 nM, 745.25 fmol/mg protein과 8.91nM, 1323 fmole/mg protein이었다. hNIS와 $D_2R$발현의 상관관계에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hNIS와 $D_2R$가 이입된 세포주에서 이중 유전자, 감마 영상 리포터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D_2R$와 HNIS 유전자를 이중 핵 영상 시스템으로서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대배양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ANG II의 Na+ uptake 촉진효과에 대한 dopamine의 효과 (Effects of dopamine on angiotensin II-induced stimulation of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고현주;박수현;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18-52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dopamine(DA)과 angiotensin II(ANG II)가 $Na^{+}/H^{+}$ 상호운반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있어서 DA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A은 농도의존적으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10^{-6}M$ ; $83.2{\pm}7.2%$, $10^{-3}M$ ; $67.2{\pm}3.8%$ vs. control)(p<0.05). $DA_1$ 작동제(SKF 38393, $10^{-6}M$)는 대조군의 $81.4{\pm}6.7%$ 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나(p < 0.05) $DA_2$ 작동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A_1$ 길항제(SCH 23390, $10^{-6}M$)에 의해 DA의 $Na^+$ uptake 억제효과는 차단되었으나 $DA_2$ 길항제(spiperone, $10^{-6}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DA과 대조적으로 $10^{-11}M$ ANG II는 $AT_1$ 수용체를 통하여 대조군의 $120.7{\pm}4.9%$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촉진하였다. (p < 0.05). DA 및 $10^{-11}M$ ANG II를 병합처리하였을 때 DA은 농도의존적으로 ANG II에 유도된 $Na^+$ uptake 촉진효과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다(p<0.05). 한편 ANG II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촉진작용은 $DA_1$ 또는 $DA_2$ 작동제에 의해 차단되었으나 DA에 의한 차단 효과는 $DA_1$$DA_2$ 길항제를 병합처리하였을 때만 반전되었다. 결론적으로 DA은 $DA_1$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억제하였으나 ANG II에 의한 $Na^+$ uptake 촉진작용의 억제에는 $DA_1$$DA_2$ 수용체 모두가 관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