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굿>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38초

동해안별신굿 굿놀이의 변화양상과 요인 (Changing Aspects and Factors of Shaman's Play in Donghaeanbyeolsingut)

  • 김신효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33-69
    • /
    • 2019
  • 이 글은 한 마을의 별신굿 변화과정을 살피는 일환의 하나로 굿놀이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현재 동해안별신굿에서 연행하는 굿놀이를 하나의 별신굿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곳은 영덕군 병곡면 백석2리와 남정면 구계리별신굿을 들 수 있다. 그 가운데 백석2리별신굿은 5년두리로 10년두리인 구계리별신굿에 비하여 굿의 주기가 짧아 변화를 포착하기에 용이하다. 백석2리별신굿에서는 중도둑잡이. 원님놀이, 탈굿, 말놀이, 호탈굿, 거리굿 등 다양한 굿놀이가 연행되고 있다. 동해안별신굿에서 연행되는 굿놀이는 연행될 때마다 새로운 본이 만들어 질 만큼 일정부분 변화가 지속되고 있다. 변화의 정도에 따라 소극적인 변화와 적극적인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극적인 변화는 즉흥적인데 반해 적극적인 변화는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즉흥적인 변화에 해당하는 굿놀이는 중도둑잡이, 말놀이, 호탈굿을 들 수 있고 의도적인 변화는 원님놀이, 탈굿, 거리굿이다. 굿놀이의 가장 큰 변화는 마을의 별신굿이 사라지는 일이다. 인적자원의 부족이나 경제적인 어려움, 종교적 갈등 또는 합리적인 사고로 인하여 굿을 중단하게 되면 결국 굿놀이도 없어지므로 가장 큰 변화이다. 그 다음 변화가 별신굿 기간을 줄이거나 시간의 단축이다. 이로 인한 굿놀이의 탈락 또는 축약으로 변화의 원인이 된다. 온전한 마을굿에서 굿놀이의 변화는 가변적이며 창의적이다. 관중의 개입으로 인한 변화는 주로 즉흥적이다. 이에 비해 연행자의 사전 계획에 의한 변화는 의도적이며 그 변화의 폭도 크다. 굿놀이의 변화요인은 시대적인 요구와 전승집단의 인식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전승환경에 따른 변화로는 인적자원의 부족과 개인주의, 생업환경의 변화와 시간제약을 주요원인으로 들 수 있다. 연행주체에 따른 변화로는 연행자의 교체와 편입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연행자에게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굿놀이가 변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영행양상에 따른 변화로는 관중의 개입과 감독자의 부재, 사회적 관심사의 수용을 들 수 있다.

굿 속의 탈놀이:<영산 할아?.할?굿>과 <탈굿> (The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and )

  • 이미원
    • 한국연극학
    • /
    • 제40호
    • /
    • pp.5-27
    • /
    • 2010
  • The Korean Mask-Dance Theatre has been developed closely related to Korean Shaman rituals. As many scholars noticed, the performers of the Mask-Dance Theatr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haman family. In addition, there are mask-dance performances in actual shaman rituals. and are the representative performances among them. This essay intends to compare these two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to the similar performance of Old Grandpa and Grandma episode in the regional Mask-Dance Theatre. This study would bring us further in proving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shaman ritual and the Mask-Dance Theatre. is one episode, Keori, in the shaman ritual of 'Baeyeonsin-kut' and 'Taedong-kut' in the mid-west seashore area. 'Taedong-kut' is the village shaman ritual for fertility and prosperity, while 'Baeyeonsin-kut' is a private shaman ritual for a large catch of the ship. is held in the later part of the whole shaman ritual since the later part tend to be more for entertainment than actual ritual. The story of is very similar that of in Pongsan Mask-Dance Theatre of the mid-west region. In addition, some of their dialogues are very similar. Only the later part is different. These similarities indicate that the Mask-Dance Theatre, which came into being in later period than the shaman ritual, has likely taken the story motif of the shaman ritual. is also a performance in the shaman ritual of east coasts. is more elaborate and recreational than of the west coasts. is also performed near the end of the ritual, and sometimes it is not performed at all. This indicates that has little ritual meaning left. When we compare it with the regional Mask-Dance Theatres such as Keosung Okwangdae, Tongyong Okwangdae, and Suyong Yaryu, the structure and the story lines are also very similar. It is a question why only the motif of the Grandpa and Grandma isfound both in the shaman ritual and the Mask-Dance Theatre. Many other motifs of other episodes in the Mask-Dance Theatre are not found in the shaman rituals. It seems that the Grandpa and Grandma motif is related to the ur-belief in fertility. In other words, this motif seems to be originated from the old belief in the fertility couple of Chonha Taechanggun and Jiha Yeochanggun. The shaman ritual for fertility first picked up this motif, and then the mask-dance theatre also adapted this motif for its recreational purpose. When we compare with , still has more aspects of fertility ritual, while lost its ritualistic meaning and its main purpose is to develop dramatic needs. and are invaluable existent performances to prove theatre's origin in ritual. The existence of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shows us the transit performance between theatre and ri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