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absorbance

검색결과 1,524건 처리시간 0.025초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classification of apples using K-mean neural network algorism

  • Muramatsu, Masahiro;Takefuji, Yoshiyasu;Kawano, Sumio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131-1131
    • /
    • 2001
  • To develop a nondestructive quality evaluation technique of fruits, a K-mean algorism is applied to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of apples. The K-mean algorism is one of neural network partition methods and the goal is to partition the set of objects O into K disjoint clusters, where K is assumed to be known a priori. The algorism introduced by Macqueen draws an initial partition of the objects at random. It then computes the cluster centroids, assigns objects to the closest of them and iterates until a local minimum is obtained. The advantage of using neural network is that the spectra at the wavelengths having absorptions against chemical bonds including C-H and O-H types can be selected directly as input data. In conventional multiple regression approaches, the first wavelength is selected manually around the absorbance wavelengths as showing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NIR $2^{nd}$ derivative spectrum and Brix value with a single regression. After that, the second and following wavelengths are selected statistically as the calibration equation shows a high correlation. Therefore, the second and following wavelengths are selected not in a NIR spectroscopic way but in a statistical way. In this research, the spectra at the six wavelengths including 900, 904, 914, 990, 1000 and 1016nm are selected as input data for K-mean analysis. 904nm is selected because the wavelength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is regarded as the absorbance wavelength. The others are selected because they show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re revealed as the absorbance wavelengths against the chemical structures by B. G. Osborn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wo phases. In first phase, a reflectance was acquired using fiber optics. The reflectanc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near infrared energy reflected from a Teflon sphere as a standard reference, and the $2^{nd}$ derivative spectra were used for K-mean analysis. Samples are intact 67 apples which are called Fuji and cultivated in Aomori prefecture in Japan. In second phase, the Brix values were measu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refractometer in order to estimate the result of K-mean approach. The result shows a partition of the spectral data sets of 67 samples into eight clusters, and the apples are classified into samples having high Brix value and low Brix value. Consequently, the K-mean analysis realized the classification of apples on the basis of the Brix values.

  • PDF

생분해에 의한 용존 자연유기물질 분광특성 및 Pyrene 결합반응성 변화 (Changes in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and Pyrene Binding Reactivi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By Biodegradation)

  • 박민혜;허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893-89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낙엽과 토양에서 추출한 용존 자연유기물질(DOM)을 대상으로 생분해 과정 중 변화하는 분광특성과 pyrene 결합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유기물질 특성 변화 분석을 위해 용존 유기탄소(DOC), 용존 자연유기물질 내 방향족 탄소성분을 나타내는 고유흡광도(Specific UV absorbance: SUVA), synchronous 형광 스펙트럼과 유기탄소결합계수(pyrene organic carbon-normalized binding coefficient: K$_{oc}$) 분석을 실시하였다. 3주간의 배양기간 동안 낙엽 추출 DOM과 토양 DOM의 DOC는 각각 61%, 51% 감소하였다. 배양 전과 후의 분광특성을 비교해 보면 단백질/아미노산 계 형광특징(PLF)은 점차 감소된 반면 SUVA, 펄빅산계 형광 특징(FLF)과 휴믹산 계 형광 특징(HLF)은 점차 증가하였다. 이러한 자연유기물질의 분광특성 변화는 생분해 과정을 통해 휴믹화가 진행되며 자연유기물질 내 비방향족 생분해성 탄소성분이 단단한 구조의 방향족 탄소구조로 변화됨을 시사한다. SUVA 값과 유기오염물질과의 결합정도를 나타내는 K$_{oc}$ 값 사이에서는 시료의 종류와 상관없이 1차 상관관계(r = 0.97)를 보여 주어 생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방향족 탄소구조 분포가 자연유기물질의 소수성 오염물질과의 결합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형광특징 중 FLF와 HLF가 K$_{oc}$ 값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연유기물질의 기원에 따라 다른 상관관계식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자연유기물질 성분변화 및 소수성 유기오염물질의 거동 예측에 자연유기물질의 분광특성이 좋은 모니터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열매로부터 분리한 페놀 화합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 인서지;이대영;서경화;남태규;김대옥;김금숙;노형준;김계원;서우덕;강희철;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17-220
    • /
    • 2012
  •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열매를 실온에서 70% ethanol (Et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 분획, n-butyl alcohol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nfrared spectroscopy, 및 electron ionization/mass spectrometry 등의 spectrum을 해석하여,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각각 3,5-dihydroxycinnamic acid과 protocatechuic acid 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1은 오가자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또한 이 화합물에 대한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1,1-diphenyl-2-picrylhydrazyl 및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모두 vitamin C보다 2배 이상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분해에 의한 용존 유기물질의 분자량 변화가 소독부산물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Molecular Weigh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Photodegradation and their Subsequent Effects on 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Potential)

  • 임정희;허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769-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기원의 표준 휴믹물질 혼합 시료와 Suwannee River fulvic acid (SRFA)을 사용하여 광분해로 인한 용존 유기물질의 스펙트럼 특성 변화와 이에 따른 소독 부산물 생성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혼합시료의 염소소독부산물 발생잠재력(DBPFP)은 specific UV absorbance (SUVA) 값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7일간 광분해 후 혼합시료의 SUVA 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동일 시료에서 DBPFP 값은 SUVA 감소폭보다 적었다. 비록 두 변수 사이에 직선성은 유지되었으나 같은 SUVA 범위 내에서의 DBPFP 값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광분해로 인해 염소소독부산물 전구체 역할을 하는 비방향족 물질이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SRFA 시료에 대해 4일과 13일 광분해하여 각각 저분자와 고분자 부분에서의 DBPFP 값을 비교한 결과 광분해 후 유기탄소 당 염소소독부산물 발생량 변화양상은 염소소독부산물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유기탄소 당 trihalomethenes (THMs) 발생은 광분해 후 고분자 부분에서 더 높았으나 haloacetic acids(HAAs)의 경우 고분자와 저분자 부분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광분해 시간에 따른 유기탄소 당 DBPFP 값 변화 패턴도 용존 유기물 분자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Ms의 경우 고분자 부분에서는 광분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분자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HAAs은 고분자에서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저분자 부분에서는 증가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수중 유기물질은 전반적으로 광분해에 따라 소독부산물 생성능이 초기에 오히려 증가할 수 있으며 광분해 시간이 충분히 지속된 후에야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Bleaching Observation of Cosmetic Color Lenses According to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 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렌즈 관리에 이용되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6개월용 착용렌즈로 굴절력이 0.00 D이며, 주변부가 다른 제조공법으로 착색된 세 가지 칼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타입 1: pigment application method, 타입 2: chemical bonding process, 타입 3: sandwich method), 다목적용액은 성분이 다른 두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칼라 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에서 20일간 보관하면서 1일 15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 하였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형광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명도지수와 색좌표지수를 측정하여 탈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에서 모든 타입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형광 흡광도 값은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사진은 렌즈의 전면은 모든 타입에서 매끄러웠고, 후면은 타입 3은 1과 2 보다 돌출된 정도가 적었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 렌즈 표면색의 색차 변화는 타입 3이 타입 1과 2보다 유의하게 변화도가 작았으나 모두 허용오차 안에 들었다.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 용액에 의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은 형광 흡광도와 표면색 측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 후면의 돌출된 정도는 달랐다.

쌀.포도 혼합 발효주의 갈변특성 및 갈변저해방법 (Browning and Its Inhibition in Fermentation of Rice-grape Wine)

  • 구하나;육철;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54-561
    • /
    • 2006
  • 쌀을 혼합해 발효시킨 포도주에 다양한 갈변저해 첨가제를 사용하여 숙성 기간 동안 품질의 변화와 갈변의 억제 정도를 관찰하고 저장성을 증대시켜 새로운 개념의 쌀을 혼합, 발효시킨 포도주의 개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쌀 포도 혼합 발효주의 발효과정 중의 갈변도를 알아본 결과 포도주, 탁주, 쌀 포도 혼합 발효주 중 쌀 포도 혼합 발효주의 갈변도의 변화가 가장 컸으며, 발효 중 polyphenoloxidase activity와 hydroxymethyl furfural의 함량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효소적 갈변과 비효소적인 갈변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효소적인 갈변반응보다는 비효소적인 갈변반응이 쌀 포도 혼합 발효주에서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갈변저해 첨가제 처리에 따른 갈변 기질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총 페놀 함량, 아미노산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변반응으로 인해 소진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중 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색도, Hue, intensity 값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A_{420}$(absorbance at 420 nm)와 $A_{520}$(absorbance at 520nm)의 합을 나타나는 intensity는 그 값이 대조구와 PVPP 처리 시험구에서는 1.0이 넘어 적포도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또 $A_{420}/A_{520}$는 포도주의 Hue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역시 대조구와 PVPP 처리 시험구에서 1.0이 넘는 값을 나타내 적포도주로서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L, a, b value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쌀 포도 발효주의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와 polyvinylpolypyrrolidone를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otassium metabisulfite를 처리한 시험구가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밍크오일의 모질 개선 효과 (Effects of Mink Oil on Improving Hair Texture)

  • 김주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98-1305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밍크 오일로 손상된 모발의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밍크오일 함량을 0 g, 1 g 2 g, 3 g 으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제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전과 도포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인장강도 측정결과 건강모 보다는 실험군의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7레벨에서의 인장강도는 밍크 오일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흡광도 측정결과 대조군 인 건강모 보다는 실험군 모두가 증가하였다. 대조군 인 0 g함유한 것보다 실험군 7레벨에서 1 g, 2 g, 3 g 도포한 시료의 흡광도 값은 밍크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광택 측정 결과는 건강모 보다는 실험군의 광택 값이 증가하고 7레벨에서의 광택 값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론은 밍크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도포 시 모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모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오일 성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 흰쥐 및 마우스의 IgA/lgE 항체가 반응 추이 (Detection of Serum IgA and IgE Antibodies in Experimental Animals Infected with Echinostoma hortense)

  • Yong-Suk Ryang;Insik Kim;Kyu-Jae Lee;Ji-Sook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100
    • /
    • 2000
  •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 및 마우스에 경구 감염시킨 후 실험동물의 혈청 및 장액에 대한 IgA 및 IgE 항체가 변화 추이를 ELISA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감염 흰쥐에서 혈청의 경우 IgA와 IgE항체가를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장액의 IgA항체가는 감염 후부터 계속 증가하여 8주에서 최고치 (0.47$\pm$0.11)를 나타냈다. 감염 흰쥐에서 충체 회수율은 8주까지 계속 충체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장액의 IgA 항체가 성적이 최고치를 나타낸 기간에 유의한 감소 성적을 나타냈다 감염 마우스 혈청에서의 IgA항체가는 감염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감염 8주에서 최고치 (0.45$\pm$0.01)를 보였으며, IgE의 경우는 감염 후부터 7주까지 증가하여 7주에서 그 최고치 (0.23$\pm$0.02)를 보였으나 그 이후 다시 감소되었다. 장액의 경우 IgA 항체가는 감염 후부터 증가하여 8주에서 최고치 (0.14$\pm$0.01)를 보였으며, 이는 혈청 IgA의 항체가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감염 마우스의 충체 회수율은 감염 후부터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7주와 8주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는데 (p<0.05)이것은 장액에서의 IgA와 IgE, 혈청에서의 IgA의 항체가 최고치를 나타낸 기간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IgA 및 IgE 항체가의 유무는 충체의 배출(expulsion)에 일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유(醬油)의 색변화(色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lor Change of Soysauce)

  • 정구민;조성환;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200-205
    • /
    • 1981
  • 메주를 사용(使用)한 재래식(在來式)과, Koji를 사용(使用)한 개량식(改良式) 간장을 원료배합비(原料配合比)를 다르게 담그어 숙성중(熟成中) 환원당(還元糖), 전질소(全室素),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성분변화(成分變化)와 흡광도(吸光度),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다음, 숙성후(熟成後) 가열(加熱)에 의(依)한 흡광도(吸崙度)와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원당(還元精)의 함량(含量)은 재래식(在來式)에 비(比)하여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더 많고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 수록 더 하였다. 전질소(全室素)와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함량(含量)은 시간(時間)이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콩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으면 이 함량(含量)도 많았으나 시료간(試料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숙성중(熟成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경우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나 개량식(改良式) 간장은 별로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가열중(加熱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대체로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비(比)하여 더 증가(增加)하였으며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은 구(區)일수록 증가량(增加量)도 컸다.

  • PDF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지방분화과정에서 활성산소가 미치는 영향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Adipogenesis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 장학;민경희;박영인;김요한;민경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31-134
    • /
    • 2011
  • Purpose: Stem cells continue to receive research attention in the clinical fields, and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 have been shown to be a good source raw material. Many plastic surgeons are researching the ADSC adipogenesis with a view of conducting clinical trials, an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omote the adipogenesis of ADSCs, but comparatively few correlation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 ADSC adipogenesis. We undertook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S on ADSC adipogenesis. Methods: AD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from abdominal adipose tissue, and cultured in different media; 1) DMEM(control), 2)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3)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with ROS ($20{\mu}M/50{\mu}M\;H_2O_2$), 4)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containing ROS ($20{\mu}M/50{\mu}M\;H_2O_2$) and antioxidant ($10{\mu}M/20{\mu}M$ Deferoxamine). We compared adipogenesis in these different media by taking absorbance measurements after Oil-Red O staining every 5 days. Results: After culturing for 20 day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se various culture groups. Absorbanc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more adipogenesis had occurred in media containing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and $H_2O_2$ (in a $H_2O_2$ dose-dependently manner) than in media containing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and no $H_2O_2$ (p<0.001). Furthermore, in media containing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H_2O_2$, and antioxidant, absorbance resul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adipogenesis induction culture medium and $H_2O_2$ (p<0.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OS promote the adipogenesis of ADSCs. We suggests that ROS could be used in the adipose tissue engineering to improve fat cell differentiation and implantable fat tissue organization.